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점 ()

목차
관련 정보
교보문고
교보문고
출판
개념
전문적으로 책을 팔거나 사는 가게.
목차
정의
전문적으로 책을 팔거나 사는 가게.
내용

고서점도 포함되지만 일반적으로 신간출판물을 취급하는 소매서점을 말한다. 서포(書鋪)·서관(書館)·서림(書林)·서사(書肆)·책방이라고도 한다. 출판의 오랜 역사에 비교하면, 서점의 발생은 늦은 편이었다. 인류가 발명한 가장 훌륭한 문화유산이라는 책을 공급하는 서점이 등장하기 이전에는 서쾌(書儈) 또는 책거간(冊居間)이 이러한 임무를 수행하여왔다.

우리 나라에 서점이 언제부터 존재하였는가는 아직 정설이 없다. 다만, 1435년(세종 17)에 올린 허조(許稠)의 계(啓)에는 “책값 대신 쌀이나 콩으로 ≪소학집성≫을 교환하는 것이 좋겠다.”라는 내용이 있고, 1457년(세조 3)에 승정원에서 교서관에 있는 오경(五經)을 팔았다는 기록이 있으며, 1470년(성종 1)에 한명회(韓明澮)가 교서관에서 책을 팔게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에 있어서 서사는 민영(民營)의 서사와 관영(官營)의 서사로 구분할 수 있다. 민영의 서사는 민간인이 영리를 목적으로 책을 간행하여 팔던 곳을 말하는데, 그것이 언제 기원되었는지는 밝혀져 있지 않다. 1541년(중종 36) 명례방(明禮坊)에서 인출된 ≪한서열전 漢書列傳≫을 초기의 민영서사본으로 보기도 하나 정확히 고증되지 않았다.

현재 가장 확실한 기록으로서는 송석하(宋錫夏) 소장 ≪고사촬요 攷事撮要≫ 권말의 간기(刊記)에 ‘1576년(선조 9, 만력 4) 7월’에 이어 “수표교 아래 북쪽 자리 수문입구에 있는 하한수(河漢水)의 가각판(家刻板)을 사고 싶은 사람은 찾아오라.”고 새겼음을 들 수 있다.

한편, 관영의 서사는 당시 교서관 한 곳에서만 인출, 판매하는 책의 수량만으로 그 수요를 충족할 수 없었고, 더욱이 교서관은 민간서적을 판매하는 곳이 아니기 때문에 민간에게도 서적을 판매하는 서사를 설립함으로써 책의 보급부족을 메워보려는 동기에서 그 설립의 논의가 시작되었다. 1519년에 서사설립의 절목이 제정되었으나 그 실시를 보지 못하다가, 1522년 어득강(魚得江)이 다시 계청(啓請)하였는데 역시 설립되지 못하였던 듯하다.

이와 같이 서사설립의 필요성은 있었으나 실시를 보지 못한 사정은 당시의 사회가 지닌 유교의 귀족문화적 성격과도 연관이 있다. 또한 책이란 팔고 사는 것이라는 인식보다는, 관청에서 필요해서 출판하여 값 없이 나누어 주는 것이라는 그릇된 생각과 책은 일부 특권층에게만 필요한 것으로 보는 데 그 원인이 있었다. 쿠랑(Courant,M.)의 ≪조선서지 Bibliographie Coreenne≫에 그런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서적판매업이 개항 이후에 비롯된 것은 아니다. 18세기 후기에 서민문화가 대두됨에 따라 독서열이 높아지고 책을 판매하거나 대본하는 곳이 서울에도 여러 곳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이덕무(李德懋)의 ≪사소절 士小節≫에서 엿볼 수 있다. 개항 후 신문화의 유입과 더불어 박문국(博文局)에서는 일본으로부터 신식인쇄기를 수입하여 책을 찍어 냈고, 광인사(廣印社)가 창설된 다음 민간출판사가 줄을 이어 설립되어 일본의 침략에 항거하기 위하여 독립정신의 앙양과 민족정신의 함양을 위한 책을 출판하였다.

이에 따라 많은 서점들이 출현하였다. 당시 대표적인 서점으로서는 1908년에 문을 연 고제홍(高濟弘)의 회동서관(匯東書館)을 비롯하여 김기현(金基鉉)의 대동서시(大東書市), 지송욱(池松旭)의 신구서림(新舊書林), 주한영(朱翰榮)의 중앙서관(中央書館), 김상만(金相萬)의 광학서포(廣學書舖) 등을 들 수 있고, 이 밖에 20여 개소의 서점이 더 생겼다. 1918년에는 영창서관(永昌書館)이 문을 열었다.

이러한 서점들은 초기에 출판사업도 겸하고 있었으나, 도서출판을 전문업으로 하는 출판인쇄소가 많이 설립됨에 따라 점차 쇠퇴되어 융희연간에는 거의 그 예를 볼 수 없게 되었다.

우리 나라의 서점은 1998년 말 현재 4,897개이며, 수도권 집중현상이 뚜렷하다. 거의 모두가 1945년 이후에 시작된 것이고, 그 이전부터 있었던 서점으로는 고서점으로서 통문관(通文館)이 있을 뿐이다. 현대의 서점은 자본금·매장면적·지역 등에 의하여 그 규모의 차이가 심하다. 오늘날 우리 나라에서 대표적인 서점은 30년이라는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종로서적을 비롯하여 규모가 큰 서점으로 교보문고·영풍문고·을지서적·영등포문고 등이 있다.

서점의 수는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다. 서점들의 전국적인 단체로 한국서점조합연합회가 있다. 전통적인 서점은 할인점·북 클럽·대리점·인터넷 서점 등 새로운 영업 형태와 경쟁하여야 할 상황에 있다. 앞으로 서점은 출판사의 책을 위탁받아 판매하는 전통적인 영업형태의 한편으로, 편집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공급받아 독자가 원하는 형태로 가공해서 판매하는 인터넷 서점으로 주문식 판매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문헌

『중종실록(中宗實錄)』
『명종실록(明宗實錄)』
『농포문답(農圃問答)』(정상기)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이규경)
『한국서지학』(안춘근, 경인문화사, 1975)
『서지학산고』(박상균, 민족문화사, 1989)
「서사(書肆)에 대한 몇 가지 문제」(정향우, 『서지학』 2, 1969)
「방각본(坊刻本)에 대하여」(김동욱, 『동방학지』11, 연세대학교 동방학연구소, 1970)
「한국고서적상변천고」(하동호, 『출판학구』 제20집, 한국출판학회 편, 현암사, 1974)
Bibliographie Coreenne(Courant,M., 1894)
『완판방각소설(完板坊刻小說)의 문헌학적연구』(류탁일, 학문사, 1983)
『한국출판연감 1999』(대한출판문화협회, 1999)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