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동관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개념
조선시대, 중국 사행단이 북경에서 머물던 숙소.
이칭
이칭
조선 사신관(朝鮮使臣館), 조선관(朝鮮館), 회동사역관(會同四譯館)
내용 요약

회동관(會同館)은 북경에 파견된 조선 사행단이 머물던 숙소다. 환영 예절인 하마연(下馬宴)과 환송 예절인 상마연(上馬宴)이 거행된 곳이며, 중국인과 유구 사신들이 찾아와서 필담을 나누며 국제 정세를 파악하고 학문적 교류를 행하던 곳이다. 또 사행단이 머무는 동안 역관과 수행원들 중심으로 중국 상인들과 개시, 후시무역을 행하던 무역 거점이기도 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중국 사행단이 북경에서 머물던 숙소.
연원 및 변천

회동관 규모는 영락제 때 북경에 설치된 것이 주1 430여 칸 규모였으며 1431년(세종 13· 명 선덕제 6)과 1501년(연산군 7· 명 홍치제 14) 두 차례 수리, 증축을 거쳐 470여 칸으로 확대되었다. 1441년(세종 23· 명 정통제 6)부터는 회동관이 남관과 북관으로 구분됐는데, 북관은 명 주7 주6 인원과 주8 국가, 서남 · 동북 소수 민족의 수령, 주9 및 그 사신이 사용하는 공간이었던 반면, 남관은 조선, 일본, 주10, 주11 등 조공국 사신과 그 수행 인원이 머무는 공간으로 쓰였다.

그러나 회동관은 단순히 중국 관료 및 외국 사신이 북경에서 머무는 숙소 이상의 기능을 했는데, 외교 문서를 처리하는 공적 사무 외에 각종 연회와 무역이 행해지던 곳이기도 했다. 조선 사행단 또한 회동관에 머물면서 예부에 주12주13을 바치고, 황제를 주14할 준비를 했으며, 통정사와 예부의 승인하에 무역을 행하였다. 이처럼 회동관에서 이루어지는 공식적인 교역 활동을 일컬어 회동관개시(會同館開市)라 한다. 회동관개시가 시작되면 조선사행단으로 참여한 역관, 상인들과 조정의 허가를 받은 중국 상인들이 회동관에 들어와 교역을 했다. 청나라 초기에는 홍려시(鴻臚寺)와 마관(馬館)이 회동관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였고, 1748년(영조 24· 청 건륭 13)에는 조공 사신의 문서 관리를 담당하던 사역관(四譯館)과 통합되어 ‘회동사역관(會同四譯館)’이라 칭하였다.

내용

회동관은 조선의 사신 일행이 머물렀으므로 ‘조선 사신관(朝鮮使臣館)’ 또는 ‘조선관(朝鮮館)’이라고도 한다. 회동관 남관은 옥하교의 곁에 있어서 ‘옥하관(玉河館)’으로 많이 불리었다. 명나라 때부터 조선의 사신들이 이곳에서 주로 주4해 왔으나, 명청 교체 이후 1689년(숙종 15) 네르친스크 주16으로 러시아가 북경에 진출하기 시작하면서 종종 러시아인들에게 양보하였다. 그 대신 조선 사신은 독포사(督捕司), 융복사(隆福寺), 지화사(智化寺), 북극사(北極寺), 법화사(法華寺) 등에 임시로 머물렀다.

1728년(영조 4· 청 건륭제 13)에 청과 러시아가 캬흐타 주15을 체결하여 러시아 정교회 수도 단체가 북경에 상주하면서 남관은 러시아인의 전용 관사인 아라사관(俄羅斯館)이 되고, 조선 사신들은 건어호동(乾魚衚洞, 현 감우호동(甘雨衚洞))에 위치한 도통 만비(都統滿丕)의 적몰 가옥으로 이전했다. 그러나 이곳을 러시아인들이 또 차지하자, 조선 사신은 기존의 남관에서 남서쪽으로 1리쯤 떨어진 곳에 신축한 남소관(南小館)으로 옮겨갔다.

때로 두 개 이상의 조선 사행이 북경에 동시에 체류할 때나 기타 사정이 있을 때에는 남소관과 함께 기존의 남관, 북관, 서관(西館) 및 건어호동관 등에 분산되어 유숙하기도 했다. 또 종친인 연행사(燕行使)의 정사는 일행과 별도로 회동관보다 훨씬 넓고 시설이 좋은 거경가(巨卿家)나 몽고 관사 등 특별 저택에 머물기도 했다.

회동관은 북경에 파견된 조선 사신들의 공적 활동의 거점으로서, 때로 환영 예절인 하마연(下馬宴)과 환송 예절인 상마연(上馬宴)이 거행된 곳이며, 중국인과 유구 사신들이 찾아와서 필담으로 교유하면서 국제 정세를 파악하던 곳이다. 또 사행이 귀국할 즈음에 사행의 수행원들 및 역관들이 중국 상인들과 며칠 동안 개시, 후시무역을 행하던 무역 거점이기도 했다.

회동관의 별관으로 불리던 남소관은 대략 4중으로 구분되어 관문(館門)을 들어선 후 첫째 집은 주5와 방물을 보관하는 장소이자, 삼사신(三使臣)의 회합 장소[廳事]로 사용되었다. 둘째 집은 정사(正使), 셋째 집은 부사(副使), 넷째 집은 서장관(書狀官)의 거처로 사용되었다. 각각의 집마다 건넌방과 좌우의 익랑(翼廊) 등이 있어서 반당(伴倘)과 비역(裨譯)들이 나누어 거처했다. 그러나 이마저 장소가 협소하여 동쪽 담 밖의 개인 집을 구입하여 담장을 허물고 그쪽에 북캉[北忼]을 만들어 주방(廚房)이나 역관(譯官)들의 거처로 삼았다. 회동관의 관문(館門)은 삼사신이나 예부의 관원이 출입하는 때에만 열어 두고, 연행사 일행 중의 다른 사람들은 동쪽으로 난 협문(夾門)으로 출입했다.

참고문헌

원전

『대명회전』
『연행록 전집』 제1∼100권(임기중 편,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宸垣識略』(淸 吳長元 輯)
『北京歷史輿圖集』(李誠 主編, 外文出版社, 2005)
『朝天日記』(趙憲)

단행본

이철성, 『朝鮮後期 對淸貿易史 硏究』(국학자료원, 1999)
유승주·이철성, 『조선후기 중국과의 무역사』(경인문화사, 2002)
구도영, 『16세기 한중무역연구』(태학사, 2018)

논문

강동엽,「연행사와 회동관」(『비교문학』 41, 비교문학회, 2007)
구도영, 「조선 전기 對明 使行貿易의 교역지대와 구성원」(『인문과학연구』 55, 2017)
손성욱, 「淸代 朝鮮使館으로 본 청·조관계 -會同館에서 駐淸公使館으로-」(『동국사학』 60,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6)
원재연, 「17∼19세기 연행사의 북경내 활동공간 연구」(『동북아역사논총』 26, 동북아역사재단, 2009)
임상훈, 「明과 朝鮮의 會同館 交易」(『전북사학』 52, 전북사학회, 2018)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방’을 전문적으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4

남의 집에서 묵음. 우리말샘

주5

조선 시대에, 해마다 음력 10월에 중국에 보내던 공물. 우리말샘

주6

관청에서 보내던 벼슬아치나 사자(使者). 우리말샘

주7

조선 시대에, 임금의 명령을 받들어 중죄인을 신문하는 일을 맡아 하던 관아. 왕족의 범죄, 반역죄ㆍ모역죄 따위의 대죄(大罪), 부조(父祖)에 대한 죄, 강상죄(綱常罪), 사헌부가 논핵(論劾)한 사건, 이(理)ㆍ원리(原理)의 조관(朝官)의 죄 따위를 다루었다. 우리말샘

주8

중국의 서쪽에 있던 여러 나라를 통틀어 이르는 말. 넓게는 중앙아시아ㆍ서부 아시아ㆍ인도를 포함하지만, 좁게는 지금의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 톈산 남로(天山南路)에 해당하는 타림 분지를 가리키는데, 한(漢)나라 때에는 36국이 있었으며, 동서 무역의 중요한 교통로로 문화 교류에 공헌이 컸다. 우리말샘

주9

고려ㆍ조선 시대에, 평안도와 함경도 지방 사람들에게 특별히 베푼 벼슬. 지방 토호들을 회유하기 위하여 관찰사나 절도사가 그 지방에서 유력한 사람을 선발하여 임명하였다. 우리말샘

주10

‘베트남’의 다른 이름. 중국 당나라 때, 지금의 베트남령에 안남 도호부를 둔 데서 유래한다. 우리말샘

주11

유럽에서, 몽골계의 한 부족인 칼무크족을 이르는 말. 12세기 무렵에 예니세이강 상류 지역에서 반수렵ㆍ반목축 생활을 하다가 칭기즈 칸에게 복속되었으나, 원나라가 쇠망하자 세력을 키워 15세기 무렵에는 전 몽골을 지배하였다. 1757년에 청나라에 멸망하였다. 우리말샘

주12

마음에 품은 생각을 적어서 임금에게 올리는 글. 우리말샘

주13

관찰사나 수령이 임금에게 바치던 그 고장의 특산물. 우리말샘

주14

지체가 높고 귀한 사람을 찾아가 뵘. 우리말샘

주15

1727년 캬흐타에서 중국 청나라와 제정 러시아가 맺은 조약. 국경 획정과 무역에 관하여 협정하였다. 우리말샘

주16

1689년에 네르친스크에서 청나라와 러시아가 맺은 국경 확정 조약. 스타노보이산맥과 아르군강으로 국경을 정했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