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연산 만연사 ( )

목차
관련 정보
화순 만연사
화순 만연사
불교
유적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만연산(萬淵山)에 있는 고려후기 승려 만연선사가 창건한 사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만연산(萬淵山)에 있는 고려후기 승려 만연선사가 창건한 사찰.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인 송광사(松廣寺)의 말사이다. 만연산은 나한산(羅漢山)이라고도 한다. 1208년(희종 4)에 선사 만연(萬淵)이 창건하였다.

만연은 광주 무등산의 원효사(元曉寺)에서 수도를 마치고 조계산 송광사로 돌아오다가 지금의 만연사 나한전(羅漢殿)이 있는 골짜기에 이르러 잠시 쉬다가 잠이 들었다.

십육나한이 석가모니불을 모실 역사(役事)를 하고 있는 꿈을 꾸고 주위를 둘러보니 눈이 내려 온 누리를 덮고 있었는데, 그가 누웠던 자리 주변만은 눈이 녹아 김이 나고 있는 것을 보고 경이롭게 생각하여 토굴을 짓고 수도하다가 만연사를 창건하였다고 한다.

그 뒤 여러 차례의 중건과 중수를 거쳐 보조국사(普照國師)의 사리각(舍利閣)을 비롯하여 대웅전·시왕전(十王殿)·나한전과 승당(僧堂)·선당(禪堂)·동산실(東山室)·서상실(西上室)·동별실(東別室)·서별실(西別室)·수정료(守靜寮)·송월료(送月寮) 등의 3전8방(三殿八房)과 대웅전 앞에 규모가 큰 설루(說樓), 설루 아래에 사왕문(四王門)과 삼청각(三淸閣)이 있던 대찰이었다. 또한, 부속 암자로는 학당암(學堂庵)·침계암(枕溪庵)·동림암(東林庵)·연혈암(燕穴庵)이 있었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는 만연사 승려들이 군중일지(軍中日誌)에 필요한 종이 및 주식·부식 등을 조달해 외적 방어에 도움을 주었다.

1793년(정조 17) 화재로 진언집(眞言集) 판각이 타버리는 등 피해가 있었으나 이듬해 경관(慶冠)이 중건하였다. 한말에는 당시 국창(國唱)으로 불리던 이동백·이날치 명창이 만연사에서 소리를 닦았으며, 정광수·임방울 등 당대의 명창들도 이곳에서 창악을 가르쳤다고 한다. 그러나 6·25전쟁 때 모든 건물들이 불에 타 없어진 것을 1978년부터 4년에 걸쳐 주지 철안(澈眼)이 중창하였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나한전·명부전(冥府殿)·한산전(寒山殿)과 요사채가 있으며, 부속 암자로는 선정암(禪定庵)과 성주암(聖住庵)이 있다. 유물로는 고려 말기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향나무 원목의 삼존불과 시왕상(十王像)·십육나한상 등의 불상과 비현(丕賢) 금어(金魚)의 작품이라 전하는 세로 760㎝, 가로 586㎝의 괘불(掛佛), 오랜 연륜을 자랑하는 범종(梵鐘) 등이 있다. 또 이 절 경내에는 둘레 3m, 높이 27m, 수령 770여 년의 전나무가 있는데, 만연사 창건을 기념하기 위하여 진각국사(眞覺國師)가 심었다고 전한다.

참고문헌

『전통사찰총서 7』(사찰문화연구원, 1996)
『한국사찰전서』(권상로 편,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관련 미디어 (5)
집필자
김위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