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책 ()

출판
개념
조선 후기, 민간에서 이윤 추구를 목적으로 다수의 소장 도서를 저렴하게 빌려주던 서적 유통 방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세책(貰冊)은 세책점에서 돈을 받고 책을 빌려주던 것을 말한다. 책값이 비쌌던 전근대에 일반 고객인 독자를 상대로 세책점에서 다수의 책을 보유해 놓고 인기 있는 책을 저렴한 비용으로 일정 기간 빌려 주었다. 고서의 세책 영업은 18세기 중반 이후부터 20세기 초까지 지속되었다. 특별히 사대부가 여성들이 국문소설을 경쟁적으로 세책점에서 빌려 읽었다. 여성들의 세책 독서는 소설 독서의 대중와 상업화를 이끌었다.

정의
조선 후기, 민간에서 이윤 추구를 목적으로 다수의 소장 도서를 저렴하게 빌려주던 서적 유통 방식.
내용

세책(貰冊)은 ‘책(冊)을 세(貰) 놓다’라는 의미로, 다량의 책을 보유한 업자에게 돈을 주고 책을 빌려 읽는 독서 활동이자 상업적 서적 유통의 한 형태이다. 책을 직접 매매하던 곳이 서점이라면, 일정 기간 대여 조건 아래 대여료를 받고 책을 빌려주고 돌려받던 곳이 세책점이었다. 따라서 세책점은 근대에 공공도서관이 무료 도서 대출을 하기 이전 시기에 발달한 상업적 도서 대여점이라 할 수 있다. 얼마 전까지 쉽게 볼 수 있었던 도서 대여점이나 비디오테이프 대여점과 유사하다. 그리고 현재 사용 중인 전자책 스트리밍 서비스(Streaming Service)가 바로 세책의 21세기형 버전이라 할 수 있다.

국내의 경우, 세책점(또는 세책집)이 언제, 어떻게 나타났는지 확실하지 않다. 다만 18세기 중반 이후에 사대부가의 여성들 사이에서 국문소설 책을 경쟁적으로 빌려 읽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로 볼 때, 세책점이 18세기 초, 또는 늦어도 18세기 중반에 나타났고, 18세기 후반 이후 유행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정조대에 채제공(蔡濟恭)이덕무(李德懋)가 쓴 두 편의 글을 통해 18세기 초기 세책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근세에 안방의 부녀자들이 경쟁하는 것 중에 능히 기록할 만한 것으로 오직 패설(稗說)이 있는데, 이를 좋아함이 나날이 늘고 달마다 증가하여 그 수가 천백 종에 이르렀다. 쾌가(儈家)는 이것을 깨끗이 베껴 쓰고 무릇 빌려주는 것이 있었는데, 번번이 그 값을 받아 이익으로 삼았다. 부녀자들은 식견이 없어 혹 비녀나 팔찌를 팔거나 혹 빚을 내면서까지 서로 싸우듯이 빌려 가지고 가 그것으로 긴 해를 보냈다.” (채제공, 「여사서서(女四書序)」, 『번암집(樊巖集)』)

이를 통해 세책점인 ‘쾌가(儈家)’에서 경쟁적으로 국문소설[稗說] 책을 빌려 읽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독자가 원하는 독서물을 필사본으로 만들어 대여해 주었다. 저렴한 비용으로 여러 권의 장편소설 책을 빌려 읽는 재미를 맛본 사대부가 여성들이 소설 독서의 주 독자층으로 급부상했다. 이처럼 당시 인기 있는 소설책을 다수 구비해 놓고, 분책 대여를 통해 이윤을 추구하고 독자층의 외연을 확대시켜 나간 상업적 세책 영업이 동서양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교양 있는 상층의 여성 독자에서 시작해 후대로 갈수록 글자를 아는 중 · 하층민으로로 세책의 독서 고객이 확대되었다.

“서울에만 있었던 세책이란 것이 있으니, 무릇 대중의 흥미를 끌 만한 소설 종류를 등사하여 삼사십 장씩 한 권을 만들어 많은 것은 수백 권이 한 질, 적은 것은 이삼 권이 한 질이 되어, 한두 푼의 대여료를 받고 빌려 주어서 보고는 돌려보내고 돌아온 것을 또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는 조직으로, 한창 전성기에는 그 종류가 수백 종 수천 권을 초과하였습니다. 수십 년 전까지도 서울 향목동이란 데-지금의 황금동 1번가 사잇골-에 세책집 하나가 남아 있었는데 우리가 조만간 없어질 것을 생각하고 그 목록만이라도 적어 두려 하여 세책 목록을 베껴 써둔 일이 있는데 이때에도 실제로 세 주던 것이 총 120종, 3,221책(이중에 같은 종은 30종 491책)을 계산했습니다. 이중에서 『윤하정삼문취록』은 186권, 『임화정연』은 139권, 『명주보월빙』은 117권, 『명문정의록』은 116권인 것으로 꽤 장편의 것도 적지 아니합니다. (중략) 이런 소설들 대개가 가정을 중심으로 인생 여정의 파란을 그리고 또 거기 임하는 태도를 가르쳐 준다고 할 만한 것으로 사막 같은 가정에 이것이 샘 자리가 되고 골방 속에 갇혀 지내던 부인네에게 달 밝고 별 깜박거리는 시원한 하늘을 보여 주는 것이 실로 이 소설의 세계였습니다.”(최남선, 「조선의 가정문학」, 1938)

최남선은 20세기 초 서울에서 마지막 남은 향목동 세책점의 모습을 이렇게 소개했다. 대여료를 내고 일정 기간 흥미 본위의 책을 그것도 자국어(한글)로 쓰인 분책(分冊)하기 좋은 장편소설을 돌려가며 빌려 읽었고, 세책 독서를 통해 다양한 세계 경험과 오락을 맛볼 수 있었다. 그러나 세책점과 세책 독서는 19세기 말~20세기 초에 이르러 쇠퇴하고 만다. 책을 서점에서 싼 값에 쉽게 구할 수 있게 되고, 신문과 잡지 등 다양한 독서물이 등장한 데다 공공도서관에서 무료로 누구나 책을 빌려 읽을 수 있게 된 것이 결정적이었다. 결국 고서 대여를 하던 마지막 세책점이 1920년대 말 문을 닫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이러한 고서 세책 영업은 서울에서만 나타났다.

세책 종류

세책 영업은 세책업자가 직접 돌아다니며 책을 빌려주는 이동식 세책업과 목 좋은 위치에 세책점을 차리고 고객이 찾아오기를 기다리는 고정식 세책업으로 대별된다. 고객이 많은 도시에서는 고정식 세책 영업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수동적으로 고객을 기다려야 했기 때문에 영업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소장 도서 목록이 적힌 카탈로그를 제작해 배포, 판매하거나 신문 광고를 내거나 고객을 위한 각종 서비스와 편의 시설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영업 전략을 구사했다. 국내의 경우, 책 표지를 튼튼히 만들거나 침자리를 비워 놓고 필사하기도 하고, 페이지를 표시하고, 이전 내용을 요약해 다음 책에서 소개하는 등의 방식으로 독자의 편의를 고려한 세책본을 마련했다.

반면, 산촌 벽지나 섬 등 서적 유통과 독서 환경이 부족한 지역에 사는 고객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이동식 세책 영업도 존재했다. 근대 이전에 국내에서 이동식 세책 영업이 있었는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세책 독서의 의미

근대 이전의 세책은 독서와 상업이 결합해 나타난 책의 첫 번째 소비 유통 방식이었다. 시장경제체제로의 물적 토대의 전환과 시장경제사회의 주체로 급부상한 상인과 시민 계층, 자국어 문자 독해가 가능한 여성 및 중하층 독자의 형성, 통속 소설에 대한 독서열이 맞물려 나타난 새로운 상업적 서적 유통이 세책이었다.

세책 독서는 오락성과 상업성을 토대로 책의 소비와 지식의 확산, 그리고 일반 독자가 출현해 만들어 낸, 독서사의 진보이자 동서양 공동의 보편적 문화유산이다. 국내뿐 아니라 유럽, 일본, 미국 등에서 지역 간 별다른 영향 없이 공통적으로 18세기부터 19세기 중후반까지 자국어 소설 위주의 세책 독서가 발달한 사실이 확인되기 때문이다. 동일한 책을 다수의 독자가 반복적으로 빌려 읽던 세책 독서는 의식 측면에서 공론화, 동질화 가능성을 높여 주었다. 세책 독서가 발달했다는 것은 독서의 대중화, 상업화를 지향하는 사회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했음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윤석·大谷森繁·정명기, 『세책 고소설 연구』(혜안, 2003)
이민희, 『16~19세기 서적중개상과 소설·서적 유통관계 연구』(역락, 2007)
오오타니 모리시게(大谷森繁), 『한국 고소설 연구』(경인문화사, 2010)
유춘동, 『한국 고소설의 현장과 문화지형』(소명출판, 2017)
이민희, 『세책, 도서 대여의 역사』(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