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왕 ()

목차
불교
개념
인(仁)의 덕이 높다는 의미를 지닌 붓다의 명호를 가리키는 불교교리. 인왕.
목차
정의
인(仁)의 덕이 높다는 의미를 지닌 붓다의 명호를 가리키는 불교교리. 인왕.
내용

『반야경』 「방광품(放光品)」에, '북방에 세계가 있는데 이름을 명승(名勝)이라 하고 붓다의 명호를 인왕여래라 하는데 등정각에도 집착하지 않으며, 보살이 있는데 이름을 시승(施勝)이라 한다'고 하였다. 『반야경』 계통의 밀교경전인 『인왕경(仁王經)』에는 인왕이 불법과 국토를 수호하는 분노존으로 등장한다. 『인왕경』은 후진(後秦)의 구마라습(鸠摩罗什: 344~413)이 번역한 『불설인왕반야바라밀경(佛說仁王般若波羅蜜經)』과 불공(不空: 705~774)이 번역한 『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仁王護國般若波羅蜜多經)』이 있는데, 불공의 번역은 밀교적인 색채가 더 강조되어 있다.

『인왕경』은 16대국의 왕이 붓다에게 국가를 보호하고 편안케 하기 위한 방편을 묻는데서 시작하기 때문에 중국, 일본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신라시대 이후 많은 인왕법석과 밀교도량이 시설되었고, 『법화경』, 『금광명경(金光明經)』과 더불어 호국 3부경이라 일컬어 졌다. 신라에서는 551년(진흥왕 12) 고구려 승려 혜량(惠亮)이 귀화한 뒤 황룡사에서 처음 인왕도량을 개최했으며, 성덕왕이 태종무열왕을 위하여 봉덕사(奉德寺)를 세우고 인왕도량을 열었다는 기록 등이 있다. 고려시대에는 왕실을 중심으로 모두 107회의 인왕도량을 열었음이 『고려사』에 보인다.

참고문헌

『동문선(東文選)』 권112
『불교 속의 밀교』(허일범, 도서출판 진각종 해인행, 2000)
「삼국유사와 밀교」(홍윤식, 『동국사학』 14, 동국사학회, 1977)
「고려 역대왕의 신불(信佛)과 국난타개의 불사(佛事)」(김영태, 『불교학보』 14,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1977)
「고려의 호국법회와 도량」(서윤길, 『불교학보』 14, 1977)
「한국불교의 밀교경전 전래고」(박태화, 『한국불교학』 1, 한국불교학회 편, 1975)
「고려시대의 인왕백고좌도량연구」(서윤길, 동국대 석사학위논문, 1969)
집필자
정성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