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양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전기 목종대에 반란을 일으킨 권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009년(현종 1)
본관
동주(洞州: 지금의 황해도 서흥)
주요 관직
우복야 겸 삼사사(右僕射 兼 三司使)
내용 요약

김치양은 고려 전기 목종대에 반란을 일으킨 권신(權臣)이다. 승려 행세를 하면서 천추궁(千秋宮)에 출입하며 천추태후와 추문을 일으켰는데, 성종이 즉위하면서 유배되었다가, 목종이 즉위하면서 천추태후가 권력을 장악한 이후 관료의 인사권을 장악하였다. 서경 세력에 속한 그는 목종대 종교와 신앙을 바탕으로 통치하려고 하였으며, 천추태후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을 왕위에 올리기 위해 반란을 일으켰지만 죽임을 당하였다.

정의
고려 전기 목종대에 반란을 일으킨 권신.
가계 및 인적 사항

김치양은 태조 왕건(王建)의 공신 김행파(金行波)의 후손일 수 있으며, 목종의 어머니인 주1의 외척이다.

주요 활동

김치양은 경종이 죽은 후에 승려 행세를 하면서 천추궁(千秋宮)에 출입하며 천추태후와 추문을 일으켰는데, 성종은 즉위하자 김치양을 유배 보냈다. 다만 그가 실제 화엄종 승려였을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목종이 즉위한 이후 천추태후는 실권을 장악하고 김치양을 주2 주3에 임명하였다. 이후 국왕의 측근이면서 재정을 맡은 주4주5(右僕射兼三司使)가 되어 관료의 인사권을 장악하고 행사하였다. 그는 자신의 세력을 조정에 심었는데, 유행간(庾行間)과 이주정(李周禎) 등을 그의 정치세력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들이 친당(親黨)이 아닌 단지 협조하는 관계였다고 보기도 한다.

김치양은 고려 초 이래 성장한 서경 세력에 속한다고 여겨진다. 그는 목종에게 네 차례나 서경 행차를 하게 하였으며, 그때마다 방악(方嶽)과 주진(州鎭)의 주4에 대한 재제(齋祭) 의식을 갖게 하였다. 이 조치는 성종대에 있었던 산천(山川)에 대한 제사 삭감을 다시 복구한 것이다. 또한 그는 자신의 출신지인 서흥(瑞興)에 성수사(星宿寺)라는 사당을 지었고, 궁성 서북쪽에 시왕사(十王寺)를 세웠는데, 도교 · 불교 및 토속신앙에 바탕을 둔 곳이다.

1003년(목종 6) 천추태후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을 왕위에 올리고자, 당시 왕위계승에 가장 유력한 태조의 손자인 대량원군(大良院君) 왕순(王詢: 후의 현종)을 승려로 만들어 숭경사(崇敬寺)에 보냈다. 이후 왕순을 삼각산 신혈사(神穴寺)로 옮긴 후에 여러 차례 자객을 보내 암살하려 하였지만 실패하였다. 김치양은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굳히고 아들의 왕위계승을 위해 친거란 정책을 주도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1009년(목종 12) 천추궁 옆에 대부(大府)의 기름창고에서 화재가 일어나 천추전이 불탔다. 이 화재는 김치양이 대량원군을 추대하려는 반대 세력을 축출하려는 의도로 저지른 것이라는 견해와 함께, 오히려 반대 세력인 유진(劉瑨) · 채충순(蔡忠順) · 최항(崔沆) · 강조(康兆) 등이 김치양을 제거하기 위해 일으킨 사건으로 보기도 한다. 화재에 큰 충격을 받아 병이 난 목종이 정무를 보지 않자 김치양은 반란을 도모하려고 하였다.

이 계획은 유충정(劉忠正)의 밀고로 드러났다. 목종은 최항 · 채충순 · 황보유의(皇甫兪義) 등에게 신혈사에서 대량원군을 맞아들이게 하였고, 서북면 주6 강조(康兆)에게 군사를 이끌고 입위(入衛)할 것을 지시하였다. 강조는 무장병력을 이끌고 김치양과 그의 아들을 죽이고, 목종을 폐위한 후에 대량원군을 왕위에 올렸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최사위묘지명(崔士威墓誌銘)」

단행본

김창현, 『천추태후 역사 그대로』(푸른역사, 2009)

논문

송보라, 「고려 현종 즉위년 ‘파교방’기사의 해석과 정치적 의미」(『한국중세사연구』 61, 한국중세사학회, 2020)
김보광, 「고려 목종대 정치세력과 정국동향」(『역사와 현실』 91, 한국역사연구회, 2014)
권순형, 「고려 목종대 헌애왕태후의 섭정에 대한 고찰」(『사학연구』 89, 한국사학회, 2008)
김대연, 「고려 현종의 즉위와 거란의 침략원인」(『한국중세사연구』 22, 한국중세사학회, 2007)
김당택, 「고려 목종 12년의 정변에 대한 일고-목종대 사경발문과 관련하여-」(『한국학보』 18, 일지사, 1980)
이태진, 「김치양 난의 성격」(『한국사연구』 17, 한국사연구회, 1977)
주석
주1

고려 경종의 비(妃)(964~1029). 목종의 생모로 목종이 즉위하자 섭정하면서 김치양과 통정하고 아들을 낳았는데, 후에 이 아들 때문에 강조의 정변이 일어나 섬으로 유배되었다.    우리말샘

주2

고려 시대에, 합문에 속하여 나라의 의식을 맡아보던 벼슬.    우리말샘

주3

고려 시대에, 각문(閣門)에 속한 정칠품 벼슬.    우리말샘

주2

천신과 지기를 아울러 이르는 말. 곧 하늘의 신령과 땅의 신령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4

고려 시대에, 상서도성에 속한 정이품 벼슬.    우리말샘

주5

고려 시대에, 삼사(三司)에 속한 정삼품 벼슬. 충렬왕 때 좌사(左使)와 우사(右使)로 나누고 공민왕 11년(1362)에 정이품으로 올렸다.    우리말샘

주6

고려 시대에, 특별한 임무를 주어 지방에 임시로 보내던 벼슬아치.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