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혜수 ()

회화
인물
해방 이후 송혜수미술연구소를 설립하여 후진양성에 힘쓴 화가. 서양화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3년 8월 13일
사망 연도
2005년
출생지
평양남도 평양 경창리 55번지 9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해방 이후 송혜수미술연구소를 설립하여 후진양성에 힘쓴 화가. 서양화가.
개설

평양 출신의 일본 유학파로서 6·25전쟁 이후 부산에 정착해 2005년 타계할 때까지 줄곧 전업작가의 삶을 살았다. 성장기와 청년기는 일제강점기와 해방, 6.25전쟁과 분단 속에서 평양, 동경, 만주, 서울 등으로 옮겨다니며 시대의 혼란을 겪었다. 미술교육은 일본 유학을 전후로 독학과 동경제국미술학교에서의 학습, 유화가 츠다 세이슈로부터의 사사를 통해 기초를 다졌다. 일본 유학시절부터 전위적인 작품 활동을 통해 독립미술협회전, 미술창작가협회전에서 입선하는 등 당시 일본 미술계로부터 큰 주목을 받았다. 당시 작품의 특징은 황토색을 주종으로 한 ‘소’를 통해 민족 정서, 생활 정서를 표현하고자 한 것이었다. 이후에도 ‘소’는 작업의 일관된 모티프였으며 그 외에도 ‘불상’, ‘여인’ 등을 다루었다. 조형적으로는 선묘와 색채가 강조된 구상화와 반추상화를 넘나들었다. 평생 실향민으로서 화단의 주류를 비켜선 재야 화가로서 풍운아처럼 떠돌며 살면서도 부산에 정착한 이후 송혜수미술연구소를 차려 후진양성에 힘썼다. 또한 92세를 일기로 타계하기 전 사재를 털어 송혜수미술상 기금을 마련하여 해마다 수상자를 배출하는 등 부산미술계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했다.

생애

1913년 평안남도 평양의 개화(開化)한 집안에서 2남 3녀의 막내로 태어났다. 평양에서 서당, 상수보통학교, 숭인고등보통학교를 다닌 뒤 일본 동경으로 건너가 1938년 도쿄 데이코쿠미술학교 유화과에 입학하여 5년 후인 1943년에 졸업했다. 유학을 마치고 만주에 머물다가 해방 후 서울에서 8.15 해방을 맞이했고, 남북 분단의 상황에서 남한에 정착했다. 그러나 6.25 전쟁이 발발하면서 부산으로 피난하여 그곳에 정착한 후 평생을 살았다.

활동사항

동경제국미술학교 재학시에 동경유학생들의 모임인 ‘백우회’ 회원으로 활동했다. 이 시기에 젊은 작가들, 재야미술인들의 활동공간인 ‘독립미술협회전’에서 입선하는 등 당시 일본 미술계로부터 인정을 받았다. 당시의 작품 성향은 소나 말을 주제로 하고 황토색을 주종으로 한 표현주의적, 초현실주의적 경향이 두드러졌으며 이를 통해 망국의 설움과 절망을 담고자 했다. 대학 졸업 후 일제의 징용을 피해 만주에 머물다 해방 후에 서울로 돌아와 활동을 재개했다. 해방 공간의 미술계가 대한미협과 미술협회로 양분되어 있을 때 송혜수는 김환기, 김병기, 장욱진, 김영주, 남관 등과 일종의 재야파 미술가들의 모임인 ‘50년 미술협회’를 결성했다. 6.25전쟁의 발발로 활동을 지속하지는 못했으나 의욕적인 활동 의지를 보여준 사례이다. 6·25전쟁 시기에 국방부 정훈국 종군화가로서 장욱진, 한묵과 함께 ‘종군 스케치 3인전’(1951)을 여는 등 다수의 단체전을 통해 참담한 시대상을 지속적으로 다루었다. 이후 부산에 자리를 잡고 부산작가로 활동하면서 재야파로 남았으나 1972년에는 한국신자유미술가회를 창립하여 활동 반경을 다지기도 했다. 또한 송혜수미술연구소를 통해 후진 양성에 힘을 쏟았고, 2005년 타계 직전에는 사재를 들여 ‘송혜수미술상’을 제정하여 후배 작가들의 활동을 독려하는 등 한국미술의 발전에 기여한 바가 크다.

상훈과 추모

동경제국미술학교 재학시절인 1941년에는 독립미술협회전에 출품하여 입선한 바 있고, 1942년에는 미술창작가협회전에서 2점이 입선, 1943년에는 역시 미술창작가협회전에서 6점이 입선하고 본상을 수상하여 일찍부터 재능과 역량을 인정받았다. 2001년에 동다송문화상을 수상했으며 2005년에 타계한 후 그 해에 송혜수미술상이 제정되었다.

참고문헌

「김준기의 부산미술 다시 읽기」(『부산일보』, 2008. 5. 22)
「자연의 확대와 감성의 양식화」(김윤수, 『한국현대미술전집』15, 정한출판사, 1980)
국립예술자료원(oralhistory.knaa.or.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