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만주고려공산청년회 집행위원, 조선공산당 만주총국 집행위원 등을 역임한 사회주의운동가.
이칭
이명
이순(李順), 이창희(李昌熙)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4년(고종 31)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함경북도 명천
주요 경력
간도 고려공산청년회총국 책임비서|조선공산당 만주총국 집행위원
내용 요약

이순은 일제강점기 만주고려공산청년회(고려공청) 집행위원, 조선공산당 만주총국 집행위원 등으로 활약한 사회주의 운동가이다. 고려공청과 조선공산당 만주총국의 중요한 인물로 활약하다가 1928년 하반기 모스크바에 유학해 동방노력자공산대학에 유학한 후 국내로 돌아와 항일투쟁을 계속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만주고려공산청년회 집행위원, 조선공산당 만주총국 집행위원 등을 역임한 사회주의운동가.
인적 사항

이순(李淳)은 1894년 함경북도 명천에서 태어났다. 이명은 이순(李順)‧이창희(李昌熙)이다. 1914년 러시아로 이주하여 6년 동안 탄광에서 일하였다.

주요 활동

1920년 주1 국제노동협회에 가입하였고, 12월 러시아 공산당 이르쿠츠크 당 학교에 입학하였다. 1921년 3월 시베리아 내전 당시 빨치산부대에서 활약하였다. 1923년 6월 지린성〔吉林省〕 연길현 용정에서 간도에서 조직 확대를 도모하던 서울파의 김사국과 함께 고려공산청년회 간도 야체이카(세포조직)를 조직하였다. 1924년 초에 고려공청 간도총국을 조직하고 책임비서가 되었다. 1924년 12월 25일 만주 고려공산청년회에 위원으로 참여하였다.

이순과 함께 노령에서 동만주 지방으로 온 사람들은 1924년 하반기에 파벌을 청산하고 주2 지방 한인 공산주의운동의 통일을 이루려 하였으며, 주3에서 당과 공청 기관의 청년들로 비밀결사를 결성하였다. 1925년 1월 러시아공산청년동맹으로부터 종파를 결성하였다는 혐의를 받고 14명의 동료와 함께 제명 처분을 받았다.

1926년 10월 만주고려공산청년회와 조선공산당 만주총국에 입당하여 집행위원이자 동만구역국의 선전부장으로 활동하였다. 1927년 봄에는 동만구역국의 조직부장으로 활동하였다. 1927년 10월 ‘제1차 주4 검거사건’ 때 일제의 검거를 피해 남만주의 지린성 반석현(磐石縣)으로 이동하였다.

1928년 4월 ML파의 고려공산청년회 남만구역국에서 조직 활동을 지도하였다. 1928년 하반기 모스크바에 유학해 동방노력자공산대학에서 1932년까지 수학하였다. 1938년 함경북도 청진에서 조선공산당 재건운동을 하던 황석주(黃錫柱)‧박순구(朴淳九)‧박종순(朴宗淳)과 함께 반전(反戰) 투쟁으로 항일민족통일전선운동을 전개하였다. 1939년 2월 청진의 ‘전투적 공산주의동맹’의 결성을 지도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준식, 『조선공산당 성립과 활동』-한국독립운동의 역사 43(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신주백, 『만주지역 한인의 민족운동사』(아세아문화사, 1999)
강만길·성대경 편, 『한국사회주의운동인명사전』(창작과비평사, 1996)
주석
주1

러시아 동남쪽, 바이칼호 서쪽에 있는 상공업 도시. 제정 러시아의 시베리아 총독부가 있었다.    우리말샘

주2

러시아의 영토. 시베리아 일대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3

러시아의 동남쪽 끝에 있는 지방. 우리나라 동해에 접하여 있으며 두만강을 사이로 우리나라와 국경을 이루고 있다. 아연ㆍ석탄 따위의 지하자원이 많고 나무를 가공하는 산업이 발달하였다. 중심 도시는 블라디보스토크이다. 면적은 16만 5900㎢.    우리말샘

주4

1927년에서 1930년까지 4차에 걸쳐, 일제가 만주에서 활동하던 조선인 공산주의 운동가들을 검거한 사건. 제1 차는 1927년 10월에 조선 공산당 만주 총국이 서울에서 진행 중이던 조선 공산당 공판의 공개를 요구하는 시위를 계획하다가 검거된 사건이다. 제2 차는 1928년 9월에 고려 공산 청년회 만주 총국 동만도 간부 등이 국제 청년일 기념집회를 계획하다가 발생하였다. 제3 차는 1930년 3월에 3ㆍ1 운동 11주년을 맞아 대대적인 무장봉기를 계획하다가 발생하였다. 제4 차는 1930년 5월 30일에 동만주 일대에서 발생하였다.    우리말샘

집필자
예지숙(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