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도 ()

목차
교통
지명
고구려시대의 교통로.
목차
정의
고구려시대의 교통로.
내용

『광개토왕비』 영락 5년(395)조에 보이는 길 이름이다. 요양(遼陽)을 한나라 때에 양평이라 불렀다. 따라서 양평도는 요양에서 고구려에 이르는 길이다. 당시 국내성(國內城)에서 서쪽으로 가는 길이 두 개 있었다.

하나는 북도로서 북으로 노령산 입구에서 서쪽으로 환인을 가로질러 가는 것으로 이 길은 지세가 평탄하여 왕래가 비교적 용이한 곳이다. 또 하나는 남도로써 순판분령을 따라 남하하여 패왕조산성을 거쳐 환인에 이르는 길이다. 이 길은 산길로 험하여 넘기 힘들다.

두 길은 모두 환인을 거친 이후 다시 남북으로 갈린다. 북도는 현재의 무순에 이르게 되며 남도는 현재의 요양에 이르게 된다. 북도를 현도도라 하며 수나라가 고구려를 쳐들어 올 때 좌군(左軍)의 진군로였다. 양평은 오늘날의 요양이다.

따라서 양평도란 남도를 가르키는 말이며, 수양제가 고구려를 쳐들어 올 때 우군(右軍)이 이 길로 진군했다. 광개토왕과 비려(碑麗)의 싸움은 태자하(太子河) 상류에서 벌어졌고 이곳은 바로 두 길의 중간지점으로 양평도에서 몇 십리 밖에 안 된다.

양평도는 비교적 평탄하여 전쟁 후 호태왕과 군대는 그 많은 생구(生口)와 수를 셀 수 없이 많은 우마군양을 데리고 이 길로 귀환하였다.

환인에 이른 후에도 같은 이유 때문에 반드시 북도를 통과했다. 그 많은 소와 양을 끌고 우마가 넘기 힘든 준령, 즉 남도를 광개토왕의 군대는 이용하지 않았던 것이다.

참고문헌

『廣開土王碑硏究』(王健群, 1984 ; 『好太王碑硏究』, 林東錫 譯, 역민사, 1985)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