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지하철(大邱 地下鐵)
이와 같은 계획은 단핵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대구의 도심으로 집중되는 인구와 교통혼잡의 문제를 해결하고 통행 시간 단축에 따른 생산성 향상, 차량 대수의 감소와 에너지 절약, 지역 개발 촉진, 환경오염 악화방지, 도시 미관 향상, 도시 활동 거리의 확대, 수송 능력의 대량화 등을 비롯하여 안전성, 쾌적성, 정시성 등의 측면에서 수립되었다. 대구지하철에서는 대형사고가 두 차례 있었다. 첫 번째는 지하철 건설공사가 한창이던 1995년 4월 28일에 상인동에서 신축공사를 하던 중 파손된 도시가스관에서 유출된 가스가 하수관을 통해 지하철 공사장으로 유입되었다가 원인불명의 화인으로 도시가스가 폭발한 사고이다. 이 사고로 101명이 사망하고 145명이 부상하였다. 그리고 2003년 2월 18일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