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응환 ()

수사공 강응환 가전 유물 / 영정
수사공 강응환 가전 유물 / 영정
고전시가
인물
조선 후기에, 고령진첨사, 창성부사, 동래부사 등을 역임한 무신.
이칭
명서(命瑞)
물기재(勿欺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35년(영조 11)
사망 연도
1795년(정조 19)
본관
진주(晉州)
출생지
고창
주요 저서
물기재집
주요 작품
창성감고가(昌城感古歌)|무호가(武豪歌)|고령진민선정가(高嶺鎭民善政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고령진첨사, 창성부사, 동래부사 등을 역임한 무신.
개설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명서(命瑞), 호는 물기재(勿欺齋). 강희맹(姜希孟)의 9세손으로 전라도 무송[茂松 : 지금의 고창(高敞)]에서 태어났다.

생애와 활동사항

경과정시(慶科庭試)에 합격하여, 부장(部長) · 사헌부감찰 · 칠원현감(漆原縣監) · 초계군수(草溪郡守) · 대구영장(大丘營將) · 고령진첨사(高嶺鎭僉使) · 창성부사(昌城府使) · 동래부사 등을 지냈다. 창성부사가 되어서는 부근의 지도를 작성하여 불의의 변에 대비한 바도 있다.

문집으로 족종손(族從孫) 우만(宇萬)이 엮은, 『물기재집』 2권 1책이 전한다. 이 문집에 그가 남긴 시조 「창성감고가(昌城感古歌)」 1수와 가사 「무호가(武豪歌)」 1편, 고령진의 백성들이 지은 가사 「고령진민선정가(高嶺鎭民善政歌)」 1편이 실려 있다.

「창성감고가」는 그가 창성에 이배(移配)되었을 때 지은 작품으로, 요동의 옛 땅을 되찾지 못하는 통분함과 애국정신을 표현하였다. 그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후의 퇴폐한 시대상에 비통해 하였으며, 이러한 의식 때문에 그의 작품은 애국애족을 주제로 하는 것이 대부분이라고 평가된다.

참고문헌

『역대시조전서』(심재완, 세종문화사, 1972)
『물기재집시조의 문헌적연구』(심재완, 세종문화사, 1972)
「새가사주해삼편」(이태극, 『국어국문학』25, 1962)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