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성화 ()

의생활
의복
주문을 받지 않고 일정한 기준 치수에 맞추어 미리 만들어 판매하는 신발.
의복
재질
고무, 나일론 등
제작 시기
연중 수시(기성화 제조업체)
내용 요약

기성화는 주문을 받지 않고 일정한 기준 치수에 맞추어 미리 만들어 판매하는 신발이다. 1880년대 개화파(開化派) 인물들과 외교관들에 의해 처음으로 조선에 소개된 구두는 대량 생산되는 기성품 군화와 맞춤 제작되는 고급 수제화 형태로 도입되었다. 1930년대 중반에는 광고를 통해 대중들까지 기성화를 착용하게 되면서 국내 기성화 시장이 본격적으로 성장하였고, 1960년대에 금강제화산업사가 기계 공정을 도입하여 대량 생산을 통한 기성화 시장을 열고 수출까지 이뤄 냈다.

정의
주문을 받지 않고 일정한 기준 치수에 맞추어 미리 만들어 판매하는 신발.
연원

신발 제작은 18세기 중반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산업화되었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작업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다. 1846년(헌종 12) 재봉틀의 등장으로 주11는 공장 환경으로 전환되고, 재료, 접착제 및 제조 공정의 다양한 발전으로, 1910년대에는 수작업으로 힘들게 꿰매던 밑창은 대량 생산되어 기계로 접착될 수 있는 주12 신발 제화 주13이 개발되어 본격적인 기성화(旣成靴) 시대가 열렸다. 1596년(선조 29) 뮌헨에서 설립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제화 회사인 에드 마이어(Ed Meier)는 20세기 초에 고품질 기성화를 출시하였다. 우리나라에는 개항(開港)과 함께 각종 주14들과 서양복들이 수입되기 시작하면서 구두도 같이 들어왔다. 기성화로서 구두의 제작은 「을미의제개혁(乙未衣制改革)」(1895)으로 서양식 군복과 경찰복이 도입되면서 신발을 서양식 구두로 변경함에 따라 조선 정부가 광교에 군화창(軍靴廠)을 만들어 군화를 대량 생산하도록 한 것에서 비롯된다.

형태 및 용도

신발은 형태 및 용도, 주15, 장식, 굽(heel), 토(toe)에 따라 다양한 분류 기준이 있다. 일반적으로는 주16, 주24와 뮬(mule), 이브닝 슈즈(evening 주17, 스틸레토 힐(stiletto 주18, 샌들(sandals), 주19와 플랫폼 슈즈(platform 주20과 웨지 주21, 주22, 주23주25, 주26, 스니커즈(sneakers)의 열 가지로 분류한다. 신발은 형태, 재질 및 치수에 따라 다른 생산 방식이나 공정이 필요하다. 보통 기성화를 제작하는 방법으로는 주1와 밑창(sole)을 접착제로 붙이는 것과 실로 봉합하는 것, 고무창의 가황압착, 합성수지창의 사출 주2 등이 있다. 밑창을 생산하는 라인은 사출 성형 장비를 이용하므로 장치 산업의 특징을 갖는 반면, 갑피 생산 라인은 작업자가 재봉틀을 이용해 재단기로 자른 부품을 결합하는 수작업 공정을 행한다.

변천 및 현황

1880년대 주27 인물들과 외교관들에 의해 처음으로 조선에 소개된 구두는 대량 주28으로 제작되는 기성품 군화와, 맞춤 주29으로 이루어지는 고급 수제화라는 두 가지 형태로 도입되었다. 1920년대의 양복과 함께 구두는 모던 주31, 모던 주30들의 필수품으로, 특히 신여성(新女性)에겐 패션 주32이자 신분을 과시할 수 있는 도구였다. 하이힐과 같은 구두를 착용한 신여성은 관심의 대상이자 여성 혐오의 대상으로 비판을 받았는데, 이는 신여성을 허영과 사치, 퇴폐와 타락의 이미지로 낙인찍기 위한 것이었으나 당시 신세대 남성 지식인은 이러한 신여성에게 냉소적이면서도 한편으로는 호기심과 관심을 보이는 이중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1920년대 이후 수제화는 종로, 기성화는 명동에서 판매되었고 1930년대에는 상대적으로 비쌌던 수제화를 신지 못했던 일반 서민이 기성화 구두를 착용하게 되면서 우리나라 기성화 시장이 본격적으로 성장하였다. 또한, 펌프스와 샌들, 옥스퍼드 주33, 장화와 단화, 목구두, 하이힐, 주34 구두와 샌들, 주35 구두, 페니 로퍼(penny 주36 등 다양한 신발 종류들이 등장하고 발등 주37에 꽃무늬나 리본, 끈 장식을 단화에 액세서리를 부착하는 등 신발의 디자인이 다양화되었다. 한편, 이 시기에는 고무신의 인기로 전국에 73개 공장이 운영되어 고무신이 기성화로서 생산되었다. 광복 이후에는 육이오 주38을 거치면서 부산 지역을 중심으로 신발 공장이 설립되었는데, 주로 고무를 활용한 주39  운동화 산업은 부산, 주40로 대표되는 제화 산업은 서울이 중심이 되었다.

1960년대에는 본격적으로 기성화의 대량 생산이 이루어졌다. 1954년 설립된 금강제화산업사(金剛製靴産業社)가 기계 공정을 도입하여 대량 생산을 통한 기성화 시장을 열었는데, 기성화의 대량 생산 체제가 확립되고 해외 시장에 고무화를 수출하게 되면서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신발 생산 국가로 부상하였다. 이때부터는 제화 기술의 발달과 신발 소재의 개발로 합성 주3이 신발 소재로 개발되어 인기를 끌었으며, 남녀 구분 없이 끈을 묶는 스타일, 농구화, 정구화, 축구화 등의 운동화와 플랫폼 주41, 부츠 등 보다 다양한 스타일이면서 견고한 기성화들이 출시되었다.

1990년대부터는 주4의 영향으로 낮은 굽의 구두와 주5가 유행하였는데, 2000년대에는 직장인들을 위해 정장 구두에 스니커즈의 편안한 창을 붙인 새로운 정장 신발이 등장하고 금강(金剛), 에스콰이어에서 이러한 신발 브랜드를 주6. 그러나 유명 브랜드와 주7을 하는 방식을 통해 다국적 주8에 의존하여 종속적으로 성장하였던 한국의 신발 산업은 경제 공간의 세계화, 저임금 노동력에 기초한 신흥 주9 제조업체들의 시장 진입과 기술 추격으로 국제 경쟁력이 약화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국내 제화업계는 산업 인프라 구축 및 최첨단 소재와 기능적 구조를 결합한 디자인 개발과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시스템 구축, 주10 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의의 및 평가

우리나라의 역사에서 기성화를 신는다는 것은 전통적 가치관을 버리고 근대적 사고방식을 채택했음을 증명하는 행위였다. 1920년대 이후, 제화점에서 생산된 신발들은 근대 모던의 상징이었던 주42을 입은 모습을 완성시켜 주는 중요한 패션 품목으로서 격식에 맞는 취향과 우아함이라는 상징을 갖고 변화 발전하였고, 1930년대부터 시작된 기성화의, 대중화와 다양화는 보다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디자인의 신발을 즐길 수 있는 등, 패션의 실용화 및 민주화를 유도하였고, 나아가 T.P.O에 따른 패션을 채택하고, 광범위하게 유행이 확산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1960년대 기계 공정 도입에 의한 기성화 대량 생산으로 우리나라가 세계적인 신발 생산 국가로 부상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임종국, 『한국인의 생활화 풍속(상)』(아세아문화사, 1995)
고부자, 『우리 생활 100년‧옷』(현암사, 2001)
서울시시정개발연구원, 『서울 20세기 생활, 문화 변천사』(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01)
금기숙 외 9인, 『현대 패션 110년』(교문사, 2012)
김선아, 『슈즈디자인 개론』(한국슈즈패션인재개발원, 2016)
보그 코리아, 『mode & moments: 한국 패션 100년』(보그 코리아 편집부, 2016)
서울역사편찬원, 『구두 한 켤레에 일생을 담다: 염천교의 구두장인들』(학고방, 2021)
하지수 외 7인, 『현대사회와 패션』(교문사, 2022)

논문

김은영·이미숙, 「패션 컬렉션의 신발 디자인 연구: 2001년 S/S-2008/09SUS F/W 파리·밀라노·뉴욕·런던 컬렉션을 중심으로」(『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0-1,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0)
G.B. Sutton, 「The Marketing of Ready Made Footwear in the Nineteenth Century: A Study of the Firm of C. & J. Clark 1」(『Business History』 6-2, 2006)

인터넷 자료

한국민속대백과사전(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6883)

기타 자료

‘제화업계의 ‘대왕’ 박덕유’(『서울신문』, 2020.08.20.)
‘정조보다 명품백 원했던 여성들’(『스포츠경향』, 2014.12.31.)
‘현모양처에서 페미니스트까지 ‘신여성 도착하다’ 전’(『경향신문』, 2017.12.27.)
주석
주1

아직 창을 대지 아니한 구두의 신울. 우리말샘

주2

가소성 재료로 제품을 만드는 가공 방식의 하나. 열을 가한 원통 속에 가소성 수지를 넣고 녹인 다음에, 피스톤으로 녹인 수지를 틀 안에 쏘아 제품을 만든다. 비눗갑, 머리빗, 칫솔 따위를 만드는 방식이다. 우리말샘

주3

합성 고분자 화합물을 주원료로 하여 무명, 화학 섬유 따위의 기본이 되는 천 위에 플라스틱 층을 겹쳐 천연 피혁과 비슷하게 만든 피혁. 질기며 손질하기가 간단하여서 구두, 가방, 의자 따위를 만드는 데 쓴다. 우리말샘

주4

운동하기에 적합하고 편리하도록 만들어진 옷. 우리말샘

주5

밑바닥에 고무창을 붙여 걸을 때 발소리가 나지 않는 운동화. ⇒규범 표기는 ‘스니커스’이다. 우리말샘

주6

새로운 브랜드를 발표하거나 어떤 브랜드가 백화점이나 쇼핑몰 따위에 새로이 입점하다. 우리말샘

주7

계약에 따라 상대편의 상표를 붙인 부품이나 완제품을 제조하여 공급하는, 일종의 하청부 생산. 우리말샘

주8

여러 나라에 계열 회사를 거느리고 세계적 규모로 생산ㆍ판매하는 대기업. 우리말샘

주9

급속한 공업화를 바탕으로 두드러지게 발전한 한국, 싱가포르, 멕시코, 브라질, 대만 따위의 나라를 이르는 말. 1988년의 선진국 수뇌 회의에서 니즈(NIES)로 부르기로 하였다. 우리말샘

주10

상품을 소비자에게 알리고 많이 판매하기 위하여 생산자가 펼치는 전반적인 활동. 우리말샘

주11

구두 따위의 신을 만듦. 우리말샘

주12

봉제하지 않음.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주13

일이 목적한 방향대로 진행되어 가는 과정이나 정도. 우리말샘

주14

서양식으로 만든 물품. 특히 의류나 장신구 따위의 잡화(雜貨)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15

미술품의 전체에 대하여 한 부분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6

끈이나 고리가 없고 발등이 깊이 파져 있는 여성용 구두. 우리말샘

주17

야회복과 함께 신는 신발. 여성용은 고급 천이나 어린 염소 가죽으로 만들고, 남성용은 에나멜가죽으로 만든다. 우리말샘

주18

뒷굽이 매우 높고 송곳처럼 가늘어 뾰족한 구두. ⇒규범 표기는 미확정이다. 우리말샘

주19

밑창이 두꺼운 나무나 코르크로 된 신발. ⇒규범 표기는 미확정이다. 우리말샘

주20

밑창이 전체적으로 높은 구두. 신은 모습이 마치 플랫폼에 올라선 것처럼 보여 붙여진 이름이다. 우리말샘

주21

바닥의 앞부분과 뒷굽이 편평하게 붙어 있는 힐. 우리말샘

주22

날개 모양의 앞코와 구멍 장식이 있는 발목 높이의 신발. 발등에 끈이 있어 매도록 되어 있고 굽이 낮다. ⇒규범 표기는 미확정이다. 우리말샘

주23

묶는 끈이 없고 굽이 낮아서 신기에 편한 신발. 우리말샘

주24

실내에서 신는 신. 뒤축이 없이 발끝만 꿰게 되어 있다. 우리말샘

주25

신창과 갑피를 한 장의 가죽으로 하여 뒤축이 없게 만든 구두. 사슴 따위의 부드러운 가죽으로 만든다. 우리말샘

주26

목이 긴 구두. 앵클부츠, 롱부츠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27

시대에 뒤떨어진 사상과 풍속을 버리고 새로운 문화를 수용할 것을 주장한 사람들의 집단. 우리말샘

주28

기계를 이용하여 동일한 제품을 대량으로 만들어 내는 일. 우리말샘

주29

고객의 신체 사이즈나 요구에 맞추어 물건을 만듦. 우리말샘

주30

1900년대 초반에 들어온 외국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서양 의복을 입고 서구적인 사고와 가치관을 가진 남자. 우리말샘

주31

1900년대 초반에 들어온 외국 문화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서양 의복을 입고 서구적인 사고와 가치관을 가진 여자. 우리말샘

주32

패션과 관계된 의류 및 액세서리 따위의 품목. 우리말샘

주33

목이 짧고 발등을 덮으며, 발등 부분을 끈으로 매어 고정시키는 굽이 낮은 구두. 17세기 영국의 옥스퍼드 대학교 학생들이 즐겨 신은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우리말샘

주34

옻칠을 한 가죽. 우리말샘

주35

신발의 발등 부분에 말안장 모양으로 꿰매어 붙인 가죽. 색이나 소재, 질감 따위를 다르게 하여 장식한다. 우리말샘

주36

발등 중앙에 가윗밥을 넣고 일자의 밴드 모양 장식을 붙인 구두. 학생들이 이 장식에 1페니 동전을 끼어서 붙은 이름이다. 슬립온 슈즈의 하나로, 아이비 룩을 대표하는 캐주얼화이다. ⇒규범 표기는 미확정이다. 우리말샘

주37

어떤 물건의 뾰족한 앞부분. 우리말샘

주38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북한군이 북위 38도선 이남으로 기습적으로 침공함으로써 일어난 전쟁. 1953년 7월 27일에 휴전이 이루어져 휴전선을 확정하였으며, 휴전 상태가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 우리말샘

주39

제도를 개혁함. 우리말샘

주40

소비자가 원하는 대로 디자이너가 직접 맞추어 제작해 주는 구두. 우리말샘

주41

밑창이 전체적으로 높은 구두. 신은 모습이 마치 플랫폼에 올라선 것처럼 보여 붙여진 이름이다. 우리말샘

주42

옷차림이나 머리 모양을 서양식으로 꾸밈. 또는 그런 옷이나 몸단장.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