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 광천사 적멸시중론 ( )

불교
문헌
문화재
1481년(성종 12) 승려 지은에 의해 간행된 선의 요지를 종합하여 열반의 도를 논술한 불교 교리서.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 전기
간행 시기
1481년(성종 12)
저자
지은(智訔)
권책수
1권 1책
판본
목판본
소장처
광천사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시도유형문화재(2013년 10월 24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백록로 116 광천사
내용 요약

양산(梁山) 광천사(光天寺) 『적멸시중론(寂滅示衆論)』은 1481년(성종 12) 승려 지은에 의해 간행된 선의 요지를 종합하여 열반의 도를 논술한 불교 교리서이다. 치악산 상원암에서 개판하였으며, 앞부분에는 논설 「적멸시중론」이 수록되어 있고, 뒷부분에는 경기체가 형식의 「기우목동가」가 수록되어 있다. 현재 양산 광천사 도서로, 2013년 10월 24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정의
1481년(성종 12) 승려 지은에 의해 간행된 선의 요지를 종합하여 열반의 도를 논술한 불교 교리서.
서지사항

양산 광천사 『적멸시중론』은 1권 1책의 목판본이다. 1481년(성종 12) 치악산 상원암(上院庵)에서 개판하였다. 책의 행자수는 9행 18자로 판심은 상하내향 흑어미에 주1만 있을 뿐 주2는 없다. 권말에는 '적멸론목동가(권말제)'로 끝나고 있다. 주3에는 “皇明成化歲在辛丑(1481)暮春下澣新刊於雉岳上院庵”이라 기록되어 있다.

내용

저자인 지은(智訔)의 생애는 미상이다. 이 책에 수록된 김수온(金守溫)의 찬사에 의하면, 치악산의 암자에서 10년 동안 수도하였으며, 후학들이 구름같이 모여들었다고 한다. 언제나 불조(佛祖)의 뜻과 무심법문(無心法門)을 설파하였는데, 그 대의가 분명하여 전혀 그릇됨이 없었다고 한다.

권수에는 김수온의 찬사가 있고, 권말에는 효령대군(孝寧大君) · 덕원군(德源君) · 영산부원군(永山府院君) 김수온 등 시주자의 명단과 간기가 있다. 이 책의 등재본은 광월헌 청융(曠月軒 淸融)과 중덕 성지(中德 成志)가 쓰고, 주5 홍보천(洪寶千)과 김장손(金長孫)이 새긴 것이다.

내용은 석가모니가 중생을 제도하게 된 까닭과 참되게 도를 닦아 법성(法性)을 통달하는 방법, 주6 등에 관하여 서술하고 있다. 석가모니의 중생제도에 대해서는 석가모니가 성불한 다음 대원(大願) · 대행(大行) · 대자비(大慈悲)로써 중생을 불쌍히 여겨 적멸정(寂滅定) 속에서 법을 열어 중생을 제도하였다고 하여, 적멸시중(寂滅示衆)을 강조하였다.

소리와 색을 보고 듣고 깨달아 아는 주7에 당장 무심(無心)하여 천연무작(天然無作)의 마음으로 행동하면, 곧 일행삼매에 있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일행삼매를 얻은 뒤 다시 꾸준히 수행해 가는 것도 선이요 머무르는 것도 선이며, 앉는 것도 선이요 눕는 것도 선이 되는 등 일체의 행위에 무심하고 마음이 편안하여 걸림이 없으면 곧 만행삼매(萬行三昧)를 이루게 된다고 하였다.

이 책의 구성을 보면 앞부분에는 논설 「적멸시중론」이 수록되어 있고, 뒷부분에는 경기체가(景幾體歌) 형식의 「 기우목동가(騎牛牧童歌)」가 수록되어 있다. 「적멸시중론」은 세 편의 논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논설에는 주8이 함께 실려 있다.

첫 번째 논설에서는 공(空)과 적멸(寂滅)에 대한 설명과 문답, 두 번째 논설은 무상(無相)에 대한 문답, 세 번째 논설은 과거의 불보살과 많은 성인들이 선지식을 찾아 정법(正法)을 듣고, 오랜 세월 고행 후에 정각을 성취하고 선정을 닦았던 것을 소개하였다.

따라서 후학들은 본성을 끝까지 통달한 후 경론을 보아야 하며, 그 후 법이 공함을 한 생각에 깨닫는다면 궁극적으로 도를 이루는 것이라 하였다.

의의 및 평가

양산 광천사 도서 『적멸시중론』은 김수온이 찬을 쓰고 책 말에 「기우목동가」가 있는 국립중앙도서관 도서의 1481년 치악산 상원암본과 동일본으로 추정된다. 임진왜란 이전의 판본으로 개판 장소, 시주자, 연대 등이 분명하여 조선 전기 불서 연구에 자료적 가치가 있다.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3년 10월 24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논문

김종진, 「경기체가 『기우목동가』의 구조와 문학사적 위상」(『한국시가학회』 25, 2008)
고익진, 「『적멸시중론』의 본문」(『한국불교학회』 10, 1985)
고익진, 「『적멸시중론』의 선사상」(『한국불교학회』 10, 1985)
주석
주1

책장의 차례.    우리말샘

주2

판심에 표시된 책의 이름.    우리말샘

주3

동양의 간행본에서, 출판한 때ㆍ곳ㆍ간행자 따위를 적은 부분.    우리말샘

주4

조선 태종의 둘째 아들(1396~1486). 이름은 보(補). 초명은 호(祜). 자는 선숙(善叔). 호는 연강(蓮江). 세조 10년(1464)에 회암사에서 원각 법회를 열었으며, 원각사 창건 때 조성도감의 제조가 되어 역사(役事)를 감독하였다. 문장에도 능하여 세조의 명으로 원각경을 국역하였다.    우리말샘

주5

나무나 돌 따위에 조각하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우리말샘

주6

우주의 모든 만물의 현상은 평등하고, 한 모양인 줄로 보는 삼매.    우리말샘

주7

눈으로 빛을 보고, 귀로 소리를 듣고, 코ㆍ혀ㆍ몸으로 냄새ㆍ맛ㆍ촉감을 감각하고, 뜻으로 법을 아는 육식(六識) 작용. 외경을 식별ㆍ인식하는 마음의 작용을 이르는 말이다.    우리말샘

주8

부처의 공덕이나 가르침을 찬탄하는 노래. 외우기 쉽게 게구(偈句)로 지었다.    우리말샘

집필자
남권희(한국전적문화재연구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