식회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전기에, 원보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미상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원보
목차
정의
고려 전기에, 원보 등을 역임한 문신.
생애 및 활동사항

949년(광종 즉위) 8월 원보(元甫)로서 광종의 명을 받아 원윤(元尹) 신강(信康) 등과 함께 주·현(州縣)의 세공액수(歲貢額數)를 정하였다. 주·현의 크기에 따라 해마다 납부할 공물(貢物) 액수는 이때 최초로 정해졌는데, 원보 식회가 후백제에서 투항해온 신강의 도움을 받아 구체적인 안을 수립하였다.

광종 치세에는 956년(광종 7)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의 시행, 958년(광종 9) 후주(後周)의 귀화인 쌍기(雙冀)의 건의에 의한 과거제 실시, 960년(광종 11) 백관(百官)의 공복(公服) 제정 등 일련의 왕권강화책이 추구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구신숙장(舊臣宿將)’으로 일컬어지는 인물들은 배제되고, ‘남북용인(南北庸人)’·‘후생참적(後生讒賊)’ 등으로 일컬어지는 인물들이 중용되었다. 이때의 ‘구신숙장’을 대표하는 서필(徐弼)이 광종에게 “주상(主上)께서는 공이 없는 사람에게는 상을 주지 마시고 공이 있는 사람을 잊지 마소서”라고 간언하였다. 이때 식회는 국가에 공이 있는 대표적 인물로 거론된 바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의 과거제도』(허흥식, 일조각, 2005)
『역주『고려사』식화지』(권영국 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고려의 음서제와 과거제 연구』(박용운, 일지사, 1990)
『고려과거제도사연구』(허흥식, 일조각, 1981)
「광종대의 개혁과 문신관료층의 역할」(전기웅, 『나말여초의 정치사회와 문인지식층』, 혜안, 1996)
「최승로의 상서문에 보이는 광종대의 ‘후생’과 경종원년 전시과」(김당택, 『고려광종연구』, 일조각, 1981)
「고려 광종대의 공복제정」(신호철, 『고려광종연구』, 일조각, 1981)
집필자
남인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