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택 ()

목차
관련 정보
걸립 / 안택굿
걸립 / 안택굿
민간신앙
의례·행사
가신에게 가정의 안녕함과 번영을 비는 무속의례. 민간의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안택은 가신에게 가정의 안녕함과 번영을 비는 무속 의례이다. 주로 독경무들이 행한다. 대체로 농한기인 시월이나 정월에 추수를 마치고 햇곡으로 제물을 준비한다. 제물은 시루가 중심이 되는데, 삼색 과일과 나물 및 청수(淸水)·백미·술 등을 준비한다. 제의 장소는 대청이나 안방이 된다. 제의 절차는 부정풀이, 조왕, 터주, 성주, 제석, 조상, 내전풀이로 진행된다. 농경사회에서 파종기나 추수기에 행하여졌던 계절제가 가정으로 수용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안택은 우리나라 전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행하여졌던 무의례이다.

목차
정의
가신에게 가정의 안녕함과 번영을 비는 무속의례. 민간의식.
내용

주로 독경무들이 행한다. 대체로 농한기인 시월이나 정월에 많이 하는데 한해의 추수를 마치고 햇곡으로 제물을 준비하여 성주 · 지신 · 조상 · 제석 · 조왕 등 가신에게 감사의 뜻을 표하고 가정의 행복과 번영을 비는 뜻에서 행해지는 무의이다.

충청도지역에서 행하는 안택을 중심으로 진행절차를 약술하면 다음과 같다. 안택을 하려면 먼저 날을 받고 제물을 준비하여야 한다. 기주(祈主)가 독경무를 찾아가서 안택을 해달라고 부탁하면 독경무는 날을 받아 기주에게 알려주고 준비사항을 전달한다.

제물은 시루가 중심이 되는데, 성줏시루와 터줏시루를 가정의 경제적 형편에 따라서 서되서홉이나 서말서되씩 하여서 고사떡을 만든다.

그리고 삼색과일과 나물 및 청수(淸水) · 백미 · 등을 준비한다. 제의 장소는 대청이나 안방이 되고 대상신에 따라서 장소를 옮겨가며 축원을 하기도 한다. 제의 절차는 부정풀이 · 조왕 · 터주 · 성주 · 제석 · 조상 · 내전풀이로 진행되는데, 가족원의 길흉을 가리다가 잡귀가 훼방하는 경우가 나타나면 귀신잡이의 독경도 행하여진다.

① 부정풀이 : 제의 장소를 정화시키고 제물 준비과정에서 잘못하여 부정하게 된 것을 풀어버리는 것이다. 부정경(不淨經)을 독송하고 축원을 한다.

② 조왕석 : 불의 신에 대한 제의로서 부엌에서 행한다. 간단한 제상에 삼색과일과 나물 등을 차려서 청수 한 그릇을 바쳐놓고 조왕경과 축원문을 독송한다.

③ 터주석 : 터줏신에 대한 제의로서 장독대 부근에 터주항아리를 모신 곳에서 행한다. 터줏시루를 바쳐놓고 시루 안에 촛불을 밝히고 청수 한 그릇과 술 한잔을 놓고 『태을보신경(太乙保身經)』 · 『지신경(地神經)』 · 『명당경(明堂經)』 · 『안토지신축원문(安土地神祝願文)』 등을 독송한다.

④ 성주석 : 안방이나 대청에 성주상 · 제석상을 차려놓고 성줏시루 및 백미를 바쳐놓는다. 백미는 말에 담아놓는 것이 보통인데 여기에 성줏대를 꽂아놓기도 한다. 성주경과 성주가옥장 · 지신경 · 성주풀이 등을 독송한다.

성주석에서는 집을 짓는 과정과 세간을 장만하여놓은 모습, 농사짓는 과정과 자손을 낳아 길러 과거급제하는 과정을 말하는 무가가 독송된다.

⑤ 제석석 : 백미를 바쳐놓고 촛불을 백미 위에 켜놓아 ‘불밝이’를 하고 고깔 세 개를 접어서 상에 바쳐놓는다. 제석풀이를 구연하고 고사덕담 · 명당경 등을 독송한다.

⑥ 조상석 : 제상에 밥 한 그릇, 삼색과일과 나물 등을 차린다 삼신상을 조상상 옆에 따로 차리기도 하는데 을 깔고 밥 한 그릇과 미역국 한 그릇을 놓는다. 조상해원경 · 조상경 · 축원문 등을 독송하고 대가림을 한다. 가족원의 길흉을 가리고 액운이 있으면 이를 풀고 잡귀가 책임을 추궁하면 이를 제거하는 간단한 독경을 하기도 한다.

⑦ 내전풀이 : 각 제물을 조금씩 걷어다가 놓고 잡귀를 물리치고 가신을 봉안하는 경문을 독송한다. 식도를 가지고 주문을 외며 칼을 던져 칼끝이 밖으로 향하면 만사가 잘 된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안택은 가정의 대표적인 무제로서 가족을 단위로 하여 가신에게 복을 빌고 가신을 위성하는 제례이다. 농경사회에서 파종기나 추수기에 행하여졌던 계절제가 가정으로 수용되어 독경하는 경객(經客)들이 주관하게 되면서부터 나타난 의식으로서 우리나라 전지역에서 광범위하게 행하여지고 있는 무의이다.

참고문헌

『충청도무가(忠淸道巫歌)』(김영진, 형설출판사, 1976)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