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한 ()

무용
문헌
1927년에, 장한사에서 경성의 권번 기생들이 자신들의 의견을 표출하기 위하여 창간한 잡지.
정의
1927년에, 장한사에서 경성의 권번 기생들이 자신들의 의견을 표출하기 위하여 창간한 잡지.
편찬/발간 경위

경성의 권번 기생들이 대사회적으로 자신들의 의견을 표출하기 위해 발간하였다. 편집 겸 발행인은 김보패(金寶貝)로 되어있으나, 실제 편집은 프롤레타리아 문학가 서해(曙海) 최학송(崔鶴松, 1901~1932)이 했다. 주요한 기생 필자는 김월선(金月仙, 대정권번), 전난홍(全蘭紅, 대정권번), 김녹주(金綠珠, 한남권번), 전산옥(全山玉, 한성권번), 이월향(李月香, 대정권번), 박녹주(朴綠株, 한남권번), 김계화(金桂花, 광주기생조합 출신), 윤옥향(尹玉香, 한남권번) 등으로 당시 경성에서 활동한 일급기생이었다.

서지적 사항

창간호는 1927년 1월 10일 날짜로 발간되었고, 장한사가 발행했다. 창간호의 전체 면수는 125쪽으로, 광고 등을 제외하고 본문은 111쪽이다. 2호는 108쪽으로 발행되었다.

내용

『장한』은 기생 신세의 한탄부터 기생제도의 철폐, 사회비판에 대한 의견, 의학상식, 기생이 갖추어야 할 소양에 대한 내용들이 담겨있다. 기생의 예술적 소양을 높이기 위해 시조, 소설, 중국 고전, 이태리 가극도 실었다. 문화의 향상과 풍속의 개선을 위해 기여하자는 의견도 있고, 사회변혁을 위해 계급 모순과 차별 타파를 결의하는 내용도 있다. 1호에는 총 48개의 글이 실렸는데, 기생의 글이 26편이다. 이중 17편이 논설류이고, 나머지는 수필, 수기, 문예물, 동화이다. 외부 필진의 논설류와 야화, 콩트, 촌평, 가십, 정보기사 등도 실렸다. 2호에는 총 40편 중에 기생의 글이 26편이고, 이중 논설류가 11편이다. 나머지는 외부 필진의 논설, 시사평, 수필, 우화, 야담, 꽁트, 정보기사, 영화소설, 번역시들이다. 2호는 1호의 선언적 발언에 비해 일상 속으로 천착한 글들이 많고, 교양과 오락물이 좀 더 강화되었다.

잡지의 표지 그림이 흥미로운데, 1호에는 ‘동무여 생각하라 조롱 속에 이 몸을’라는 문구와 함께 새장 속에 기생이 들어있는 그림이 그려있다. 그러나 2호의 표지그림은 한복을 입은 기생과 양장에 단발을 한 여성이 손을 맞잡고 있고, 배경에 해가 떠오르고 있다. 기생들은 더 이상 음지에서 한탄하지 않고, 자신들의 의견을 당당하게 펼치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이다.

의의와 평가

최초의 여성잡지 『여자지남』(1908) 이후 계몽적 성격의 여성잡지가 꾸준히 발간되며 1920년대에도 다양한 계층의 여성잡지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이 『장한』의 발간을 가능케 했다. 이 잡지는 일차적으로 기생을 주된 필자와 독자층으로 설정한 잡지였고, 일제강점기 근대 기생들이 사회변화 속에서 자신들의 의견과 입지를 공적 공간에 드러낸 잡지였다.

참고문헌

『근대 기생의 문화와 예술: 자료편』1(손종흠 외 편, 보고사, 2009)
「1920년대 기녀 시조문학의 한 양상연구」(신현규, 『시조학논총』 35, 2011)
「식민지시대 기생연구 3: 기생잡지 장한을 중심으로」(서지영, 『대동문화연구』 53, 2006)
집필자
김영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