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이클리닝 (Dry cleaning)

목차
관련 정보
의생활
개념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옷의 더러운 때를 제거하는 세탁 방법.
이칭
이칭
건식세탁
내용 요약

드라이클리닝은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옷의 더러운 때를 제거하는 세탁 방법이다. 특히, 기름과 같은 지용성 때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물을 이용한 세탁 방법과 비교하였을 때 수축 및 구김과 같은 옷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키워드
목차
정의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옷의 더러운 때를 제거하는 세탁 방법.
내용

양모나 견과 같은 섬유로 만들어진 옷은 일반적인 물세탁에 의해 쉽게 손상되기도 하며, 여러 소재로 구성된 옷의 경우에도 물세탁에 대한 형태 안정성이나 염색 주2가 좋지 못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주3를 이용하여 드라이클리닝을 하면 해당 옷을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다.

드라이클리닝의 공정은 크게 1) 전 처리 2) 본세 3) 탈액과 건조로 구분할 수 있다. 드라이클리닝은 주5주4 때에 대한 세척력이 좋지 못하고, 충분한 헹굼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본 세탁에 들어가기 전 솔로 두드리거나 가볍게 문질러 씻어내는 전 처리 과정을 통해 본 세탁에서의 부담과 헹굼 과정을 줄여줄 수 있다. 전 처리가 끝나면 옷을 용제와 함께 세탁기에 넣고 돌리게 되는데 이를 본세라고 한다. 이때 수용성 때 제거 및 재오염 방지를 위해 드라이소프도 첨가한다. 본세가 끝나면 깨끗한 용제를 이용하여 헹구는 것이 좋지만, 헹굼 없이 마무리하는 경우도 있다. 이후 옷에 남아 있는 유기용제를 제거하기 위해 원심력을 이용한 탈액과 열풍 및 회전을 이용한 건조를 진행한다. 건조가 끝나면 탈취 및 구김 방지를 위해 다시 냉풍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드라이클리닝의 장점은 물세탁이 힘든 옷을 손상 없이 관리할 수 있다는 점과 주6 때에 대한 세척성이 좋다는 점이다. 또한 대부분의 염료가 유기용제에는 용해되지 않아 변색이나 이염에 대한 우려 없이 다양한 색상의 옷을 동시에 세탁할 수 있다. 그리고 물과 비교하였을 때 쉽게 건조되기 때문에 총 세탁 및 건조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으며, 살균 효과도 하나의 장점에 포함된다. 하지만 수용성 때에 대한 세척성이 좋지 않으며, 면이나 주7과 같은 친수성 섬유가 혼방된 옷의 경우 세척성이 좋지 못하다. 또한 물을 이용한 세탁 방법과 비교했을 때 비용이 많이 들며, 이로 인해 헹굼을 충분히 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주8이 있어 화재 및 폭발의 위험이 있고, 인체 및 환경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드라이클리닝에 사용되는 용제는 크게 주9 용제와 할로겐화 주10 용제로 구분할 수 있다. 탄화수소는 탄소와 수소만으로 구성된 화합물로, 탄화수소 용제에는 스토다드(Stoddard) 용제와 같은 석유계 용제와 함께 주12, 주13, 주14 등이 있다. 할로겐화 탄화수소 용제에는 사염화에틸렌(tertrachloroethylene; perchloroethylene; perc; 주11, 삼염화에탄, 염불화탄화수소, 주15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탄화수소 및 할로겐화 탄화수소 용제의 경우 휘발성, 인화성, 독성 등의 이유로 사용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대체하기 위해 주16, 프로필렌글리콜 에테르, 액체 이산화탄소, 레모넨 등과 같은 대체 용제의 사용이 시도되고 있다.

변천과 현황

1690년경에 테레빈유(turpentine)를 사용하여 옷에 묻은 기름 얼룩을 제거한 것이 유기용제를 이용하여 더러운 때를 제거한 시초로 알려져 있다. 이후 프랑스 염색업자인 장 밥티스트 졸리(Jean Baptiste Jolly)가 등유와 휘발유를 이용하여 자신만의 드라이클리닝 방식을 개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1845년에 파리에서 첫 번째 드라이클리닝 서비스를 시작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이후 다양한 유기용제들이 드라이클리닝에 사용되었지만 인화성과 같은 문제로 개선이 필요했다.

1930년대 중반 이후, 세척성이 좋고 상대적으로 인화성이 낮으며, 재활용할 수 있는 사염화에틸렌이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하지만 사염화에틸렌 또한 인체 및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으로 여러 국가에서 발암 우려 물질 또는 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되어 규제를 받게 되었다. 이에 정제된 유기용제, 실리콘 기반의 용매, 액체 이산화탄소와 같은 새로운 드라이클리닝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 혼방 및 혼섬이 널리 적용되고, 고기능성을 갖는 다양한 의류 소재가 개발되어 사용됨에 따라 물세탁으로 인한 옷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드라이클리닝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성련, 『(제3판) 세제와 세탁의 과학』(교문사, 2013)

논문

김주연·박정희, 「드라이클리닝 시스템에서의 세척성과 재오염성: 계면활성제의 종류와 혼합이 미치는 영향」(『한국의류학회지』 23-7, 한국의류학회, 1999)
정승은·윤창상·박정희·김현숙, 「웨트클리닝이 양모, 레이온 직물의 치수 안정성과 세탁성능에 미치는 영향」(『한국의류학회지』 36-2, 한국의류학회, 2012)

인터넷 자료

Dry cleaning(https://en.wikipedia.org/wiki/Dry_cleaning)
주석
주2

굳고 튼튼한 정도. 우리말샘

주3

고체, 기체, 액체를 녹일 수 있는 액체 유기 화합물. 메탄올, 벤젠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4

어떤 물질이 물에 녹는 성질. 우리말샘

주5

물과 친화성이 있는 성질. 우리말샘

주6

어떤 물질이 기름에 녹는 성질. 우리말샘

주7

인조 견사나 인조견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8

불이 잘 붙는 성질. 우리말샘

주9

탄소와 수소만으로 이루어진 화합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0

탄화수소의 수소 원자를 할로젠족 원소로 치환된 화합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아이오도폼, 염화 비닐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11

에틸렌의 수소 원자 네 개가 모두 염소 원자로 치환된 불포화 화합물. 무색투명한 액체로, 에테르와 같은 특유한 냄새가 있고, 물리적 성질은 사염화 탄소와 비슷하나 독성이 적다. 십이지장충의 구충제로 쓴다. 화학식은 CCl2ㆍCCl2. 우리말샘

주12

파라핀계 탄화수소에 속하며, ‘C10H22’의 분자식을 갖는 화합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3

방향족 탄화수소의 기본이 되는 화합물. 콜타르를 증류하고 정제하여 얻는다. 정육각형 구조를 가진 무색의 휘발성 액체로 독특한 냄새가 난다. 수지 따위의 용제나 염료, 항료, 폭약, 살충제 따위의 원료로 쓰인다. 화학식은 C6H6. 우리말샘

주14

송진을 수증기로 증류하여 얻는 정유. 맛이 시고 특이한 향기가 나는 무색 또는 연한 노란색의 끈끈한 액체로, 용제ㆍ합성 장뇌ㆍ페인트ㆍ구두약 따위를 만드는 데 쓰인다. 우리말샘

주15

하나의 탄소 원자에 네 개의 염소 원자가 결합한 염화물. 에테르와 같은 특유의 냄새가 나는 무색투명한 액체로, 이황화 탄소에 염소를 반응시켜 만든다. 용제, 소화제, 살충제, 십이지장충의 구충제 따위로 쓴다. 화학식은 CCl4. 우리말샘

주16

중합도가 비교적 낮은 액체 상태의 규소 수지. 맛과 냄새가 없는 기름 모양의 액체로, 응고점이 낮고 온도에 따른 점성의 변화가 작다. 기계류의 감마제, 변압기 오일, 석유의 방수제 따위로 쓴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