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동별곡 ()

목차
관련 정보
송강가사
송강가사
고전시가
작품
1580년(선조 13)정철(鄭澈)이 지은 가사.
목차
정의
1580년(선조 13)정철(鄭澈)이 지은 가사.
내용

1580년(선조 13) 정철(鄭澈)이 지은 가사. ≪송강가사 松江歌辭≫와 ≪협률대성 協律大成≫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가 45세 되는 해 정월에 강원도관찰사의 직함을 받고 원주에 부임하여, 3월에 내금강·외금강·해금강과 관동팔경을 두루 유람하는 가운데 뛰어난 경치와 그에 따른 감흥을 표현한 작품이다.

내용을 시상의 전개에 따라 나누면 4단으로 나뉜다. 1단에서는 향리에 은거하고 있다가 임금의 부름을 받고 관찰사에 제수(除授)되어 강원도 원주로 부임하는 과정을 노래하였다.

2단에서는 만폭동(萬瀑洞)·금강대(金剛臺)·진헐대(眞歇臺)·개심대(開心臺)·화룡연(火龍淵)·십이폭포(十二瀑布) 등 내금강의 절경을 읊고 있다.

3단에서는 총석정·삼일포·의상대(義湘臺)의 일출, 경포대·죽서루(竹西樓) 및 망양정(望洋亭)에서 보는 동해의 경치 등 외금강·해금강과 동해안에서의 유람을 노래했다. 4단에서는 꿈속에서 신선과 더불어 노니는 것에 비유하여 작자의 풍류를 읊었다.

작품의 전체 행수는 이본에 따라 다르다. 성주본(星州本)은 71구 145행이며, 이선본(李選本, 關北本이라고도 함.)은 “어와 뎌 디위ᄅᆞᆯ 어이ᄒᆞ면 알 거이고”가 더 있어 73구 146행이다.

≪협률대성≫에 실린 작품에는, 앞의 두 이본의 끝에 있는 “明月(명월)이 千山萬落(천산만락)의 아니 비쵠 ᄃᆡ 없다.” 대신에 “기러ᄂᆡ다 다 기러ᄂᆡ며 퍼ᄂᆡ다 다 퍼ᄂᆡ랴/兒㝆(아희)야 盞(잔)을 씨셔 이 술 한 盞(잔) 어다가/九重(구중)으로 도라가셔 모다 취케 ᄒᆞ오리라.”가 되어 79구 149행이다.

율격은 가사의 전형적인 4음 4보격을 주축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인 음절수의 양상을 보면, 3·4조가 압도적으로 많고, 그 다음이 4·4조이다. 그 밖에 2·4조, 4·3조, 3·3조, 2·3조, 3·2조, 3·5조, 5·2조 등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또한, 진술양식에서 작자가 독자에게 직접 말하기도 하고, 등장인물인 신선과의 대화를 보여주기도 한다. 이 작품은 감탄사와 생략법과 대구법을 적절히 사용하고 있어 우리말을 시적으로 사용하는 작자의 뛰어난 문장력이 잘 나타나 있다.

시상은 이백(李白)의 <유태산 遊太山>·<송왕옥산인위만환왕옥 送王屋山人魏萬還王屋>·<여산요기위시어허주 廬山謠寄韋侍御虛舟>, 두보(杜甫)의 <북정 北征>, 소식(蘇軾)의 <적벽부 赤壁賦> 등과 그 맥락을 같이한다.

후인들은 이 작품을 매우 칭찬했는데, 김만중(金萬重)이 ≪서포만필 西浦漫筆≫에서 ‘동방의 이소(離騷)’라고 찬양한 것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후대의 작품에 영향을 주어 <관동별곡>을 모방하여 지어진 작품도 많이 나타났다. 조우인(曺友仁)의 <관동속별곡 關東續別曲>은 그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송강가사』(성주본·이선본)
『협률대성(協律大成)』
『서포만필(西浦漫筆)』
『송강가사』(박성의, 정음사, 1956)
『한국가사문학의 연구』(이상보, 형설출판사, 1974)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학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