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벌 ()

개념
대대로 내려오는 그 집안의 사회적 신분이나 지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대대로 내려오는 그 집안의 사회적 신분이나 지위.
개설

문벌(門閥)의 ‘문(門)’은 가문(家門)을 뜻하는 말이며, ‘벌(閥)’은 신하의 공로를 나타내는 표지이다. 본래 ‘벌’은 신하의 공을 등급으로 표시하여 문 왼편에 걸며, ‘열(閱)’은 문 오른편에 건다. 이 표지가 역사 용어로 쓰이면서 ‘대대로 내려오는 그 집안의 사회적 신분이나 지위’를 뜻하는 말로 쓰였다.

연원 및 변천

문벌(門閥)의 형성은 고려시대 호족을 중심으로 한 귀족 세력으로부터 시작된다. 고려시대 문벌 귀족은 무신정권 이후 권문세족으로 변화했으며, 조선시대에는 사림의 성장과 함께 원사(院祠)를 중심으로 한 가문 의식으로 변화하였다. 조선 중기 이후 문벌의 폐단이 점차 증가하였으며, 갑신정변 당시에는 문벌 타파가 개화당의 강령이 되기도 하였다.

내용

한국사에서 ‘문벌’은 ‘문벌귀족(門閥貴族)’, ‘경화문벌(京華門閥)’ 등과 같이 전문용어로 쓰일 경우가 많다. ‘문벌귀족’은 고려 전기에 과거제를 실시한 이후 대대로 입사(入仕)하여 벼슬을 할 수 있는 집안을 의미하는데, 이 때의 ‘귀족(貴族)’은 혈연 공동체를 뜻한다. 관료제가 정착되기 이전인 고려 전기에는 호족(豪族)을 비롯한 혈연 공동체가 중시되었고, 음서제(蔭敍制) 등을 통해 신분이나 직위 상속이 이루어졌다. 이들 지배 세력은 무신 정권 이후 ‘권문세가(權門勢家)’로 바뀌었다.

중앙집권적 양반관료 사회로 이행된 조선시대에는 『경국대전』을 비롯한 법전을 중심으로 관료 임용이 이루어졌으나, 경직(京職)과 외직(外職)의 구분, 관료 승진의 제한, 겸직 제도의 채용 등을 통해 문벌이 강화될 수 있는 요지가 강했다. 특히 문과(文科) 과거 합격자를 다수 배출하는 씨족(氏族)이 등장하였으며, 이를 중심으로 문벌의식이 형성되어 갔다.

조선 중기 사림(士林) 세력의 등장과 교학진흥책(敎學振興策)으로 설립되기 시작한 서원(書院)은 문벌의식을 공고히 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으며, 사회에서 문벌이 되기 위해서는 집안 대대로 청화요직(淸華要職)을 거친 현관(顯官)을 배출한 환족(宦族)이 되거나, 아니면 학자로 이름을 떨치고, 충절(忠節)·효열자(孝烈者)를 배출해야 했다. 이와 관련하여 원사(院祠)는 사림의 강학(講學)을 위한 장소 제공 및 선유(先儒) 제향(祭享)을 목적으로 설립한 것이었으나, 가문을 빛낸 현조(顯祖)를 밝히고 세상에 높이 드러냄으로써 문인(門人)이나 후손(後孫)의 신분 유지 기능을 담당하면서부터 그 폐단이 심해지기 시작했다.

1884년 갑신정변 당시 개화당이 제시한 ‘갑신혁신정강(甲申革新政綱)’ 제2조에서는 문벌의 폐해를 없애고자 “문벌을 폐지하여 인민 평등의 권(權)을 제정하고, 사람의 능력으로써 관직을 택하게 하지, 관직으로써 사람을 택하지 않을 것”을 강령으로 설정한 바 있다.

현황

1980년대 이후 조선시대 문벌의식 형성의 근간이 되었던 원사(院祠)나 과거 급제자를 중심으로 한 씨족(氏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서원(書院)은 사림의 교육진흥책에서 비롯된 면이 있지만, 결과적으로 조선시대 학맥(學脈) 형성의 기반을 이루었다는 점에서 문벌의 폐단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세도정치를 끝내고 집권한 대원군(大院君)은 1868년부터 서원에 세금을 징수하고, 1871년에는 서원과 사묘(祠廟)를 폐지함으로써 전국적으로 47개의 서원만 남게 되었다. 그러나 서원과 사묘로 대표되는 문벌 의식은 과거제가 폐지된 이후에도 한국 사회에 지속적인 영향을 끼쳐 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의의와 평가

문벌의식은 가문(家門)과 문인(門人)의 신분 질서 유지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특히 조선 중기 이후의 원사(院祠)는 문벌의식을 공고히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 중 하나가 사림의 교학진흥 차원에서 설립된 서원(書院)인데, 중종 때 공신 계열에 가까웠던 주세붕이 외직(外職)을 받아 풍기군수로 재직하면서 설립한 ‘백운동서원’으로부터 본격적인 서원 보급 운동이 일어난 것도 문벌의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들 서원은 18세기 이후 문중(門中) 중심의 서원으로 변화하면서 문벌의 폐단을 야기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조선의 서원』(이호일, 가람기획, 2006)
『한국의 서원과 학맥연구』(경기대학교 소성학술연구원, 국학자료원, 2002)
『조선시대 서원연구』(정만조, 집문당, 1997)
『고려 사회사 연구』(허흥식, 아세아문화사, 1981)
『조선서원의 성립과정』(정만조, 국사편찬위원회, 1980)
『개화기 연구』(이광린, 일조각, 1973)
「고려와 조선왕조의 관리등용제도 변화 연구: 음서제를 중심으로」(조성택·최연택, 『한국행정사학지』27, 한국행정사학회, 2010)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