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일승문답 ()

불교
문헌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도신이 의상의 『화엄경』에 대한 강의를 집록한 불교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도신이 의상의 『화엄경』에 대한 강의를 집록한 불교서.
개설

『화엄일승문답(華嚴一乘問答)』 2권은 현재 전하지 않으며, 그 단편들이 균여(均如, 923∼973)의 저술과 『법계도기총수록(法界圖記叢髓錄)』에 인용되어 전한다. 『화엄일승문답』은 줄여서 『일승문답』이라고 하며, 『도신장(道身章)』이라고도 한다.

편찬/발간 경위

진정(眞定)은 의상의 십성제자(十聖弟子)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는 출가한 지 3년이 지나 어머니의 부음을 전해 듣고는 선정에 들어 이레 만에 일어났다. 선정에서 나온 그는 이 일을 의상에게 말하였고 의상은 문도들을 데리고 소백산 추동으로 가서 풀을 엮어 초막을 짓고 90일 동안 『화엄경(華嚴經)』을 강의하였다. 의상의 뛰어난 제자인 도신이 이것을 집록한 것이 『도신장』이다.

내용

균여의 저술이나 『법계도기총수록』에는 『도신장』이 다수 인용되어 전한다. 그 내용은 무주(無住), 십불(十佛), 일승의 연기법(緣起法), 이(理)·사(事), 동교(同敎)·별교(別敎), 삼성(三性)·삼무성(三無性) 외에 의상의 학설, 지엄의 학설, 원효와 법장의 대소설(大小說) 등이다.

『석화엄지귀장원통초(釋華嚴旨歸章圓通鈔)』에 인용된 『도신장』에는, ‘나의 당불(當佛)이 도로 나를 교화하며 스스로가 본래 부처’라고 하는 의상의 화엄사상이 인용되어 있는데, 나로 하여금 발심수행하게 하는 부처란 바로 나의 당불이지 타불(他佛)이 아님을 강조하고, 성불하는 때에 삼세에 평등한 과법(果法)을 얻는다고 설명하였다. 이와 동일한 내용이 『법계도기총수록』에 인용된 『추혈문답』에도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도신장』은 의상의 『화엄경』 강의를 그 제자인 도신이 집록한 것이다. 이 저술은 현존하지 않지만 그 단편들이 균여의 저술이나 고려시대에 편찬된 『법계도기총수록』에 인용되어 전한다. 『도신장』에는 지엄, 원효, 법장의 학설 및 의상과 그 제자들의 학설이 실려 있으므로 의상계의 화엄사상 뿐만 아니라 7세기 동아시아 화엄사상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법계도기총수록』(해주 옮김,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
『의상 화엄사상사 연구』(전해주, 민족사, 1993)
『신라화엄사상사 연구』(김상현, 민족사, 1991)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동국대학교출판부, 1976)
「『도신장』의 화엄사상 연구」(박서연,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