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수박 (수박)

목차
관련 정보
식생활
생물
무등산 북쪽 산기슭에 재배되고 있는 순재래종 수박으로 광주의 대표적인 특산물.
이칭
이칭
푸랭이
생물/식물
원산지
광주광역시
개화 시기
5월 중순
결실 시기
8월 말 ~ 9월 말
소재지
광주광역시
내용 요약

무등산수박은 무등산 북쪽 산기슭에 재배되고 있는 순재래종 수박으로 광주의 대표적인 특산물이다. 수박이 압록색의 겉 빛깔을 가졌다고 해서 예전부터 ‘푸랭이’라 불렸다. 무등산수박은 무등산 북쪽 산기슭의 기후와 토양에서만 자라며, 일반 수박보다 크기가 더 크고 천연의 맛을 가지고 있어 조선시대 이래 지금까지 광주를 대표하는 특산물로서 각광받고 있다.

목차
정의
무등산 북쪽 산기슭에 재배되고 있는 순재래종 수박으로 광주의 대표적인 특산물.
참고문헌

원전

『규합총서(閨閤叢書)』 팔도소산(八道所産)

단행본

정순주·박순기, 『무등산 수박의 유래와 재배기술』(전남대학교출판부, 2001)
김정호, 『광주산책』 하(광주문화재단, 2015)
국립무형유산원, 『한국무형유산종합조사-농경·어로 분야(전라지역) 보고서-』(2017)

기타 자료

『동아일보』(1926. 6. 27)
주석
주1

땅을 갈아서 농사를 지음. 우리말샘

주2

바닥이 펀펀한 땅. 우리말샘

주3

해수면으로부터 계산하여 잰 육지나 산의 높이. 우리말샘

주4

비탈진 땅. 우리말샘

주5

공기가 통할 수 있는 성질이나 정도. 우리말샘

주6

진흙이 비교적 적게 섞인 보드라운 흙. 공기와 물의 유통이 좋고 비료의 분해가 빨라 농작물을 심기에 알맞다. 우리말샘

주7

짐이나 상품 따위를 내어보냄. 우리말샘

주8

초목의 눈이 틈. 우리말샘

주9

나무의 가지나 풀의 줄기에서 새로 돋아 나온 연한 싹. 우리말샘

주10

‘순지르기’의 북한어. 우리말샘

주11

씨앗을 뿌린 뒤나 모종을 옮겨 심은 뒤에 주는 거름. 우리말샘

주12

1271년에 몽고 제국의 제5대 황제 쿠빌라이가 대도(大都)에 도읍하고 세운 나라. 1279년에 남송을 멸망시키고, 중국 본토를 중심으로 몽고, 티베트를 영유하여 몽고 지상주의 입장에서 민족적 신분제를 세웠으나 1368년에 주원장을 중심으로 한 한족의 봉기로 망하였다. 우리말샘

주13

임금이나 고관에게 바치는 물품. 우리말샘

주14

상제(喪制)의 몸으로 있는 동안. 우리말샘

주15

제사를 맡은 관원. 우리말샘

주16

제사를 지내는 단. 우리말샘

주17

제사에 드는 여러 가지 재료. 우리말샘

주18

어떤 산물이 집단적으로 많이 나는 지역. 우리말샘

주19

집이나 건물 따위가 들어설 장소가 갖추어야 하는 조건.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