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예24기 ()

무예도보통지 / 권법총토
무예도보통지 / 권법총토
체육
개념
조선후기 편찬한 『무예도보통지』의 지상무예 18가지와 마상무예 6가지를 합한 24가지의 국방무예. 무예24반.
이칭
이칭
무예24반
정의
조선후기 편찬한 『무예도보통지』의 지상무예 18가지와 마상무예 6가지를 합한 24가지의 국방무예. 무예24반.
개설

『무예도보통지』의 24가지 무예를 현대 무예인들이 무예24기 또는 무예24반이라 칭하고 있다.

연원 및 변천

1592년 임진왜란을 계기로 무예서의 편찬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1594년(선조 26) 훈련원이 만들어지면서 선조의 명을 받아 한교의 무예 6기인 『무예제보』(곤방, 등패, 낭선, 장창, 당파, 상수도)가 완성되었고, 영조 때 12기(죽장창, 기창, 예도, 왜검, 왜검교전, 월도, 협도, 쌍검, 제독검, 본국검, 권법, 편곤)을 더하여 18기 무예의 내용을 담은『무예신보』가 완성되었다. 이후 1790년(정조 14) 정조의 명을 받은 이덕무, 박제가, 백동수 등이 마상 6기(기창, 마상월도, 마상쌍검, 마상편곤, 격구, 마상재)를 더해 『무예도보통지』를 편찬하였다.

내용

『무예도보통지』에는 장창(長槍)·죽장창·기창(旗槍)·당파(鏜鈀)·기창(騎槍)·낭선(狼筅),

쌍수도(雙手刀)·예도(銳刀)·왜검(倭劍), 제독검(提督劍)·본국검(本國劍)·쌍검·마상쌍검(馬上雙劍)·월도(月刀)·마상월도·협도(挾刀) 및 등패(藤牌)의 요도(腰刀)와 표창(標槍), 권법(拳法)·곤봉·편곤(鞭棍)·마상편곤·격구(擊球)·마상재(馬上才) 등 총 24가지의 기술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무예24기는 『무예도보통지』를 통해 구한말 구식군대의 해산 전까지 조선의 국방무예로 활용되었다.

참고문헌

「무예24기 보존회」(김태완 외, 『제14회 전통무예시연회』, 2010)
「기효신서 (紀效新書), 무예제보 (武藝諸譜), 무예도보통지 (武藝圖譜通志) 비교연구」(나영일, 『한국체육학회지』 36(4), 1997)
사단법인 24반무예협회(www.24banmuye.co.kr)
십팔기보존회(www.sippalki.com)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