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3년명 동종 ( )

목차
고대사
유물
평양특별시 선교구역에서 출토된 전한(前漢) 문제(文帝)의 사당에서 사용한 종.
목차
정의
평양특별시 선교구역에서 출토된 전한(前漢) 문제(文帝)의 사당에서 사용한 종.
내용

영광3년명동종은 1920년에 평양 선교리 선교역 동북방 수안가도 부근에서 선로공사 도중 발견되었다. 나무곽 안에 있었던 2개의 나무관 남쪽에서 청동솥 등과 함께 출토되었다. 종의 형태는 일반적인 모습이며, 종의 몸체 상·중·하 3곳과 종의 입구인 구연 부분에 띠선(帶條線)이 있다. 발견 당시 종 아래의 다리 부분이 파손된 채 발견되었다. 종의 크기는 입구 지름이 19㎝, 둘레가 34㎝, 높이 37.5㎝(파손 전 45㎝)이다. 종의 몸체에 예서체로 된 3행의 명문이 음각되어 있다.

영광(永光)은 전한 원제(元帝, 기원전 49~33)의 연호이다. 종의 제작연대인 영광 3년은 기원전 41년이다. 이 종이 출토됨에 따라 효문제의 사당이 낙랑 지역에 있었는 지의 여부가 논란이 되었다. 정인보는 효문제가 낙랑에 순행한 적이 없기 때문에 사당의 존재를 부정했고, 세키노 타다시[關野貞] 등 일본인 학자들은 사당의 존재를 낙랑군의 위치와 관련지어 인정하였다.

『한서(漢書)』 권73, 위현전(韋賢傳)에 따르면, 한 고조의 태조묘(太祖廟)와 효문제의 태종묘(太宗廟), 그리고 무제(武帝)의 세종묘(世宗廟)는 전국 군국(郡國)에 모두 합쳐 167개소가 있었다고 한다. 또한 효문제가 순행한 일이 없는 요동의 어양군(漁陽郡)에서도 효문제의 사당이 있었다는 명문이 새겨진 청동시루가 출토되었다. 그렇다면 평양 지역의 낙랑군에서도 효문제의 사당이 있었을 가능성을 배제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참고문헌

『그림으로 읽는 역사인물사전』(아주문물학회, 2003)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1)-고구려·백제·낙랑 편』(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朝鮮古文化綜鑑』 1(藤田亮策·梅原末治』, 1957)
「낙랑시대의 명문」(김종태, 『사학지』 9, 1975)
「前漢永光三年の銅鍾」(關野貞, 『朝鮮の建築と藝術』, 岩波書店, 1941)
「樂浪出土孝文廟の銅鐘について」(稻葉君山, 『朝鮮佛敎』 34, 1927)
집필자
장창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