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탁소 ()

의생활
단체
의류 및 유사 제품의 세탁을 전문적으로 대행하는 업체.
단체
설립 시기
근대(일제강점기)
내용 요약

세탁소는 의류 및 유사 제품의 세탁을 전문적으로 대행하는 업체이다. 세탁에 관련된 전문 지식을 토대로, 용제 또는 세제를 사용하여 의류 및 유사 제품의 얼룩 제거, 훼손 부분 보수 등 세탁 전처리 작업과 물세탁, 드라이클리닝, 다림질 등을 하여 세탁물을 원형에 가깝게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의
의류 및 유사 제품의 세탁을 전문적으로 대행하는 업체.
설립 목적

세탁소는 세탁에 관련된 전문 지식을 토대로, 주1 또는 세제를 사용하여 의류나, 이와 유사한 제품의 얼룩 빼기, 훼손 부분 보수하기 등 세탁 전처리 작업과 물세탁, 드라이클리닝, 다림질 등을 하여 세탁물을 원형에 가깝게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다. 세탁소에서 다루는 품목으로는 일반적인 의류 외에도 양모나 실크, 가죽이나 모피, 고어텍스 재킷이나 패딩 등과 같이 가정에서 관리하기 어려운 제품, 이불과 같이 크기가 큰 제품, 운동화와 같이 세탁이 번거로운 제품 등이 있다.

변천 및 현황

세탁소로 대표되는 세탁업의 출현은 고대 로마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후 13세기 영국에서 세탁업자들의 길드가 조직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19세기에는 유럽 여러 나라에서 공공 세탁소가 세워진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세탁소는 옷을 다듬는 기계를 소개하는, 1900년의 신문기사에서 최초의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1920년대 일제강점기에 드라이클리닝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탁업이 시작되었으며, 1960년대 말 이후에는 물세탁까지 겸하게 되었다. 1980년대에는 옷을 수선하는 서비스가 성행했고, 1990년대 이후 다양한 형태의 전문 세탁소가 생겨나고 있으며, 이러한 전문 세탁소는 최신 기계와 기술을 이용하여 보다 세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주요 활동

옷을 구성하는 소재가 다양해지고 고기능화되어 옷을 적절하게 관리하기가 힘들어지고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이 변화함에 따라, 세탁 및 수선과 같이 옷에 대한 관리를 세탁소에 의뢰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세탁소는 개인의 가사 노동 일부분을 대신해 주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개인이나 가정에서 다루기 어려운 세탁물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깨끗하게 세탁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세탁소들이 체인점과 같은 형태로 대형화되거나 운동화나 드레스 셔츠 세탁 전문점과 같이 특성화되는 추세에 있으며, 이는 세탁소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에게 신속하고 저렴하면서도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세탁업의 한 형태로 소비자가 직접 세탁물을 세탁 및 건조할 수 있도록 설비 및 장소를 빌려 주는 빨래방과 같은 세탁업도 성행하고 있는데, 1인 가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사회적 현상으로 인하여 집에 세탁기와 건조기를 들여 놓는 대신 빨래방을 이용하는 경우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세탁소의 규모에 있어 개인이 운영하는 소규모 세탁소가 주를 이루고 있지만, 소규모 세탁소나 체인점을 통해 세탁물을 수거하여 처리하는 대형업체도 다수 존재한다. 그리고 개인이 아닌 병원, 학교 및 단체 등의 기숙사, 호텔 및 이와 유사한 서비스 업체의 세탁을 담당하는 곳도 있다.

세탁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세탁업자와 고객 사이에 종종 분쟁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분쟁를 중재하고자 공정거래위원회에서는, 세탁업자와 세탁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 사이에 체결한 계약에 따른 권리와 의무에 관한 사항을 세탁업 표준 약관(공정거래위원회 표준약관 제10039호)에 규정하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차옥선·세탁문화연구회, 『(신문으로 본) 우리의 세탁 문화 100년』(경춘사, 1999)
김성련·이정숙·정혜원·강인숙·박정희, 『새 의류 관리-구매에서 폐기까지』((주)교문사, 2008)
이전숙·안춘순·송경헌·유혜자·이혜자·김정희, 『(개정2판) 섬유 제품의 성능 유지와 관리』(형설출판사, 2010)

인터넷 자료

사단법인 한국세탁업중앙회(www.cleaning.or.kr)
주석
주1

물질을 용해하는 데 쓰는 액체. 알코올, 가솔린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