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종해 ()

근대사
인물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에 의병운동과 민족운동을 펼친 독립운동가.
이칭
이명
권주성(權周成)
선명(宣明)
성파(惺波)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69년
사망 연도
1922년
본관
안동(安東)
출생지
충청남도 논산
주요 경력
독립운동가
대표 상훈
대통령 표창(1968)|건국포장(1977)|건국훈장 애국장(1990)
관련 사건
백담사전투
내용 요약

권종해는 강원도 인제를 중심으로 의병 활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이다. 주요 무장투쟁 활동은 1907년부터 19010년 한일강제병합이 이루어진 시기이지만, 그 후에도 무장투쟁을 계속 시도하였다. 유림 출신으로, 아버지 권인규는 동학농민운동 때 민보군으로 활약하였고, 을미의병 때 봉기하였다. 아들인 권기수는 3·1운동 때 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정의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에 의병운동과 민족운동을 펼친 독립운동가.
가계 및 인적 사항

권종해(權鍾海)는 1869년 충청남도 논산에서 태어났으며, 강원도 고성에서 생활하였다. 본관은 안동(安東)이고, 이명은 권주성(權周成)이다. 자는 선명(宣明)이며, 호는 성파(惺波)이다. 아버지는 권인규(權仁圭)이며, 장남 권기수(權基洙)와 더불어 삼대가 의병으로 활동하였다.

주요 활동

1906년에 강릉 유림 대표로 친일 군수 이재화(李載和), 친일 거부(巨富) 이근우(李根宇) · 조익환(曺翊煥) 등을 추방하는 명령을 내리는 활동을 하였다. 1907년 군대 해산령을 듣고 의병부대를 조직하여 무장투쟁에 나섰다. 강원도 인제의 운두령(雲頭嶺)에서 일본군과 교전을 벌였고, 1908년 2월 이강년(李康秊) 부대와 함께 백담사전투(百潭寺戰鬪)에서 일본군에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해 5월 강원도 정선 북면 단림(丹林)에서 일본군과 교전을 벌였다. 6월에는 일본군이 권종해의 본가에 침입하여 가족을 구타하고 집에 불을 지르는 만행을 저질렀다.

1910년 국권피탈 이후에도 무력 항쟁을 준비하던 중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의 장재호(張在鎬) 집에서 붙잡혀 10년형을 언도받고 6년간의 수감 생활을 하였다. 1919년 3 · 1운동이 일어나자 강원도와 충청도 지방에서 무장 항일운동을 준비하였으나 검거되어 무기형을 언도받고 복역 중 1922년에 옥사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권종해의 공훈을 기려 1968년 대통령 표창, 1977년 건국포장, 1990년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독립운동사』(제4권,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독립운동사자료집』(제2권,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논문

심철기, 「1907년 원주의병의 쇠퇴와 항일투쟁의 전개」(『역사와교육』, 2016)
집필자
예지숙(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