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장마차 ()

목차
관련 정보
식생활
개념
포장을 두른 수레나 트럭 따위에서 간단한 음식과 주류 따위를 파는 노점.
이칭
이칭
포장집, 포장술집
약칭
포차
내용 요약

포장마차는 포장을 두른 수레나 트럭 따위에서 간단한 음식과 주류 따위를 파는 노점이다. 광복 이후 등장한 포장마차는 대부분 무허가이나, 대개 일정한 장소, 일정한 시간에 장사를 하며 고정형과 이동형이 있다. 본체가 수레에서 트럭으로 바뀌고, 포장과 기둥의 재질이 바뀐 것 이외에 기본적 구조와 형태는 큰 변화가 없다. 대개 여성 단독 또는 부부가 운영한다. 포장마차에서 파는 음식의 종류는 어디나 엇비슷하며 대체로 저렴하다.

목차
정의
포장을 두른 수레나 트럭 따위에서 간단한 음식과 주류 따위를 파는 노점.
연원 및 변천

광복 이후 도시에서 주1으로 등장한 포장마차는 주로 도시의 공터나 길가에 위치하며, 일정한 장소에서 일정한 시간에 영업한다. 도시 노동자와 학생이 주요 고객이다. 자리를 정해 두고 장사를 하지만, 포장마차를 장사하는 곳에 항상 세워 두는 고정형 상인과 매일 영업을 위해 포장마차를 끌고 나왔다 갖고 돌아가는 이동형 상인이 있다. 이동형 포장마차는 장사를 하지 않을 때는 한적한 장소에 세워 두기도 하지만, 일정 금액을 내면 포장마차를 맡아 주는 주차장 등의 보관소를 이용하기도 한다. 현재는 수레가 아니라, 트럭 형태의 포장마차가 등장하여 이동과 보관이 편리해졌다.

내용

포장마차는 외형에서 기본적인 구조와 형태가 크게 달라지지 않았으나, 재질이 시대에 따라 조금씩 변화하였다. 1950년대에는 수레의 네 모서리에 나무로 기둥을 세우고 두꺼운 주2으로 포장을 쳐서 외부와 영업 공간을 분리하고 비바람을 막았다. 이후 기둥의 재질은 나무에서 금속으로, 광목천은 비닐, 방수포 등으로 달라졌다. 또한 포장마차의 조명은 주3에서 주4, 주5, 주6로 바뀌었다. 포장마차의 영업 공간은 수레의 네 변에 접이식 선반을 달아 세 변에서 손님이 음식을 먹고, 나머지 한 변에서는 주인이 조리를 하는 데 쓴다. 이보다 영업 공간을 확장시킨 경우에는 별도의 탁자와 의자를 설치하여 주7.

포장마차의 운영은 대개 별도의 직원 없이 여성 단독 또는 부부가 한다. 여성 혼자 영업하는 곳에서도 포장마차의 이동, 설치와 정리, 물 길어오기 등의 작업은 남성의 도움을 받는다. 노점상이라 주8 설비를 갖추지 못한 경우가 많아서, 물의 사용이 자유롭지 못하다. 이에 따라 설거지하기가 곤란하므로, 포장마차에서는 식기에 비닐봉투를 씌워서 음식을 담아냈다가 그릇을 치울 때는 비닐만 벗겨서 버리는 방식을 흔히 쓴다. 가볍고 쉽게 파손되지 않는 값싼 그릇을 사용하기 때문에 플라스틱, 주9, 주10 등의 재질로 된 식기를 주로 사용한다. 한편, 포장마차의 대부분은 사업자 주11이 없는 무허가 노점상이므로 합법적인 카드 결제는 불가능하고, 현금 거래 위주이다.

포장마차에서는 어느 곳이나 비슷한 종류의 음식을 팔지만, 간단한 방법으로 짧은 시간에 조리할 수 있는 저렴한 음식을 주로 판매한다. 광복 이후 등장한 포장마차의 초기 메뉴는 참새구이, 닭발구이, 간, 천엽, 삶은 오징어, 꽁치 소금구이, 북어 양념구이 등이었다. 1950년대에는 6·25전쟁 이후 생계를 위해 월남민이 대거 포장마차 영업을 개시하면서, 포장마차의 메뉴에 물냉면, 순대, 빈대떡, 메밀묵, 만두, 가래떡 석쇠구이와 같은 북한 음식이 들어왔다. 아울러 부산 피난 시절의 영향으로 홍합, 멍게, 성게, 해삼, 오징어 등의 해산물이 포장마차의 메뉴가 되었다. 특히 1972년 조수보호법이 시행되기 이전까지는 참새구이가 포장마차의 대표 메뉴였으나, 1980년대 이후의 메뉴도 현재와 크게 다르지 않다. 술은 소주, 막걸리, 맥주 등을 취급하고, 안주류로는 족발, 순대, 편육, 닭발, 닭똥집(닭모래집), 꼼장어(먹장어) 구이, 산낙지, 멍게, 해삼, 생선구이, 꼬막, 어묵국, 홍합탕 등을, 간식류로는 김밥, 우동, 떡볶이, 빈대떡, 국수, 만두, 튀김 등을 판다.

1980년대 중반에는 전기와 수도 주12을 갖춘 포장마차가 강남 일대를 중심으로 등장하였고, 이후 한층 고급화, 대형화된 포장마차가 다수 생겨났다. 현재는 기존의 포장마차가 지닌 이미지를 재현한 주점이 ‘실내포장마차’ 또는 ‘포차’란 이름으로 각 곳에서 영업하고 있다.

참고문헌

논문

강보라, 「포장마차의 풍경사」(『여가학연구』 10-2, 여가문화학회, 2012)
모수미, 「우리나라 급식의 역사를 말하다-Ⅸ. 포장마차 회상(1945~1987년)-」(『국민영양』 353, 대한영양사협회, 2013)
박동래, 「도시의 비공식적 공공장소로서 포장마차의 특성연구」(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주석
주1

값싼 술과 간단한 안주를 파는 작은 규모의 술집. 우리말샘

주2

광목으로 만든 천. 우리말샘

주3

탄소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 할로젠 따위의 양성인 원소와의 화합물. 우리말샘

주4

금속의 가는 선이 전류에 의해 가열되어 온도가 높아져 빛을 내는 등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5

진공 유리관 속에 수은과 아르곤을 넣고 안쪽 벽에 형광 물질을 바른 방전등. 우리말샘

주6

접합부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금속 간 화합물 접합 다이오드. 소자(素子)의 종류에 따라 다른 색깔의 빛을 얻을 수 있으며, 전자 제품에서의 문자 표시, 숫자 표시 따위에 쓴다. 우리말샘

주7

손님을 접대하다. 우리말샘

주8

상수도와 하수도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9

암모니아가 있는 요소를 가열하여 얻는 기둥 모양의 무색 결정. 승화성이 있다. 폼알데하이드와 축합하여 멜라민 수지를 만들거나 도료, 접착제 따위로 쓴다. 화학식은 C3H6N6. 우리말샘

주10

‘스테인리스강’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1

소득세나 법인세 관리를 위하여 사업자가 사업을 시작하기 전에 사업장 소재지의 관할 세무서에 등록하는 절차. 우리말샘

주12

어떤 지역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수도 사업자 또는 전용 수도 설치자가 관리하는 취수ㆍ정수ㆍ도수ㆍ송수 및 배수 시설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