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수근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이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근중(勤仲)
소한당(所閒堂)
시호
신도(信度)
이칭
경지(敬之), 익창부원군(益昌府院君)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50년(세종 32)
사망 연도
1506년(중종 1)
본관
거창(居昌)
주요 관직
이조판서|우의정|좌의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이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거창(居昌). 자는 근중(勤仲)·경지(敬之). 호는 소한당(所閑堂). 신이충(愼以衷)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신전(愼詮)이고, 아버지는 영의정이자 거창부원군 신승선(愼承善)이다. 어머니는 임영대군(臨瀛大君)의 딸이다. 연산군의 처남이며, 중종의 장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84년(성종 15) 음보(蔭補)로 장령에 기용되고, 1492년 우부승지로 승직된 후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호조참의를 역임하였다. 1495년(연산군 1)에 좌부승지로서 선위사(宣慰使)가 되어 평안도를 순무하였고, 1497년에 도승지가 되었다. 그 뒤 이조판서를 거쳐 우찬성이 되었다가 곧 파직되었다.

1504년에 다시 돈녕부첨정(敦寧府僉正)에 기용되고, 이듬해 우의정이 되어 등극사(登極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506년 좌의정으로 있을 때 박원종(朴元宗) 등이 장차 연산군을 폐하고 진성대군(晉成大君: 중종)을 임금으로 추대할 뜻을 품고 연산군의 처남이자, 진성대군의 장인인 신수근에게 넌지시 누이와 딸 중 그 어느 편이 더 중하냐고 물어보자, 신수근은 자리를 차고 일어서면서 임금은 비록 포악하나 총명한 세자를 믿고 살겠다고 하였다.

박원종 등이 그 마음을 움직일 수 없음을 알고 중종반정 때 맨 먼저 역사인 신윤무(辛允武)·이심(李瀋) 등을 보내어 수각교(水閣橋)에서 신수근을 살해하였다. 그 때 시종(侍從)도 몸으로 막다가 함께 죽음을 당했고, 아우인 유수 신수겸(愼守謙)과 판서 신수영(愼守英)도 모두 죽음을 당하였다.

반정으로 임금이 된 중종이 신수근의 딸을 왕비로 책봉했으나 화를 두렵게 여긴 박원종 등에 의하여 폐출되었다. 1739년(영조 15) 딸인 단경왕후(端敬王后)의 능호가 온릉(溫陵)으로 추복(追復)됨에 따라 신수근도 왕의 장인으로서 영의정에 추증되고, 익창부원군(益昌府院君)에 추봉(追封)되었다. 시호는 신도(信度)이다.

참고문헌

『성종실록(成宗實錄)』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중종실록(中宗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성호문집(星湖文集)』
『거창신씨세보(居昌愼氏世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