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해도 이남의 표고 200∼1,000m 산비탈에 자생한다. 좀쇠물푸레나무 혹은 계룡쇠물푸레로도 불린다. 원산지는 한국과 일본이다. 학명은 Fraxinus sieboldiana Bl.이다.
잎은 마주나기를 하며 홀수 1회 깃꼴겹잎이다. 잎의 길이는 10∼15㎝이다. 작은 잎은 5∼9개이며 달걀형 또는 긴 달걀형이다. 작은 잎의 길이는 5∼10㎝, 너비는 1.5∼3.5㎝이다. 포린은 털이 없고 녹색 또는 홍록색이다. 잎의 뒷면은 중앙맥에 털이 있다.
꽃은 암수딴몸이다. 5월경 새 가지 끝에 원뿔꽃차례로 맨 위쪽 또는 잎겨드랑이에서 흰색 꽃이 많이 핀다. 꽃받침은 거치처럼 작으며 꽃부리는 깊게 4개로 갈라진다. 꽃잎은 선모양의 피침형이며 흰색이다. 수꽃은 수술이 2개이며, 꽃밥이 황색이다. 암꽃은 암술대와 암술머리가 각각 1개이며, 퇴화한 수술이 2개 있다.
열매는 선 모양의 피침형 또는 거꿀 피침형으로 9월에 홍갈색으로 익는데, 시과(翅果)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작은 가지는 회갈색으로 어릴 때 잔털이 있다. 나무껍질은 회색이다. 쇠물푸레나무에 비해 작은 잎에 거치가 거의 없으며 수형이 작고 잎이 보통 5개인 것을 좀쇠물푸레나무라고 한다.
한방에서는 껍질을 진피(秦皮)라고 한다. 습열이 많아서 발생한 이질, 대하, 간열로 인한 다래끼, 안구충혈, 동통, 해수와 천식의 진해 · 거담작용 등에 쓴다. 특히 만성 기관지염에 유효율이 높다고 한다.
충청도 지방에서는 나무가 질기고 단단해서 도끼, 괭이, 쟁기자루, 써레, 소코뚜레 등을 만든다. 또 도리깨를 만들 때 자루 끝에 연결되어 있는 타곡부를 만들기도 하고 무늬가 좋아서 목기를 만들 때에도 사용한다고 한다.
강원도 지방에서는 봄에 잎을 삶아 나물로 먹고, 고로쇠나무처럼 수액도 받아먹는다. 또 나무껍질을 달여 먹으면 류머티즘, 통풍, 기관지염, 설사, 해열, 장염 등에 좋다고 한다. 나무는 재질이 단단해서 곡괭이자루, 호미자루, 도끼자루, 소연장, 떡메자루 등에 쓰며 줄기는 망태자루나 바구니를 엮을 때 쓴다고 한다.
나무는 정원이나 공원의 조경수로 주로 이용된다. 목재는 농기구, 건축재, 가구재, 운동 기구재 등으로 쓰인다. 물푸레나무와 함께 나무껍질을 이용한 천연 염색 재료 소재로도 많이 이용하고 있다. 쇠물푸레나무 근피로부터 쿠마린(coumarin) 배당체 등을 분리하여 의약품 원료식물로 이용하는 연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