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릿대

식물
동식물
벼과 조릿대속에 속하는 대나무.
이칭
이칭
기주조릿대
정의
벼과 조릿대속에 속하는 대나무.
내용

조릿대는 벼과에 속하는 키작은 대나무로 우리나라의 어느 숲에서나 흔하게 볼 수 있다. 조릿대라는 이름은 ‘ 조리를 만드는 대나무’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리는 곡식에 들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기구이다. 학명은 Sasa borealis (Hack.) Makino이다.

잎은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 가지 끝에 2∼3개씩 달린다. 높이는 1∼2m 가량 자란다. 땅속에서 뿌리줄기가 뻗어 새로운 개체가 발생하는 영양번식과 씨앗을 통해 번식하는 종자번식을 함께 한다. 꽃은 5∼6년마다 한 번씩 핀다고 알려져 있으나 일정하지 않고, 꽃이 피고 나면 지상부는 죽는다.

조릿대는 나무의 성질과 풀의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다. 나무처럼 단단한 목질을 지녀 나무와 유사하지만, 첫 해에 성장이 멈추고 더 이상 줄기가 두꺼워지지 않는 것은 여러해살이 풀에 가깝다. 음지에서도 잘 자라고 추위에 강하며, 수분이 적당하고 비옥한 토양을 좋아한다. 공해와 주1를 견디는 능력이 다소 있지만 건조에는 약하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조리는 물속에서 흔들면서 쌀을 이는 기구로 가볍고 물이 잘 빠져야 하므로 조리 만들기에는 조릿대가 안성맞춤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정월 초하룻날 1년간 쓸 조리를 한꺼번에 사서 실이나 엿 등을 담아 벽에 걸어두는 풍습이 있다. 이는 조리로 쌀을 떠서 이듯이 복도 그렇게 뜨라는 의미로 복조리라고 불렀다.

조릿대는 주로 공예품이나 약용, 관상용으로 사용하였다. 줄기는 가늘고 유연성이 좋아 쉽게 휘고 비틀 수 있으므로 조리 이외에도 작은 상자나 키, 바구니 등 옛사람들의 각종 생활기구 재료로 널리 쓰였다.

잎은 치열(治熱)에 사용하였으며, 떡이 상하지 않도록 조릿대 잎으로 싸 두기도 하였다. 잎이 다소 넓고 관상가치가 높아 정원이나 공원 등의 지피식생으로 많이 사용된다. 늘 푸르기 때문에 겨울 경관을 아름답게 장식한다.

참고문헌

『(문화로 역사로 만나는) 우리 나무의 세계』1(박상진, 김영사, 2011)
『우리나라 나무 이야기』(박영하, 이비락, 2004)
『원색 대한식물도감』(이창복, 향문사, 2003)
국가생물종정보시스템(www.nature.go.kr)
주석
주1

태풍 따위의 영향으로 바다에서 소금기가 있는 바람이 불어와 생기는 피해. 식물의 고사(枯死), 송전선의 합선 사고 따위가 일어난다.    우리말샘

집필자
이호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