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난전선 ()

목차
관련 정보
자연지리
개념
온난 기단이 한랭 기단으로 이동하면서 두 기단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전선.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온난전선은 온난 기단이 한랭 기단으로 이동하면서 두 기단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전선이다. 성질이 서로 다른 두 기단이 마주쳐 온난 기단이 미끄러지듯 한랭 기단 위로 상승하면서 형성되는 전선이다. 일기도에서 온난전선은 한랭 기단 쪽으로 향한 붉은색의 반원 모양을 포함한 선으로 표시한다. 온난전선은 기울기가 완만하기 때문에 전선 상에 층운형 구름이 넓게 발달하고, 한랭전선에 비해 구름층이 얇아 강우의 강도가 약하고 넓은 지역에서 비교적 지속적으로 비가 내린다. 온난전선은 한랭전선의 절반 정도로 느리게 이동한다.

목차
정의
온난 기단이 한랭 기단으로 이동하면서 두 기단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전선.
개설

온난 주1과 한랭 주2이 만나 따뜻한 공기가 차가운 공기를 따라 상승하면서 주3이 형성된다. 이 불연속면과 지표면이나 상층에서 지표면과 나란한 면이 만나는 선을 온난전선(溫暖前線)이라고 한다. 일기도에서는 한랭 기단 쪽으로 향한 붉은색의 반원 모양을 포함한 선으로 온난전선을 표시한다.

내용

온난전선의 이동 속도는 한 시간에 25~35㎞로 한랭전선보다 절반 정도로 느리게 이동한다. 낮에는 전선 양쪽 공기의 혼합이 이루어지면서 비교적 빠르게 이동하지만, 밤에는 복사 주4이 일어나면서 온난전선의 이동이 느려지고, 상승 주5가 약해질 수 있다.

온난전선은 기울기가 완만하기 때문에 전선을 따라 층운형 주6이 넓게 발달한다. 전선이 접근하면서 주7주8(상층운[^9]), 주10주11(중층운[^12]), 주13주14(하층운[^15]) 순으로 하늘을 덮는다. 권층운은 온난전선이 다가오고 있음을 알려 주는 전조이며, 권층운이 끼고 하루 정도 지나면 온난전선의 주16가 다가온다.

온난전선에서는 한랭전선에 비해 구름층이 얇아 강수 강도가 약하지만 비교적 넓은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비가 내린다. 그러나 여름철 북태평양 기단이 한반도에 접근할 때와 같이 온난기단이 습윤하고 불안정할 때는 적란운이 발달하여 폭우 및 뇌우가 발달할 수 있다. 온난전선이 통과한 후 한랭전선이 다가올 때가지 대체로 강우가 계속된다. 온난전선이 통과한 후에는 기온이 서서히 상승한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광식, 『기상학사전』 (향문사, 1992)
권혁재, 『자연지리학』 (법문사, 1997)
윤순옥 외 13인 역, 『McKnight의 자연지리학』 (시그마프레스, 2019)
이광률, 『원리로 이해하는 기후학』 (가디언북, 2023)
이승호, 『기후학』 (푸른길, 2022)
Anderson, B. T., Strahler, A. H., Visualizing Weather and Climate. (Wiley, 2008)
Rohli, R. V., Vega, A. J., Climatology. (Jones & Bartlett Learning, 2017)
주석
주1

따뜻하고 가벼운 기단. 우리말샘

주2

추운 지역에서 발생하여 따뜻한 지역으로 이동하는 기단. 일반적으로 기단 내의 대기 성층이 불안정하고, 적운형의 구름과 소나기형의 강수(降水)가 따른다. 우리말샘

주3

기온ㆍ밀도ㆍ습도ㆍ풍향ㆍ풍속 따위의 기상 요소가 다른 두 기층의 경계면. 주로 온난한 기단과 한랭한 기단의 경계면을 이르며, 전선면이 대표적이다. 우리말샘

주4

복사에 의한 냉각 현상. 대기 복사에 의한 대기의 냉각과 지구 복사에 의한 지표면의 냉각이 있는데, 맑고 바람이 약한 야간에 왕성하게 일어난다. 우리말샘

주5

대기 중에서 위로 올라가는 공기의 흐름. 단열 팽창으로 인하여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됨에 따라 구름이 만들어지고 비가 내리게 되는 경우가 많다. 우리말샘

주6

수평으로 잘 퍼진 구름의 층. 또는 연속해 있지는 아니하지만 층상으로 된 구름. 우리말샘

주7

푸른 하늘에 높이 떠 있는 하얀 섬유 모양의 구름. 높이 5~13km 사이, 기온 영하 20℃ 이하인 곳에 나타난다. 빙정(氷晶)이 모여 생긴 것으로서 해나 달 주위에 끼면 무리가 나타나기도 한다. 기호는 Ci. 우리말샘

주8

온 하늘을 뒤덮은 엷고 흰 면사포 모양의 구름. 높이 5~13km 사이에 나타나며 햇무리, 달무리를 잘 일으킨다. 우리말샘

주9

대기권 윗부분에 떠 있는 구름. 권운, 권적운, 권층운이 이에 포함되며, 대류권의 상부에 위치하여 구름 입자는 주로 얼음의 결정으로 이루어진다. 우리말샘

주10

높은 하늘에 크고 둥글둥글하게 덩어리진 구름. 보통 2~7km 높이에 나타나며 권적운에 비하여 하나하나의 구름 덩어리가 크다. 기호는 Ac. 우리말샘

주11

층을 이루어 하늘을 덮는 잿빛 또는 푸른색을 띤 구름. 보통 2km 이상의 높이에 나타나 두껍게 발달한다. 기호는 As. 우리말샘

주12

상층운과 하층운의 중간 높이에 있는 구름. 2~7km 높이에 떠 있는 구름으로 균일한 구름층이나 흰 덩어리로 되어 있다. 고적운, 고층운, 난층운이 이에 속한다. 우리말샘

주13

오랜 시간 계속 비나 눈을 내리는 검은 회색의 두꺼운 구름. 높이 2~7km에 분포하며 온 하늘을 뒤덮는다. 기호는 Ns. 우리말샘

주14

하층운의 하나. 두꺼운 덩어리로 된 구름이 층을 이룬 모양으로,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다. 낮에는 구름 꼭대기가 발달하여 적운이 되었다가 저녁 무렵이 되면 약해진다. 기호는 Sc. 우리말샘

주15

지상 2km 이내의 공중에 있는 구름. 층적운, 층운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16

기상도에서 띠 모양으로 형성된, 비가 내리는 구역.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