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기 호성공신교서 및 초상 ( )

이공기 호성공신교서
이공기 호성공신교서
조선시대사
유물
국가유산
1604년(선조 37) 10월에 호성공신 3등에 녹훈된 이공기에게 내린 공신 교서와 호성공신 녹훈 후 왕명에 의해 제작되고 하사된 호성공신 초상화.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이공기 호성공신교서 및 초상(李公沂 扈聖功臣敎書 및 肖像)
분류
유물/일반회화/인물화/초상화
지정기관
충청북도
종목
충청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9년 09월 11일 지정)
소재지
충청북도 제천시 의림대로47길 7 (모산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604년(선조 37) 10월에 호성공신 3등에 녹훈된 이공기에게 내린 공신 교서와 호성공신 녹훈 후 왕명에 의해 제작되고 하사된 호성공신 초상화.
개설

조선 중기의 명의(名醫)로 알려진 한계군(韓溪君)이공기(李公沂, ?∼1605)는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선조 연간에 어의(御醫)를 지냈고 수의(首醫: 내의원 소속의 우두머리 의관)에까지 올랐다. 임진왜란 때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扈從)한 공으로 허준(許浚, 1539∼1615) 등과 함께 호성공신(扈聖功臣) 3등에 녹훈(錄勳)되었고, 1644년(인조 22)에 종1품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추증되었다. 이공기 호성공신 교서는 1604년(선조 37) 10월에 내린 교서이다.『선조실록』에 호성(扈聖), 선무(宣武), 청난(淸難) 삼공신(三功臣)에게 교서를 반사(頒賜)한 의식에 대한 내용이 수록되었다. 같은 해에 삼공신의 공신상을 제작하라는 왕명이 내려졌는데, 이공기 초상은 바로 이때에 그려진 초상화이다. 2009년 9월 11일에 충청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내용

호성공신은 임진왜란 중에 서울에서 의주까지 선조의 피난길을 호종했던 86명의 공신을 말한다. 의관인 이공기는 3등 공신 53명 중 36번째로 등재되었다. 이공기 호성공신교서에는 공적 사례, 공신에 대한 포상과 특전, 공신의 명단, 사실증명 등이 차례로 기록되었지만, 앞부분이 손실되어 완전한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 글은 승지 신지제(申之悌)가 짓고 글씨는 당대의 명필인 한호(韓濩)가 썼다.

초상은 사모(紗帽)에 단령(團領)을 착용하였고, 소매 안에서 두 손을 맞잡아 공경을 나타내는 공수자세(拱手姿勢)를 취하였으며 의자에 앉아 있는 좌안칠분면(左顔七分面: 왼쪽 얼굴이 7/10 정도 보이는 얼굴방향)의 전신좌상(全身坐像)이다.

관복의 가슴에는 기러기와 구름 문양이 장식된 운안흉배(雲雁胸背)가 부착되었으며, 종2품 관리가 관복이나 조복에 띠던 학정금대(鶴頂金帶)를 착용하고 있어 당시 이공기의 품계가 종2품 관원인 것으로 확인된다. 단령은 깃이 깊게 파이지 않고 단령의 아래 트임 사이로 붉은 첩리(帖裏: 상의와 하의를 따로 구성해 허리에서 연결한 형태의 겉옷)와 녹색 안감이 드러난다. 화폭의 오른쪽 의자 손잡이 위로 세모꼴의 무(웃옷의 양쪽 겨드랑이 아래에 덧댄 부위)가 보여 17세기 전반 초상화의 특징을 보인다.

얼굴은 담홍색의 옅은 색조로 안색을 표현하고 윤곽선과 이목구비는 약간 짙은 색의 선으로 나타내었다. 코 부분은 음영을 넣지 않고 필선으로만 표현하였다. 뺨과 법령(法令: 얼굴의 양쪽 코 끝에서 입술 가에 이르는 부위) 부분의 주름 역시 약간 짙은 색의 필선으로 표시하고 선염을 넣지 않았지만 얼굴의 튀어나온 부위에는 붉은 기를 살짝 칠해 입체감을 표현하였다. 수염은 흑백 필선을 섞어 그렸는데, 그다지 공들이지 않고 곧은 선으로 그렸고 입술색 역시 옅게 처리하였다. 옷 주름은 굵기가 고른 필선으로 묘사하였으며, 선염으로 옷감의 질감이나 주름의 굴곡을 표현하지 않아 조선 초기 공신상의 화법을 계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징

이공기 초상 외에 현전하는 호성공신의 상은 여러 점이 있다. 그러나 이공기 초상은 후에 채색을 더하거나 보수한 흔적이 없는 1604년(선조 37) 경에 제작된 원본으로, 17세기 초에 공신 상의 전형적인 형식과 기법을 보여준다. 또한 이 초상은 현존하는 유일한 의관(醫官)의 초상화라는 점에서 매우 귀중한 작품이다.

현황

호성공신 교서는 대나무 종이와 비단을 사용해 만들었으며, 세로 39㎝, 가로 195㎝ 두루마리 형태이다. 이 교서에는 선조가 호성공신에 봉한 1등 2명, 2등 31명, 3등 53명 등 모두 86명의 이름이 수록되었다. 두루마리 앞부분은 손상되어 완전한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 비단 바탕에 채색을 사용해 그린 초상화는 세로 164㎝, 가로 90㎝이며, 족자 형태로 표구되었다.

충청북도 제천시 송학면 도화리 한계영당(韓溪影堂) 에 봉안되었는데, 교지(敎旨), 교첩(敎牒) 등 36점의 고문서와 함께 제천시에 기증되었다. 심하게 손상된 상태였지만, 전문적인 보수를 거쳐 제천의병전시관에 소장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공기 초상은 전체적인 형식이나 표현 기법에서 17세기 전반 공신 상의 전형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 현전하는 다른 호성공신상인 「이원익 초상(李元翼肖像)」, 「정탁 초상(鄭琢肖像)」, 「고희 초상(高羲肖像)」, 「이충원 초상(李忠元肖像)」 이나 같은 시기에 제작된 선무공신상인 「권응수 초상(權應銖肖像)」, 「조경 초상(趙儆肖像)」, 그리고 청난공신상인 「홍가신 초상(洪可臣肖像)」 등과 거의 동일한 형식과 양식을 보인다.

또한 나중에 채색을 더하거나 보수한 흔적이 없어 1604년(선조 37)에 제작된 호성공신상의 원본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제작 시기가 명확하게 밝혀지는 이공기 초상은 당시의 초상화 제작의 양상은 물론, 양식적 특징을 파악하는 기준이 되며 복식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참고문헌

『조선의 공신』(한국학중앙연구원, 2012)
『제천 한방의 역사와 이공기』(조선미, 세명대학교지역문화연구소, 2007)
『한국복식문화사전』(김영숙 편저, 미술문화, 1999)
「조선중기『녹훈도감의궤』와 공신화상에 관한 연구」(권혁산,『미술사학연구』266, 2010)
「조선중기 공신화상에 대한 연구」(권혁산, 홍익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7)
국가유산청(www.khs.go.kr)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