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차기

목차
관련 정보
돌차기(사방치기)
돌차기(사방치기)
민속·인류
놀이
땅바닥에 여러 형태의 선을 그어놓고 일정한 순서에 따라 앙감질(한 발은 들고 한 발로만 뛰어가는 동작)로 돌을 차면서 나가는 어린이놀이.
이칭
이칭
사방치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땅바닥에 여러 형태의 선을 그어놓고 일정한 순서에 따라 앙감질(한 발은 들고 한 발로만 뛰어가는 동작)로 돌을 차면서 나가는 어린이놀이.
내용

지역에 따라 사방치기 · 목자놀이 · 밭전(田)놀이 · 팔방치기 · 깨금집기 등으로도 불린다.

주로 10세 안팎의 어린이들이 수시로 즐기는 놀이로, 두세 명이 하거나 인원이 많을 때는 편을 갈라서 한다. 돌은 ‘말’ 또는 ‘망’이라고도 하는데 지름 10㎝ 정도의 납작한 것을 사용한다. ‘말’은 각자 자기의 것을 따로 준비한다. 놀이방법은 [그림]과 같다.

[그림 1]의 경우 출발점을 ‘집’이라 하고 차고간 돌을 받아 쥐는 9는 ‘하늘’이라고 한다. ○표가 있는 곳에서는 두 발을 딛고 쉰다. 이 놀이는 맨 처음에 ‘집’에서 ‘말’을 첫째 칸 1에 던져놓고, 1에서부터 앙감질(깨끔발)로 ‘말’을 차 2를 거쳐 3으로 간 다음 발을 내려 쉰다. 3에서 단번에 4로 차 ×칸을 뛰어넘고 다시 발을 내려 쉰 다음, 5를 거쳐 6에서 쉬고, 7을 거쳐 8에서 단번에 9로 찬다.

9에서는 ‘말’을 한 쪽 발등에 올려놓고 이를 위로 차올려 한 손으로 받아 쥐고 순서대로 되돌아 나오는 것으로 한 단계가 끝난다. 이에 성공하면 다음에는 ‘집’에서 둘째 칸 2에 ‘말’을 던져놓고 앙감질로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이렇게 하여 9번 칸, 즉 하늘까지 마치면 한 판이 끝나는 것이다.

그런데 3과 4사이의 ×표 칸에서는 말을 차면서 ①에서 ④까지 순서대로 옮겨다니거나, 3에서 말을 차 올려서 손에 들고 4에 던진 뒤에 ①에서는 앙감질로, ②와 ③에서는 두 발을 동시에 딛고 다시 앙감질로 ④를 거쳐 4로 나가는 수도 있다.

이러한 것은 놀이에 변화를 주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이밖에도 두 번째 단계에서부터는 앙감질로 두 칸, 또는 세 칸을 뛰어넘어 가도록 정하기도 한다. 또, 잘하는 어린이들끼리 놀이를 할 때에는 ×칸을 한두 군데 더 마련하여 놀이의 어려움을 더하는 수도 있다.

놀이의 판은 고누판( 고누의 말판)만큼이나 다양하다. [그림 2]처럼 단순한 것도 있고, [그림 3]처럼 복잡한 판도 있다. [그림 3]의 놀이법도 앞서의 것과 거의 비슷하나 7에 와서 8로 단번에 차 넣은 뒤 모둠발로 ㉮ · ㉯를 밟았다가 다시 앙감질로 8에 가서 ‘말’을 하늘로 찬다.

그리고 하늘에서 ‘말’을 차 올려 받고는 모둠발로 뛰어 돌아 지금까지 해온 순서를 거꾸로 되밟아 나온다. 그런데 8에서 하늘로 ‘말’을 찰 때에는 발을 움직이지 않고도 집을 수 있는 가까운 거리에 차야 한다. ‘말’을 줍기 위하여 발을 떼면 실격이 되기 때문이다. 돌차기는 앙감질을 잘못하거나 던진 ‘말’이 금을 벗어나는 것은 물론, 금에 닿기만 하여도 실격이 되어 차례가 바뀐다.

패를 짜서 할 때는 자기 패의 사람이 중간에서 실패하면 다음 사람이 이어나가기도 한다. 어린이들의 평형감각과 사회성을 익히는 데에 유익한 놀이이다.

참고문헌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문화재관리국, 1969∼1980)
『한국민속대관』 4-세시풍속·전승놀이-(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82)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