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는 목마름으로

대중음악
작품
김지하의 시 「타는 목마름으로」를 원작으로 1980년대 초중반 당시 연세대 학생이던 이성연이 작곡하였고, 대학가를 중심으로 구전되며 널리 퍼진 민중가요.
정의
김지하의 시 「타는 목마름으로」를 원작으로 1980년대 초중반 당시 연세대 학생이던 이성연이 작곡하였고, 대학가를 중심으로 구전되며 널리 퍼진 민중가요.
구성 및 형식

4/4박자 단조, 15마디의 노래로, 악곡은 비전문인 창작이 흔히 드러내는 거칠고 일관성이 없는 모습을 띠고 있다. 그러나 박정희 정권의 긴급조치 시대를 맞으며 썼던 원작시를 바탕으로 하여, ‘오직 한 가닥 타는 가슴속 목마름의 기억이’의 중반부와 ‘타는 목마름으로’로 이어지는 후반의 고음 절정부 등, 구절구절을 잘 살리는 선율 덕분에 수용자 대중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내용

김지하의 원작시가 1970년대 후반 내내 출간조차 되지 못한 채 필사의 형태로만 전파되다가, 1982년 창작과비평사에 의해 출간된 후 금세 판매금지 조치를 당하는 등 오랫동안 금지된 반독재투쟁의 상징 같은 시였고, 이 노래는 이 시의 가장 절절한 구절을 소리 높여 통곡하듯 부르도록 작곡되어 있었던 것이 수용자들의 큰 반향을 얻은 요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

구조가 취약한 악곡을 노래운동 집단인 새벽의 작곡자 문승현이 기타와 올갠 연주의 장중한 분위기로 편곡, 결점을 보완하여 비합법음반 『민주주의여 만세』(민중문화운동협의회, 1985)에 수록하였다. 공연에서는 주로 이 편곡을 바탕으로 남성 독창자가 부르는 방식으로 연주된다.

『민주주의여 만세』 수록 버전에서는 2절의 마지막 부분 하행 선율을 상행 선율로 바꾸어 피날레의 느낌을 주도록 마무리했는데, 1980년대 후반으로 넘어가면서 구전 과정에서 2절 마지막 부분에 ‘만세 만세 민주주의여 만세’라는 4마디의 고음 선율을 덧붙이는 방식으로 변형되어 불렸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1980년대 초중반 민중가요가 단조의 비장한 분위기의 노래로 그 인기 경향이 바뀌는 시기의 대표작이다. 1980년대 말 즈음에 수용자들에 의해, 단조의 행진곡은 ‘투쟁가’, 「타는 목마름으로」와 같은 중간 속도의 진지하고 장중한 분위기의 노래는 ‘서정가요’, 코믹하거나 흥겨운 분위기의 노래는 ‘일상가요’로 분류해서 지칭하는 경향이 생겼는데, 「타는 목마름으로」는 1980년대 초중반 「청산이 소리쳐 부르거든」, 「민중의 아버지」 등과 함께 서정가요의 관습을 만들어낸 대표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민족예술운동의 역사와 이론』(이영미, 한길사, 1991)
집필자
이영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