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집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에 중국 둥베이 지역과 러시아 연해주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이칭
이명
이중집(李中執), 이중집(李仲揖)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0년 5월 28일
사망 연도
1936년 1월 15일
출생지
함경남도 덕원
주요 경력
한족공산당의 위원장|고려혁명군 연해주 총지부 총재
대표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1998)
내용 요약

이중집은 일제강점기에 중국 둥베이〔東北〕 지역과 러시아 연해주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다. 한인들의 자치기구인 간민회의 임원을 맡았고, 광성학교를 비롯한 여러 학교에서 교사로 활동하며 민족교육을 실시하였다. 러시아 연해주의 한족회와 연대를 모색하였고, 연해주 추풍 지역 무장부대의 지휘관을 지냈으며, 고려혁명군의 총사령관으로 활약한 독립운동가이다.

정의
일제강점기에 중국 둥베이 지역과 러시아 연해주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인적 사항

이중집(李仲執)은 1880년 5월 28일 함경남도 덕원(德原)에서 태어나 만주와 주1 지역의 독립운동가로 활약하였다.

주요 활동

1912년 주2 주3〔吉林省〕 옌지현〔延吉縣〕 국자가(局子街)로 망명하였다. 같은 해 2월 한인사회를 효과적으로 규합하고 항일 민족운동을 조직적으로 전개하기 위해 설립된 북간도 한인들의 자치기구인 간민교육회(墾民敎育會)를 간민회(墾民會)로 변경하고 평의원에 선임되었다. 간민회는 1913년 1월 중국 지방정부로부터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12년부터 1919년경까지 간도 소영자(小營子) 소학교 교사, 광성학교(光成學校) 교사, 기독교 선교사, 중국 권학소(勸學所) 교사로 지내면서 한인 학도들의 항일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1918년 12월 하순부터 1919년 1월경까지 독립운동의 지도자로서 국자가에서 열린 비밀집회에 참석하였다. 이때 러시아 지역 한족회(韓族會)의 요청에 따라 한족 독립선언서의 제작과 그 선언서의 공식 발표 문제를 사전에 논의하기 위한 회의에서 김약연(金躍淵)정재면(鄭載冕)‧정기영 등과 함께 간도 대표자로 선정되었다.

1919년 2월 옌지현 국자가를 떠나 3월 말경 러시아령 연해주 니콜스크(지금의 주4)에 도착하였다. 이어 주5 대표 파견 문제와 기타 한국의 독립운동에 관하여 논의하고 이곳에 머물렀다.

1920년 4월 주6 주7 신한촌(新韓村) 참변으로 인하여 연해주에서의 한인 민족운동이 크게 위축되었다. 이런 가운데 같은 해 6월 연해주 추풍(秋豊) 당어재골 신길동(新吉洞)에서 최문서(崔文瑞)‧최찬식(崔燦植)‧황원호(黃元浩)‧이근선(李根善) 등 14명이 모여 한인 무장부대를 조직하기로 결의하여, 같은 해 8월 13개 지방 대표 26명이 참여한 가운데 ‘솔밭관 한족공산당’이 조직되었다.

1920년 한족공산당의 위원장으로서 김경권(金京權, 부위원장), 유해사(柳海史: 유진구, 선전부장), 장화삼(蔣化三, 노동부장), 장학년(張學年, 경무부장) 등과 함께 활동하였다. 1921년에는 행정부장, 1922년에는 위원장으로 활동하였다. 아울러 한족공산당의 군정회의(軍政會議)에서 당 임원에 선출되어 활동하기도 하였다. 그 후 연해주 추풍 지역의 한인 무장부대 지휘관으로 활동하였다.

1922년 9월경 고려혁명군 연해주 총지부 총재로 활약하였다. 당시 총사령관은 김규식(金圭植)이었다. 1922년 말 일본군이 연해주에서 철수한 후 러시아 당국은 연해주에 있는 한인 무장부대의 무장해제를 요구하였다. 이에 옛 부하들을 이끌고 라즈돌역 부근 우두고우촌에 ‘사회생활’이라는 집단 농장을 설립하여 거주하다가 주8에 의하여 숙청되었다.

상훈과 추모

1998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임경석, 『한국사회주의의 기원』(역사비평사, 2003)
서굉일·동암(東巖) 편, 『간도사 신론–친일파들과의 싸움(1896~1949)』(도서출판 우리들의 편지, 1993)

논문

윤상원, 「홍범도의 러시아 적군 활동과 자유시사변」(『한국사연구』 178, 한국사연구회, 2017)
임경석, 「연해주 손밭관 한족공산당에 관한 일고찰」(『한국민족운동사연구』, 우송조동걸교수장년기념논총간행위원회, 1997)
최홍빈, 「20세기 초 중국 동북지방에서의 반일민족독립운동」(『국사관논총』 15, 국사편찬위원회, 1990)
주석
주1

러시아의 영토. 시베리아 일대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2

두만강과 마주한 간도 지방의 동부.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로, 경지는 적고 임업이 활발하며 광물 자원이 많다.    우리말샘

주3

중국 만주 지방에 있는 성. 성도(省都)는 장춘(長春).    우리말샘

주4

러시아 동부 블라디보스토크 북쪽에 있는 도시. 시베리아 철도의 요충지이며, 극동(極東) 경제 중심지 가운데 하나이다.    우리말샘

주5

1919년에 제일 차 세계 대전의 종결을 위하여 승전국들이 파리에서 개최한 강화 회의. 미국ㆍ영국ㆍ프랑스의 3국이 주도권을 장악하고 독일과 베르사유 조약을, 오스트리아와 생제르맹 조약을, 불가리아와 뇌이 조약을, 헝가리와 트리아농 조약을, 터키와 세브르 조약을 체결하였다.    우리말샘

주6

러시아의 동남쪽 끝에 있는 지방. 우리나라 동해에 접하여 있으며 두만강을 사이로 우리나라와 국경을 이루고 있다. 아연ㆍ석탄 따위의 지하자원이 많고 나무를 가공하는 산업이 발달하였다. 중심 도시는 블라디보스토크이다. 면적은 16만 5900㎢.    우리말샘

주7

러시아 시베리아 동남부, 동해 연안에 있는 항구 도시.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동쪽 종착점이며 러시아 함대의 기지가 있다. 기계ㆍ차량ㆍ조선ㆍ제재ㆍ제유 따위의 공업도 발달하였다.    우리말샘

주8

이오시프 비사리오노비치 스탈린, 소련의 정치가(1879~1953). 시월 혁명 때에 레닌을 도왔으며, 레닌이 죽은 후 권력 투쟁에서 승리하였다. 독재적인 방법으로 사회주의 건설을 지도하고 헌법을 제정하였으며 1941년 수상에 취임하였다.    우리말샘

집필자
오영섭(경희대학교 한국현대사연구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