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리제 ()

고대사
제도
고대 국가에서 왕경이나 지방의 거점지역을 통치의 목적아래 일정한 영역으로 나눈 도시구획 형태의 하나.
이칭
이칭
이방제/조방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대 국가에서 왕경이나 지방의 거점지역을 통치의 목적아래 일정한 영역으로 나눈 도시구획 형태의 하나.
내용

고대국가를 포함한 전통시대에는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도읍(都邑)의 외부에 구조물을 쌓았는데 이를 성곽(城郭)이라 했다. 성은 왕을 비롯한 지배층과 행정공간이 위치한 내성과 관료와 일반민이 거주하는 외성으로 구분되었다. 일반적으로 도읍을 둘러싼 성곽을 도성(都城)이라 했으며, 성은 내성을, 곽은 외성을 의미했다. 대체로 도성은 평지에 위치하였기에 주변에 나성(羅城)이 축조되었는데, 나성 내부지역은 바둑판 모양으로 나뉘고 시가지가 형성되었다. 이때의 도시 구획이 방 또는 리로 편제되었으므로 방리제라 하고, 양자를 상하관계 또는 병렬관계로 보기도 하는데, 전자가 일반적 견해이며 리(상)-방(하)의 구조로 보고 있다.

변천과 현황

『삼국사기(三國史記)』 신라본기 자비왕 12년(469) 정월에 “서울의 방리명을 정하였다(定京都坊里名)”는 기록이 있어 적어도 5~6세기 무렵 부터 왕경의 도시계획이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동서와 남북으로 직선도로를 구획하고 담장으로 둘러친 구역을 방이라 칭한 시기는 당대(唐代)이므로, 신라가 방리제를 도입하고 시행한 시기는 김춘추가 대당교섭을 전개하며 적극적으로 문물도입을 추진한 7세기 중반 무렵 이후일 것으로 추측된다.

의의와 평가

방리제의 시행은 건축공간의 체계화인 동시에 통치규범에 입각한 체제의 정비라는 점에서 고대 율령제적 지배질서의 모습을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신라 왕경의 역사』(전덕재, 새문사, 2009)
『한국 고대 정전의 계보와 도성제』(양정석, 서경문화사, 2008)
「신라 왕경의 범위와 구역에 대한 지리적 연구」(이기봉,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2)
「신라 도성 연구」(박방룡, 동아대 박사학위논문, 1998)
「신라 왕경에 대한 고찰」(오영훈, 『경주사학』 11, 1992)
「신라 왕경의 도시계획에 관한 소고(상)」(민덕식, 『사총』 35, 1989)
「신라 왕경의 도시계획」(김병모, 『역사도시 경주』, 열화당, 198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