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전화숙 ()

회화
단체
1933년경 개설되어 회화를 교육했던 이상범의 개인 화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33년경 개설되어 회화를 교육했던 이상범의 개인 화숙.
개설 및 설립목적

청전(靑田) 이상범(李象範)은 1930년경부터 문하생을 받기 시작해서 배렴(裵濂)이 첫 제자가 되었고, 1933년 무렵에는 효자동 자택에 청전화숙을 마련하여 본격적으로 문하생들을 배출하기 시작했다. 청전화숙에는 배렴 외에 정용희(鄭用姬)ㆍ이현옥(李賢玉)ㆍ심은택(沈銀澤)ㆍ장철야(張哲野)ㆍ오석환(吳錫煥)ㆍ이건영(李建英)ㆍ정종여(鄭鍾汝)ㆍ심형필(沈亨弼) 등이 그림을 익혔고, 일제 말기에는 박노수(朴魯壽)도 이곳에서 배웠다. 누하동으로 이사한 후에도 계속해서 교육을 했다. 청전화숙 동문전은 1941년 첫 전시회를 개최한 후 1943년까지 3회가 열렸지만, 여기에 관한 기록은 많지 않다.

일제강점기에 조선미술전람회를 통해 수묵산수화의 큰 맥을 형성하고 있던 이상범은 20년대 후반부터 특선을 거듭하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향토적인 소박한 자연을 소재로 한 그의 산수화는 ‘청전풍’이라 불리며 큰 인기를 누렸고, 청전화숙에서 교육을 받은 제자들은 조선미술전람회에서 ‘황한미(荒寒美)’, ‘황량미(荒凉美)’의 청전화풍을 그대로 보여주었다.

참고문헌

『한국의 미술가』이상범(삼성문화재단, 1997)
『한국 근대회화선집』4(이구열, 금성출판사, 199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