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잡가 (긴)

국악
제도
조선말기 서울 용산구 청파동 일대의 사계축(四契軸) 소리꾼들이 즐겨 부르던 노랫말이 긴 노래.
이칭
이칭
잡소리, 속가, 속요, 좌창, 십이잡가, 경기잡가
정의
조선말기 서울 용산구 청파동 일대의 사계축(四契軸) 소리꾼들이 즐겨 부르던 노랫말이 긴 노래.
개설

한 겨울 파를 기르는 파움이 긴잡가를 부르는 사계축 소리꾼들의 소리방이었다. 여기 모여서 그들은 흥겹게 놀고, 노래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을 가르치기도 하였다. 비단 청파동 일대만이 아니라 이태원ㆍ서빙고ㆍ왕십리ㆍ마장동ㆍ응봉동ㆍ뚝섬 등도 유명하였다.

내용

조선말기 사계축 소리꾼들이 즐겨 부르던 노랫말이 긴 노래이다. 사계축이란 지금의 서울역 뒤쪽의 만리동 및 청파동 일대를 일컫는 지역명이다. 사계축 소리꾼은 이 지역 출신의 잡가 명창이다. 여류 명창 중에는 더벅머리 삼패기생들(三牌妓生: 조선 말기, 기생 가운데 가장 낮은 계층의 기생. 가무보다 잡가를 위주로 함.)이 불렀다고 한다.

선소리 산타령 같은 노래는 마당에서 서서 노래한다고 선소리, 또는 입창(立唱)이라고 하는데, 이에 반해 긴잡가는 방안에서 앉아서 부른다고 좌창(座唱)이라고도 부른다.

19세기말 사계축 소리꾼들에 의한 긴잡가는 구한말 무렵 추ㆍ조ㆍ박이 전승하면서 12잡가로 발전되었다. 추ㆍ조ㆍ박은 추교신(秋敎信)ㆍ조기준(曺基俊)ㆍ박춘경(朴春景)의 성으로 당시 명성이 높았던 세 명창을 아울러 부르던 말이다. 이 중에서 특히 박춘경이 잡가에 뛰어났다고 한다.

12잡가는 「유산가(遊山歌)」ㆍ「적벽가(赤壁歌)」ㆍ「제비가」ㆍ「집장가(執杖歌)」ㆍ「소춘향가(小春香歌)」ㆍ「선유가(船遊歌)」ㆍ「형장가(刑杖歌)」ㆍ「평양가(平壤歌)」 등 팔잡가(八雜歌)와 「십장가(十杖歌)」ㆍ「방물가(房物歌)」ㆍ「출인가(出引歌)」 등 잡잡가(雜雜歌) 4편으로 이루어진다. 이외에도 긴잡가에는 「풍등가(豐登歌)」ㆍ「금강산타령」ㆍ「토끼화상」ㆍ「자진방물가」ㆍ「변강쇠타령」 등이 있다.

추ㆍ조ㆍ박 세 명창은 20세기 잡가의 기틀을 만들었고, 일제강점기 잡가 명창인 박춘재(朴春載: 1881∼1948)ㆍ주수봉(朱壽奉)ㆍ최경식(崔景植: 1876∼1949)에게 긴잡가를 전승시켰다.

최경식은 이창배(李昌培: 1916∼1985)에게 잡가를 전승시켰다. 이창배는 1951년 국립국악원이 개원되자 국악사로 봉직하였고, 국악사양성소과 국악예술학교에서 가르쳤다. 그리고 1957년 청구고전성악학원(靑丘古典聲樂學院)을 만들어 경서도소리를 가르치면서 이곳이 경서도소리 명창들의 중심지 구실을 하였다. 그의 문하에서 최창남ㆍ박태여ㆍ백영춘ㆍ이춘희ㆍ김혜란 등과 같은 경기명창이 배출되었다.

긴잡가의 장단은 12가사처럼 대부분 도드리장단이고 「집장가」만이 세마치장단이다. 음계는 「선유가」ㆍ「평양가」ㆍ「달거리」ㆍ「출인가」 등은 경기민요와 유사하고 나머지는 서도민요와 유사하다. 형식은 대부분 유절형식(有節形式)이다.

변천과 현황

긴잡가는 조선말기 사계축 소리꾼과 삼패 기생들이 즐겨 부르던 노래이다. 이후 추ㆍ조ㆍ박이 전승하면서 12잡가로 발전되었다.

일제강점기 경성방송국에서 방송된 경성잡가ㆍ경성좌창이 긴잡가에 해당한다. 경성방송국에서는 긴잡가 중 「달거리」ㆍ「방물가」ㆍ「선유가」ㆍ「소춘향가」ㆍ「유산가」ㆍ「적벽가」ㆍ「제비가」ㆍ「집장가」 8곡만이 방송되었다.

1974년에 경기민요라는 이름으로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1998년에 묵계월ㆍ이은주(李銀珠)가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2000년 8월 21일 경기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긴잡가의 사설과 창법은 12가사와 비교해 보면 그 특징이 뚜렷하게 드러난다. 가사가 지식층들이 즐겨 인용하는 한문시를 많이 혼용하고 있는데 반하여 잡가는 서민들의 직설적인 표현이 많다. 그리고 창법은 가사가 가늘고 부드럽고 세련된 발성법에 때로는 속청(falsetto)을 쓰고 정악(正樂)에서 쓰는 표현법을 써서 마치 세피리를 연상시키는 데 반하여 잡가는 소위 ‘잡가목’이라 하여 굵고 힘차고 폭이 넓은 요성(搖聲)을 써서 마치 굿거리 때 부는 향피리를 연상시킨다.

참고문헌

『증보한국음악통사』(송방송, 민속원, 2007)
『잡가』(한국국악학회, 1983)
『한국가창대계』(리창배, 홍인문화사, 1976)
『국악개론』(장사훈ㆍ한만영, 한국국악학회, 1975)
『가요집성』(리창배, 청구고전성악학원, 1965)
『국악개요』(장사훈, 정연사, 1961)
「현행 십이잡가와 단가의 역사적 조명」(송방송, 『한국근대음악의 전개양상』, 2005)
「서울의 속가」(성경린, 『향토 서울』 2, 1968)
정창관의 국악CD음반세계(http://www.gugakcd.kr)
집필자
최선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