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지산동 73호분 ( )

선사문화
유적
문화재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에 있는 삼국시대 지산동고분군에 속한 구덩식돌덧널무덤. 수혈식석곽분.
정의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에 있는 삼국시대 지산동고분군에 속한 구덩식돌덧널무덤. 수혈식석곽분.
개설

고령지산동73호분은 지산동고분군이 조성된 주능선에서 동남향으로 뻗은 가지능선 말단부의 약간 돌출한 지점에 만들어졌다. 5세기 후반에 축조되었다.

내용

봉분 지름은 동서 23m, 남북 22m로서 동서가 남북보다 긴 타원형이다. 높이는 묘광면에서 약 7m로 추정된다. 봉분의 가장자리에는 3∼4중으로 둘레돌이 설치되었다.

무덤 구덩이는 규모가 길이 10m, 너비 5m, 깊이 3.3m 내외로서 평면형태가 장방형이다. 묘광 바깥에는 단면이 삼각형인 흙둑[土堤]을 만들었다. 묘광 내에는 주곽과 부곽, 3기의 순장곽이 확인되었다. 주곽과 부곽은 ‘T’자 모양으로 배치되었고, 순장곽은 주곽의 남쪽과 북쪽의 충전공간과 부곽의 서쪽 충전공간에 배치되었다.

주곽은 규모가 길이 4.97∼5.01m, 너비 2.07∼2.15m, 높이 2.2m 크기이다. 보고자는 주곽은 나무덧널이고, 사방의 돌은 나무덧널 뒤에 채운 것으로 보고하였다. 벽체 상부 일부가 원위치를 벗어나고 아래가 밀려나왔으며 봉분이 함몰되었음에도 높이가 2m 이상이다. 내면도 수직을 이루는 등 구축 당시의 양상을 유지하였고, 모서리 부분의 돌이 서로 맞물려 있는 점 등을 고려하면 구조는 수혈식석곽으로 판단된다. 석곽 내에는 널못과 꺾쇠가 상당수 출토하였는데, 출토 범위와 양상이 목관이 사용된 지산동 32호분과 유사하다. 따라서 73호분은 석곽 내부에 목관이 있는 구조이다.

주곽 내부에서는 각종 토기류와 단봉문환두대도 · 철촉 · 철모 등의 무기류, 마구류, 새깃털모양관꾸미개 등의 장신구류가 출토하였다. 부곽 내부의 남쪽에는 여러 종류의 토기류가 가득 부장되었다. 서 순장곽에는 머리에 금동관식을 착장한 인골 1구가 확인되었다. 봉분 내부의 남쪽에 2단 둘레돌 가까이에서 순장곽 1기가 설치되었다.

의의와 평가

고령지산동73호분은 지산동고분군에서 가장 빠른 봉토분이자 수혈식석곽으로서 지산동고분군의 형성 시점을 파악할 수 있는 무덤이다.

참고문헌

『고령 지산동 73~75호분』(대동문화재연구원·고령군 대가야박물관, 2012)
집필자
홍보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