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훈 ()

목차
정치
인물
일제강점기 때, 임시정부와 광복군을 지원하였으며, 해방 이후 호국군 106연대 부연대장, 국회의원 등을 역임한 군인 · 정치인 ·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2년
사망 연도
1951년
본관
대구
출생지
경상북도 대구
관련 사건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창당|한국전쟁|미군범죄사건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때, 임시정부와 광복군을 지원하였으며, 해방 이후 호국군 106연대 부연대장, 국회의원 등을 역임한 군인 · 정치인 · 독립운동가.
내용

1912년 1월 26일 경상북도 대구 출생으로, 일본 메이지대학[明治大學] 법대를 졸업했다. 김구·이시영 등 임시정부 요인들을 지원하는 활동을 했으며, 광복군이 귀국한 후에는 자신의 집 등 재산을 처분해 대전 인근에서 광복군의 생계를 지원했다.

해방 후 고향 대구로 돌아와 이후 국방력 강화가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군에 투신, 국군의 전신인 호국군(護國軍) 106연대 부연대장으로 취임해 국군 창설에 기여했다.

1950년 5월 30일 치러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 달성군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그러나 국회의원 활동을 시작한 지 한 달도 채 지나지 않아 한국전쟁이 발발했다.

1951년 1월 26일 대구 남산파출소 인근 주택가에서 미군 2명이 여자들을 성희롱하려 하자 대구 남구 청년단 단장 김용득과 함께 미군들을 저지하려다 미군이 쏜 총에 맞아 왼쪽 옆구리 관통상을 당했다. 이후 대구 중앙병원으로 이송되어 대수술을 받았으나, 2월 2일 사망했다.

장례는 대구가톨릭교회에서 5일장으로 치러졌으며 당시 전 국회의장 신익희, 경북 도지사 조재천, 대구시장 허억, 경북경찰국장 조준영 등이 참석, 조사를 낭독했다.

아들 권혁주는 1963년 부친 권오훈의 사망과 관련해 케네디 당시 미 대통령, 미 국무부 장관, 세계인권옹호협회, 미 8군 사령관, 박정희 대통령 등에게 탄원서를 제출했으나, 미 국무부는 6개월 후 “10년 시효가 지나서 기록을 알 수 없어 기각한다”는 답신을 보냈다.

참고문헌

『진실화해위원회 종합보고서』(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2010)
『대한민국의정총람』(국회의원총람발간위원회, 1994)
「맏아들 권혁주씨 56년 ‘통한의 세월’」(『매일신문』, 2007.1.26.)
「의정 30년 단상단하의 얼굴들」(『동아일보』, 1978.3.10.)
대한민국헌정회(www.rokps.or.kr)
집필자
손동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