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문회 ()

식생활
인물
1960~1970년대, 통일벼를 개발하여 현대 한국의 쌀 자급에 기여한 농학자.
이칭
필명
Mun Hue Heu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27년
사망 연도
2010년
본관
양천(陽川)
출생지
충청북도 충주시
주요 저서
수도원연품종간잡종에 있어서의 생육일수와 불임에 관한 연구
주요 작품
통일벼(IR667)
주요 경력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교수, 한국육종학회장, 한국작물학회장
대표 상훈
5.16민족상, 대한민국과학기술유공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허문회는 1960~1970년대 통일벼를 개발하여 현대 한국의 쌀 자급에 기여한 농학자이다. 필리핀의 국제미작연구소(IRRI)에서 개발한 단간다수확(短稈多收穫) 품종을 삼원교잡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국내에 도입하는 데 성공하였다. 통일벼는 1970년대 쌀 증산 정책이 성공하여 한국이 1980년대 이후 쌀을 자급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정의
1960~1970년대, 통일벼를 개발하여 현대 한국의 쌀 자급에 기여한 농학자.
인적 사항

허문회는 1946년에 청주교육대학교의 전신인 청주사범학교를 졸업한 뒤 1954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1957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1968년에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농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활동

허문회는 석사 과정을 마친 뒤 1957년 농사원(현 농촌진흥청) 시험국에서 실용 육종 연구를 시작하였고, 1960년부터는 서울대학교 농과 대학의 교수로 근무하였다. 당시 세계 농학계에서는 미국이 주도하는 ‘ 녹색혁명’이 한창 진행중이었는데, 특히 더 많은 질소 비료 투입에도 견딜 수 있도록 키 작은 품종을 개발하는 것이 유행이었다. 이러한 단간다수확(短稈多收穫) 품종은 1950년대 후반 밀과 옥수수에서 큰 성과를 거두었고, 1960년 미국의 후원으로 필리핀에 설립된 국제미작연구소(IRRI)에서는 단간다수확 벼 품종의 개발을 추진하였다.

한국의 고질적 식량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다수확 벼 품종을 개발해야 한다고 생각했던 허문회는, 국제미작연구소의 설립 소식을 접하고 현지 연수를 신청하여 1964년부터 서울대학교를 휴직하고 국제미작연구소 연구원으로 근무하게 되었다. 그는 국제미작연구소의 벼 육종 책임자 헨리 비첼(Henry M. Beachell)의 신뢰를 받으며 연구진에 합류하였고, “기적의 벼”라는 찬사를 받은 단간다수확 벼 품종 IR8(1966)의 개발에도 참여하였다. 그는 한국 환경에 맞는 단간다수확 벼 품종을 개발하겠다는 목표 아래 국제미작연구소에서 취급하던 아열대 품종과 한국에서 잘 자라는 온대 품종을 교잡하여 500여 종의 조합을 실험하였다.

1966년 서울대학교로 복직한 허문회는 국제미작연구소에서 실험하였던 품종 표본을 가져와 한국 적응 실험을 계속하였다. 특히 IR8과 같은 인디카계 품종과 한국에서 잘 자라는 자포니카계 품종을 교잡하면 생산력이 떨어지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유전적 거리가 먼 제3의 종을 다시 교잡하는 ‘원연종 간 삼원교잡’과 같은 기술을 시도하였다. 삼원교잡의 결과로 얻은 품종 가운데 IR8 x (Yukara x TN1) 조합을 IR667로 명명하고, 이것이 한국 기후에 잘 적응하며 다수확의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허문회는 IR667의 실용화를 위해 1968년 새로 농촌진흥청장에 취임한 김인환을 설득하였다. 김인환은 국제미작연구소의 지원 약속을 받고 IR667의 실용화를 결정하였고, 농촌진흥청은 1971년 이를 ‘통일’이라 명명하고 농가에 장려 품종으로 보급하기 시작하였다. 통일벼는 박정희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급속히 농가에 보급되었고, 당시 추진 중이던 새마을운동과도 맞물려 쌀 증산을 통한 농가 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 결과 1977년 한국은 쌀 자급을 선언할 수 있게 되었다.

허문회는 IR667의 실용화 이후에도 단간다수확 벼 품종의 지속적인 개량을 위해 연구를 계속하였다. 이를 통해 여러 품종을 실용화했을 뿐만 아니라, 단간 유전자와 찰기 유전자 등 실용적 가치가 높은 유전자들의 염색체상 위치를 밝혀내는 등 유전학에서도 많은 업적을 남겼다.

또한 허문회는 통일벼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네팔 등 다른 아시아 국가에 농업 기술 개발을 위한 자문을 하였다. 그리고 한국작물학회장, 한국육종학회장, 중국연변농학원 초청교수, 아시아‧오세아니아 육종학회 및 국제 벼유전학회 상임이사 등을 역임하였다.

학문과 저술 · 사상과 작품

허문회의 저서로는 『작물육종』‧『육종학범론』‧『육종학각론』 등이 있다. 허문회는 연구 논문으로 통일벼 개발을 보고한 「수도원연간(水稻遠緣間) 잡종에 관한 연구」를 비롯하여 병해충 저항성과 추위에 강한 벼 육종 연구, 쌀의 고단백 및 품질 개선을 위한 성분 육종 연구, 잡종 1대에 나타나는 우수성을 이용하는 육종법 연구, 간척지에 벼 재배를 위한 소금기가 많은 흙에서도 잘 자라는 벼 연구, 유전자 돌연변이 벼 개발 및 분석 연구 등 210여 편을 발표하였다.

상훈과 추모

허문회는 통일벼 개발을 주도하여 식량 자급 시대로의 진입에 기여한 공으로 2010년 9월에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기술원한림원이 선정한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헌정되었고, 2015년 12월 ‘과학기술유공자’ 제도가 시행되면서 과학기술유공자로 선정되었다. 생전에는 5‧16 민족상(1977), 은탑산업훈장(1977), 성곡재단 학술상(1987),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농수산학상(2002) 등 다수의 상을 받았다.

참고문헌

논문

최현옥·배성호·정근식·조재연·허문회·Henry M. Beachell, 「수도 단간수중형품종 신품종 ‘통일’」(『농사시험연구보고』, 1974)
허문회, 「수도원연품종간잡종에 있어서의 생육일수와 불임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68)

인터넷 자료

「쌀 자급을 이룩한 통일벼의 아버지」, 대한민국과학기술유공자(https://www.koreascientists.kr)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