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 철통리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강원특별자치도 고산군에 있는 석기시대 이후 집터와 수혈유구 · 화덕자리 등이 발굴된 마을터. 취락유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고산군에 있는 석기시대 이후 집터와 수혈유구 · 화덕자리 등이 발굴된 마을터. 취락유적.
내용

고성철통리유적은 국도7호선(간성-현내간)도로공사구간내 유적조사에서 신석기시대 주거지 7기와 수혈유구 1기, 청동기시대 주거지 5기 등이 조사되었다. 철통리유적은 고성 화진포호수 북쪽의 해발 20~30m 높이의 구릉상에 위치한다. 신석기시대 1호 주거지만 다른 주거지들과 약 25m 떨어져 경사가 완만한 사면에 위치하고, 나머지 주거지들은 해발 28m 능선 정상부의 아주 평탄한 지점에 2∼5m 정도의 간격을 두고 밀집하여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신석기시대 1호 주거지는 다른 주거지 군에서 북쪽으로 25m 정도 떨어진 구릉의 능선에서 조사되었으며 평면형태는 방형이다. 주거지의 크기는 장축 3.8m, 단축 3.3m, 수혈깊이 10㎝이며 면적은 12.5㎡이다. 바닥은 아무 시설없이 그대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주혈은 벽주혈과 주주혈이 확인되며,유물은 추정노지 주변과 북벽 아래에서 짧은 사단선문이 시문된 토기편이 출토되었고, 동벽과 북벽에 인접하여 연석, 어망추, 석재 등이 출토되었다.

2호 주거지의 평면형태는 방형이고, 크기는 장축 4.5m, 단축 3.8m, 수혈깊이 10㎝이며, 면적은17.1㎡이다. 내부시설에서 확인되는 것은 주혈과 노지, 추정 작업공이 있다. 유물은 북쪽의 작업공 주변에서 즐문토기편과 연석편이 확인되었고, 석부 6점, 연석, 석재 등이 출토되었다.

4호 주거지의 평면형태는 방형이고, 크기는 장축 5.6m, 단축 5.5m, 수혈깊이는 10㎝이고, 면적은 30.8㎡이다. 철통리유적에서 조사된 주거지 중 가장 큰 규모이다. 주거지 내부에서는 주혈과 노지, 작업공이 확인되었다. 출토유물 중에 어망추와 어망추를 제작하기 위한 석재가 많이 출토된 양상으로 볼 때, 주거지 내에서 어망추 제작 작업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판단된다. 유물은 사단선문토기와 연석, 어망추, 석재 등이 출토되었다.

5호 주거지의 평면형태는 방형에 가까우며, 일부 훼손되었지만 양호한 상태로 남아 있다. 주거지의 크기는 장축 4.9m, 단축 4.3m, 수혈깊이는 20㎝, 넓이는 21㎡이다. 주거지는 적갈색 점토층을 수직에 가깝게 굴착하고 조성하였으며, 바닥은 맨바닥을 그대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유물은 즐문토기편과 석재, 찰절(擦切)석기 등이 출토되었다.

청동기시대 주거지는 원형점토대토기가 출토되는 후기의 주거지로 방형의 형태이다.

의의와 평가

고성철통리유적은 영동지역 구릉에 입지하는 신석기시대 후기 취락으로 동해안지역 신석기시대 후기의 문화상을 검토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준다.

참고문헌

『강원도사 2-선사시대-』(강원도사편찬위원회, 강원도, 2010)
『고성 철통리유적』(예맥문화재연구원, 200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