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석 ()

목차
관련 정보
삼불제석도
삼불제석도
민간신앙
개념
집안 사람들의 수명 · 자손 · 운명 · 농업 등을 관장한다는 가신(家神). 삼불제석.
내용 요약

제석은 집안 사람들의 수명, 자손, 운명, 농업 등을 관장한다는 가신(家神)이다. 한국 무(巫)의 신령으로서의 제석은 단군신화에 나오는 환인 제석을 기원으로 한다. 한민족은 고조선 이래로 봄, 가을에 모여 크게 천제를 올렸다. 불교가 융성한 통일신라시대에 천신은 제석이라는 불교적 명칭으로 불렸다. 중국은 천자만 천제를 지낼 수 있다며 조선 시대 임금의 천제 거행을 저지하였다. 천신으로서의 제석에 대한 신앙은 단골 집안의 가신 신앙 속에서 보존되어 왔다. 현재도 전국 각 지역의 굿에서 중반이나 후반에 놀아지는 제석굿에는 어김없이 제석본풀이가 구송된다.

목차
정의
집안 사람들의 수명 · 자손 · 운명 · 농업 등을 관장한다는 가신(家神). 삼불제석.
내용

‘삼불(三佛)제석’으로 불리기도 한다. 한국 무(巫)의 신령으로서의 제석은 단군신화(檀君神話)에 나오는 환인(桓因)제석을 기원으로 한다.

환인은 한자로 표기되기 이전에 하느님 · 수릿님이나 한님 · 한인 등으로 불렸을 것으로 보이고, 그 한자 표기는 불교의 석가제환인다라(釋迦提桓因陀羅) 또는 제석환인(帝釋桓因 : Sakra-Devanam Indra)에서 온 것이다. 제석은 원래 주2라는 인도 신령의 중국 주1이다.

인드라는 주3 찬가에 흔히 등장하는 천상신인데, 주4 정상의 희견성(喜見城)에 있으면서 33천(天)을 통괄하고 주5라는 마신(魔神)과 싸워 인류를 보호할 뿐 아니라 우주의 동서남북을 1개월씩 순회하면서 큰 거울로 그곳 인간의 선악을 살피는 것으로 믿어진다.

한민족은 고조선 이래, 특히 고대사회에서 각 나라별로 봄 · 가을에 크게 모여 천제(天祭)를 올렸다. 부여영고(迎鼓), 고구려동맹(東盟), 예의 무천(舞天) 등이 그런 것들이다. 여기서는 한민족의 천신을 비롯하여 여러 신령이 모셔졌다.

삼국시대 중엽 중국으로부터 유교 · 불교 · 도교가 들어와 수용되면서 이 천제의 전통은 분화와 변모를 겪게 된다. 유교의 영향으로 종래의 천제는 국가의 제례로 편입되고 의례형식은 유례화(儒禮化)하였다.

천신신앙은 이로써 국가제례로서 유례화한 것과 무당에 의해 주재되는 민간의 천신 신앙으로 분화하였다. 불교가 융성한 통일신라시대를 거치면서 천신은 제석이라는 불교적 명칭으로 불리게 된다.

고려의 승려 일연(一然)『삼국유사(三國遺事)』에서 단군의 할아버지인 한민족의 천신을 환인제석이라 표기한 것은 그러한 배경을 갖는다. 한편 고려시대에도 민간에서 무당이 개인신당에 제석신을 모시고 굿을 벌였음은 이규보(李奎報)『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노무편(老巫篇)이 증언한다.

조선시대에 들어오면 천신신앙의 전통은 단절된다. 유신들은 유교의 예(禮)에 의거하여 중국의 천자만 천제를 지낼 수 있고 그 제후국인 조선의 왕은 종묘사직에 제사할 뿐이라고 주장하여 임금의 천제 거행을 저지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천신으로서의 제석에 대한 신앙은 조선왕조의 지속된 억누름에도 불구하고 끈질기게 지속되어온 굿과 무(巫)의 신도인 단골집안의 이른바 가신(家神)신앙 속에서 줄기차게 보존되어 왔다. 굿에서의 제석거리와 각 집안에서 모시던 제석신앙이 그것이다.

일제의 탄압과 광복 이후의 서양의 합리주의 내지 기독교적 가치관의 횡행 및 급격한 산업화를 거치면서도 굿은 그 질긴 생명력을 잃지 않았기에 제석거리는 여전히 굿에서 놀아진다. 반면 단골집안의 제석신앙은 주거환경의 변화와 미신타파운동에 밀려 1970∼1980년대를 거치면서 거의 소멸되고 말았다.

굿의 제석거리가 아직 놀아지고는 있으나 그 신격을 제대로 이해하는 이는 드물고 그저 굿의 한 거리로서 적당히 놀아지고 있는 형편이다. 그러나 1996년 말 제석의 바른 인식과 전통 제석굿을 보존하기 위하여 전통제석굿보존회가 서울에서 결성되고 전통제석굿발표회를 여는 등 제석신앙의 복원운동이 일각에서 일고 있다.

조선시대에 불사(佛師) 또는 도교식으로 천존(天尊)이라고도 불려졌던 제석은 굿판에서 부정과 청배(請陪 : 신령을 불러 모시는 일)의 준비과장을 마치면 제일 먼저 모셔진다. 무당은 가사 · 장삼을 입고 허리에 홍띠를 매고 고깔을 쓴다. 황해도 지역의 제석거리에서는 거기다 백팔염주를 목에 걸고 바랑을 걸머지고 주6을 짚고 손에는 바라를 들고서 논다.

그리고 제석 청배에 들어가는데, 그 끝판쯤에서 다양한 제석의 종류를 일일이 든다. 업제석 · 복제석 · 천궁제석 · 천존제석 · 일월제석 · 용신제석 · 고깔제석 · 업영제석 · 삼신제석 · 나옹제석 · 넌출제석 · 부군제석 · 도당제석 · 몸주제석 · 전안제석 · 후대제석 등이 그것이다. 이것은 제석의 다양하고도 구체적인 성격과 면모 및 발현처를 말해 준다.

전국 각 지역의 굿에서 중반이나 후반에 적당히 편성되어 놀아지는 제석굿에는 어김없이 주7가 구송된다. 그것은 여주인공의 이름에 따라 ‘당금애기’ · ‘서장애기’ · ‘제석님네 따님애기’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천신으로서의 제석이 당금애기로 상징된 지모신(地母神)과 결합하여 삼신(三神)을 낳았다는 것이 그 줄거리이다.

가신신앙으로서의 제석신앙도 제석본풀이와 마찬가지로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그 명칭 · 형태 · 신앙관념 등은 지방에 따라 약간씩 차이를 보인다.

서울 지역의 단골가정은 제석신을 흰 항아리에 쌀을 담은 형태로 다락에 올려놓고 모신다. 이 신령이 집안사람의 수명을 보호한다고 믿는다. 햅쌀을 백지에 싸서 항아리에 넣고 안방에 모시고는 ‘불사’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경기도에서는 방 안 다락이나 부엌 한 귀퉁이에 쌀 또는 조를 담은 조그만 단지를 모시고 여러 헝겊조각을 단지에다 늘여놓고는 ‘세존’이라 칭하기도 한다. 안방의 벽에 주머니를 만들어 쌀 3되 가량 넣어놓고 ‘제석주머니’라 부르는 예도 있다. 칠월칠석날 아침 그 쌀을 꺼내 밥을 짓고 미역국과 함께 차려 간단한 의례를 지낸 다음 가족들과 먹는다. 그 뒤 시월 추수한 햅쌀을 잘 말려 그 빈 주머니에 다시 채운다.

남쪽지방에서는 일제시대까지만 해도 아예 대청이나 곳간에 큰항아리를 두고 햇곡식을 넣어서 이것을 제석단지 · 세존단지 · 천왕독이라 불렀다.

가신신앙의 제석신앙과 굿의 제석거리에서의 제석신의 신격은 대개 일치한다. 제석은 산신(産神) · 수명신 · 생산신으로서 신앙되면서 인간 생존에서 가장 기본적이고도 필수적인 기능을 지닌 것으로 믿어져 왔다.

그러나 천신으로서의 제석에 대한 신앙이 약화되고 혼란스러워지면서 제석의 기능도 변화하게 된다. 그 점은 굿에서보다 가신신앙에서 더 심한데, 가신신앙에서는 제석을 지역에 따라 부귀영화의 신령이나 조상을 위하는 신령으로 믿는 경향을 보인다.

참고문헌

『조선민족문화의 연구』(손진태, 을유문화사, 1948)
『한국무교(巫敎)의 역사와 구조』(류동식, 연세대학교출판부, 1975)
『한국설화의 원시종교사상연구』(박용식, 일지사, 1984)
『한국불교사연구』(안계현, 동화출판공사, 1986)
『무(巫)-한국무(巫)의 역사와 현상』(조흥윤, 민족사, 1997)
『제석님과 제석굿-전통제석신앙의 성격규명과 자료』(방창환·조흥윤, 문덕사, 1997)
『한국의 샤머니즘』(조흥윤,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朝鮮巫俗の硏究』 上卷(赤松智城·秋葉隆, 大阪屋號書店, 1937)
주석
주1

번역할 때 쓰는 말.    우리말샘

주2

인도의 베다 신화에 나오는 비와 천둥의 신. 하늘의 제왕으로 몸은 모두 갈색이고, 팔은 네 개이며, 두 개의 창을 들고 코끼리를 타고 다닌다. 불교에서는 제석천 또는 십이천의 하나로 동방의 수호신이다.    우리말샘

주3

고대 인도의 브라만교의 근본 경전 가운데 하나. 10권 1,028장(章)의 운문 찬가로서 기원전 1500~1000년에 성립되었는데, 천지 자연의 신에 대한 찬가와 아리아인에 의한 인도 건국의 과정이 전개되어 있어 인도 사상의 원천이 된다. 200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우리말샘

주4

불교의 우주관에서, 세계의 중앙에 있다는 산. 꼭대기에는 제석천이, 중턱에는 사천왕이 살고 있으며, 그 높이는 물 위로 팔만 유순이고 물속으로 팔만 유순이며, 가로의 길이도 이와 같다고 한다. 북쪽은 황금, 동쪽은 은, 남쪽은 유리, 서쪽은 파리(玻璃)로 되어 있고, 해와 달이 그 주위를 돌며 보광(寶光)을 반영하여 사방의 허공을 비추고 있다. 산 주위에 칠금산이 둘러섰고 수미산과 칠금산 사이에 칠해(七海)가 있으며 칠금산 밖에는 함해(鹹海)가 있고 함해 속에 사대주가 있으며 함해 건너에 철위산이 둘러 있다.    우리말샘

주5

팔부중의 하나. 싸우기를 좋아하는 귀신으로, 항상 제석천과 싸움을 벌인다.    우리말샘

주6

승려가 짚는, 고리가 여섯 개 달린 지팡이.    우리말샘

주7

제석신의 유래를 읊은 서사 무가. 큰굿의 제석거리나 안택 따위에서 구연되는 것으로 부잣집의 외동딸이 승려와의 인연으로 삼 형제를 낳고 삼신이 된다는 내용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조흥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