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민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평안남도 대동군 금제면 원장리와 강서군 반석면 상사리 사천시장 일대의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했다가 체포되어 순국한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919년 3월 17일
출생지
평안남도 대동
대표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내용 요약

김제민은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대동군 금제면 원장리와 강서군 반석면 사천시장 일대에서 일어난 만세시위에 참가한 독립운동가이다. 1919년 3월 4일 대동군 금제면 원장리에서 만세시위를 시작하였고, 이어 강서군 반석면 상사리 사천장에서 전개된 만세시위에 참가하였다. 일본 헌병이 발포하며 군중들과 대립하였고 군중들에게 일본 헌병이 살해되었다. 평양헌병대에 체포되어 조사를 받던 중 고문으로 인해 사망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평안남도 대동군 금제면 원장리와 강서군 반석면 상사리 사천시장 일대의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했다가 체포되어 순국한 독립운동가.
주요 활동

1919년 3월 4일 평안남도 대동군 금제면(金祭面) 원장리(院場里)와 강서군 반석면(班石面) 상사리(上四里) 사천시장(沙川市場) 일대에서 만세시위가 전개되였다. 대동군 금제면 원장리에서 사천까지 약 25리[약 9.8㎞]에 있었다. 두 곳은 다른 군이지만 각기 면사무소 소재지이며, 5일 만에 한 번씩 장이 서므로 서로 왕래가 잦았다. 사천장은 모락장이라고도 한다.

기독교 장로교파 소속 반석교회(盤石敎會)와 원장교회(院場敎會)는 모두 수백 명의 신도가 있었다. 두 교회는 원장리 장날인 3월 4일 오전 10시에 합동으로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먼저 원장교회 장로 차병규(車炳奎)의 기도, 장로 지석용(池錫湧)의 독립선언서 낭독으로 진행하였다. 참가자들은 양손에 태극기를 들고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면서 원장리 장터로 행진을 시작하였다. 대동군 출신인 김제민은 시위대와 함께 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원장리 시위대는 연행당한 사천장교회 간부들을 구출하기 위해 사천장으로 나아갔다. 시위 행렬의 선두가 사천시장 초입에 당도하였을 때 가까운 곳에서 현지 헌병주재소장이 지휘하는 헌병들은 시위 참가자들에게 무차별로 총을 난사하였고, 시위가 격렬해지며 군중들은 일본 헌병을 살해하였다. 그 뒤 일본 헌병들은 시위대원 400여 명을 체포하였다.

일본 헌병들은 체포된 시위대원들을 강서경찰서와 평양경찰서에 나누어 구금한 후, 가혹하고 야만적인 고문을 연일 계속하였다. 피검자 중 최명흠(崔明欽)은 평양경찰서에서, 김점현(金漸鉉)은 강서경찰서에서 순국하였다.

김제민은 3월 17일 평양헌병대에 체포되어 세 차례에 걸쳐 심한 고문을 받다가 사망하였다. 함께 체포되어 재판을 받은 임원걸(林元杰)과 양희언(梁希彦)의 판결문에는 김제민과 최명흠이 헌병에게 고문을 받다가 사망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상훈과 추모

2012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2(국가보훈처, 1971)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5(국가보훈처, 1971)

판결문

「판결문」(고등법원, 1919. 12. 6.)

인터넷 자료

공훈전자사료관(http://e-gonghun.mpva.go.kr)
집필자
이동언(선인역사문화연구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