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배추

식생활
생물
1900~1920년, 사이에 육성된 개성배추에 비해 잎 수가 많은 재래종 품종의 반결구성 우량 배추.
이칭
이칭
조선배추
생물/식물
원산지
중국 북부지역
높이
40㎝ 내외
개화 시기
4~5월
결실 시기
6월
학명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Lour.) Hanelt
내용 요약

서울배추는 1900~1920년 사이에 육성되었고, 개성배추에 비해 잎 수가 많은 재래종 품종의 반결구성 우량 배추이다. 서울배추는 서울 이남에서 주로 재배되었으며, 배추 김치의 주재료로 사용되었다. 잎 수가 적은 편이고, 가장 큰 잎의 크기는 매우 크며 그 중심이 제 20매 전후의 엽중형이다. 초기 발육은 왕성하나 속잎의 발육은 미미한 편이다. 1940년대 서울 이남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었으며, ‘조선배추’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정의
1900~1920년, 사이에 육성된 개성배추에 비해 잎 수가 많은 재래종 품종의 반결구성 우량 배추.
형태와 생태

배추는 한국의 전통 발효 음식인 김치의 주재료로 이용되는 주요 채소로,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비타민 A와 C 등 비타민과 칼륨, 칼슘, 철분 등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며, 항암, 항균 작용이 있는 글루코시놀레이트(glucosinolate)를 함유하고 있다.

배추의 품종은 결구(head 주4 정도에 따라 결구, 주5 및 불결구 세 가지로 나뉘고, 결구하는 품종은 다시 결구 형태에 따라 포합형(joined-up 주6, 포피형(wrapped-over 주7, 권심형 세 가지로 나뉜다. 결구한 잎 수의 많고 적음에 따라 주8주9으로 구분된다.

서울배추는 잎 수가 적은 편이고 가장 큰 잎의 크기는 매우 크며 그 중심이 제 20매 전후의 엽중형이다. 초기 발육은 왕성하나 속잎의 발육은 미미한 편이다. 이에 비해 개성배추는 잎 수가 더 적고, 가장 큰 잎이 서울배추보다 더 크다. 또한 엽중의 중심이 제 10매 전후에 치우쳐져 있고, 주10의 변화도 미약하여 엽중형의 특성이 더욱 뚜렷하다.

관련 풍속

한국의 배추 재배의 역사는 고려 때부터 시작된다. 배추는 고려시대인 1236년(고종 23)에 발간된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에 최초로 ‘숭(菘)’이라는 작물로 등장하며, 그 뒤 여러 가지 농업 관련 서적에 나타난다. 배추의 재배 역사는 상당히 오래되었으며, 배추는 전국적으로 재배되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1800년대 이전까지는 각 농가가 불결구 형태의 배추를 품종 구분 없이 재배한 것으로 추정된다.

1906년 원예 모범장이 설립되기 전까지 배추 품종은 매우 단순하였다. 재배 지명이 붙은 재래종 배추가 주로 재배되었으며, 그 대표적인 것이 ‘개성배추’와 ‘서울배추’이다. ‘개성배추’는 개성 지방에서 1800년대 후반에 개량되어 재배된 반결구형 배추이고, ‘서울배추’는 1900년대 초에 ‘개성배추’를 개량하여 서울 근교에서 재배된 배추이다.

현황

1940년대 개성배추는 서울 이북에서, 서울배추는 서울 이남에서 주로 재배되었다. 서울배추는 개성배추보다 재배 면적이 크기 때문에 ‘조선배추’라는 별명이 붙었다고 전해진다. 서울 근교에서 재배에 사용한 종자의 양은 그 당시 약 200~250석 정도였다고 한다.

배추는 1906년 원예 주11 설립을 전후로 ‘청국’, ‘청채’, ‘고채’ 등 국외 품종이 도입되었으며, 이를 필두로 많은 국외 품종과 결구배추가 도입되어 재배되기 시작하였다. 결구배추는 반결구나 불결구 배추에 비해 재배 기간이 길어 가을에만 재배가 가능하였으나, 1960년대 초에 조기 결구되는 품종이 도입되어 봄에도 재배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800년 동안 재배되어 온 불결구, 반결구 배추인 재래종이 점차 사라지게 되었고, 결구배추가 생산의 주종을 이루게 되었다. 해방 후 배추에 관한 연구는 1950년 귀국한 우장춘 박사를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원예연구소(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연구소 50년사』(2003)
한국채소종자산업발달사 편찬위원회 편, 『한국채소종자산업발달사』(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한국원예학회, 『한국원예발달사』(2013)
농촌진흥청, 『RDA 인테러뱅 ‘배추 독립만세! -김치와 함께 진화한 우리 채소-’』(2014)
이정명 외, 『원예학각론』(향문사, 2014)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생업기술사전』(2020)
주석
주4

호배추나 배추 따위의 채소 잎이 여러 겹으로 겹쳐서 둥글게 속이 드는 일. 우리말샘

주5

배추 따위의 채소가 속이 둥글게 들지 아니하고 윗부분이 벌어짐. 또는 그렇게 된 포기. 우리말샘

주6

포개진 여러 장의 잎이 둥근 모양으로 결구할 때 결구엽의 선단이 포기의 중심에 맞닿을 정도로 서로 껴안은 형태. 우리말샘

주7

양배추처럼 잎이 여러 겹으로 겹쳐서 포개져 둥글게 되는 결구성 형태. 우리말샘

주8

배추 따위와 같이, 각각의 잎의 무게는 가볍지만 많은 잎이 발생하면서 결구하는 유형이나 품종. 우리말샘

주9

배추 따위와 같이, 각각의 잎의 수는 적지만 잎의 무게가 무거워지면서 결구하는 유형이나 품종. 우리말샘

주10

배추, 양배추 따위 안쪽의 잎. 우리말샘

주11

우리나라 최초의 원예 관련 시험 연구 기관. 1905년 서울의 뚝섬에 설치하여 원예 작물의 품종 육성하고, 외국에서 도입한 작물의 국내 적응 시험 및 재배 시험 등을 실시하였다. 원예 모범장은 수원의 권업모범장에 합병되어 오늘날 농촌 진흥청 국립 원예 특작 과학원으로 발전하였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