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정 ()

일제 주요감시대상 인물카드 이효정 전후면
일제 주요감시대상 인물카드 이효정 전후면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종연방직 파업, 적색노조사건 등에 가담하며 사회주의 노동운동 및 항일운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913년 7월 28일
사망 연도
2010년 8월 14일
본관
진성(眞城)
출생지
경상북도 봉화
관련 사건
종연방직[鐘紡] 경성제사공장 파업
정의
일제강점기 때, 종연방직 파업, 적색노조사건 등에 가담하며 사회주의 노동운동 및 항일운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개설

본관은 진성(眞城). 이효정(李孝貞)은 동덕여자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학생운동을 하였고, 졸업 후 종연방적 파업 지원 활동 등 사회주의 노동운동을 하였다.

생애

1913년 7월 28일 경상북도 봉화에서 출생하였다. 1세에 부친의 별세로 서울에서 잠시 있다가 만주 봉천으로 망명하였다. 3년 뒤 귀국하여 서울에서 할아버지의 교육을 받았다. 독립운동가 집안의 딸로 민족의식이 높았고, 자부심도 강하였다. 동덕여고보를 나와 교원, 간호부 생활도 잠깐 하였지만 공장에 취업, 노동운동을 하였다. 박두복과 결혼하여 울산에서 생활하다가 해방을 맞았다. 그러나 남편이 월북하고는 좌익으로 몰려 오랫동안 큰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2010년 8월 14일 사망하였다.

활동사항

동덕여고보에 입학한 후 한글학자 이윤재(李允宰)의 민족주의에 공감하였으며, 5촌 아저씨 이병기의 영향을 받아 사회주의에 입문하였다. 3학년 때 이평산의 경성RS협의회의 독서회에 가입, 활동하였다. 박진홍(朴鎭洪), 이순금(李順今) 등과 ‘백지동맹’을 주동, 시험을 거부하여 무기정학을 받았다. 광주학생운동에 동조, 시위에 참가하여 종로경찰서에 잡혀가기도 하였다.

1933년 이재유(李載裕) 그룹과 연결되어 노동자 의식화운동을 하였다. 같은 해 9월 21일 종연방직 경성제사공장 파업 때 지원활동을 하다 10월 17일 동대문경찰서에 보름간 구금되었다. 또한 1934년 권영태 그룹의 ‘적색노조사건’에 연루, 서대문형무소에 구금되었으나 면소 처분을 받았다. 1935년 동덕여고보에 숨어들어가 항일격문 등으로 학생들을 독려하는 활동을 하다 여러 번 체포, 고문을 당하였다. 울산적색노동조합사건으로 다시 구속되었으며, 1935년 11월 서울에서 이재유·권우성(權又成) 등이 주도 조직한 ‘경성지방좌익노동조합 조직준비회’에 가담하여 동지 규합과 항일의식 고취에 주력하다가 재차 검거되어 약 13개월 동안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70세에 『회상』(경남, 1989), 80세에 『여든을 살면서』(경남, 1995) 등의 시집을 발간, 자신의 문학적 재능도 한껏 발휘하였다.

상훈과 추모

93세인 2006년에 건국포장을 수여받았다.

참고문헌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 별집』7권(국사편찬위원회, 1981)
「피의자 폭행조서」(被疑者 素行調書)(동대문경찰서, 1935.12.25)
「결정서(決定書)」(경성지방법원, 1936.5.13; 7.14; 11.11)
「노동쟁의배후선동 기타에 관한 건」[경동경고비(京東警高秘) 第3248號, 1933.10.26]
『독립운동가의 삶과 회상』(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편, 2012)
『동아일보』(1933.10.19; 10.21; 1935.12.28)
『조선중앙일보』(1935.11.8)
『조선일보』(1936.12.29)
국가보훈처 나라사랑광장(www.mpva.go.kr)
집필자
신영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