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춘선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북만주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57년
사망 연도
1944년
출생지
함경북도 온성
주요 경력
독립운동가
대표 상훈
건국훈장 대통령장(1996)
관련 사건
봉오동전투|청산리대첩
내용 요약

구춘선은 북만주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다. 조선 말에 서울에서 궁궐 수비장을 하다가 만주로 건너가 기독교로 개종하였다. 간민교육회 설립에 도움을 주었고, 간민회에서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3·1운동 이후 대한국민회를 결성하였으며, 군사부를 두어 무장 독립운동에도 참가하였다. 또 북만주에 산재한 독립운동 세력을 통합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고자 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북만주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인적 사항

구춘선(具春先)은 1857년 함경북도 온성군 미포면(美浦面) 풍인동(豊仁洞)에서 출생하였다.

주요 활동

구춘선은 1878년부터 북간도로 이주하기 전까지 군인으로 궁궐의 수비장을 지냈다. 1899년 만주 왕청현(汪淸縣)으로 이주하여 한국인을 계몽하는 데 앞장섰다. 그곳에서 캐나다 장로교 선교사인 그리어슨(Robert Grieson, 한국명 구예선)의 전도를 받아 기독교에 입교하였으며, 1906년 집사 이보연과 함께 용정시교회를 설립하였다.

1907년에 김영학(金永鶴) · 김약연(金躍淵) 등과 간민교육회(墾民敎育會)를 설립하는 데 커다란 도움을 주었으며, 1913년 간민회의 발기인으로 활약하였고 분회장이 되었다. 1911년 이동휘가 세운 길동기독학당(吉東基督學堂)의 간사로 재직하면서 교육운동에 관여하였다.

1919년 3월 용정(龍井) 시내에서 만세시위운동을 주도하였으며, 같은 해 4월에는 왕청 · 연길(延吉) · 화룡(和龍) · 혼춘(琿春) 등 각 현 대표들과 조선독립기성회를 조직하고 회장에 선임되었다. 상하이에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자 구춘선 등은 조선독립기성회를 대한국민회(북간도 국민회)로 개편하고 구춘선이 회장으로 선임되었다. 간도의 다른 단체와 달리 국민회는 임시정부 소속 단체였다. 국민회는 중앙 본부를 두고 지방회와 130여 개소의 지부를 두었다.

1920년 국민회 안에 군사부를 두고 사관학교를 설치하여 독립군 양성을 추진하여 무장 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 구춘선은 일제에 대항하기 위해 중국 정부에 협조를 요청하는 한편 대한광복단, 대한신민단 등 북간도 지역의 여러 독립운동 단체를 통합하여 총판부를 만들어 독립운동을 전개하고자 하였다.

간도참변(間島慘變)주1으로 러시아로 이동하였고 그곳에서 주2을 겪은 뒤 다시 만주로 돌아왔다. 1920년 6월 국민회 소속 독립군은 봉오동(鳳梧洞)에서 일본군을 격파하였으며, 그 뒤 청산리전투에도 참전하였다. 1921년 고려공산당에 가입하였고, 독립운동 단체인 총합부를 조직하여 활동하였다. 이후 교회를 중심으로 종교 활동에 매진하다가 1944년에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구춘선의 공훈을 기려 1996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반병률, 『1920년대 전반 만주 러시아지역 항일무장투쟁』(독립기념관 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제5권, 원호처, 1973)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사』 3(국사편찬위원회, 1967)
홍상표, 『간도독립운동소사』(한광중고등학교출판부, 1966)
김승학, 『한국독립사』(독립문화사, 1965)

논문

배정현, 「만주지역 대한국민회 회장 구춘선 연구」(『한국민족운동사연구』 87, 2016)
주석
주1

1920년 10월부터 3~4개월간 간도에서 한인(韓人)들이 일본군에 의하여 무차별 학살을 당한 사건.    우리말샘

주2

1921년 대한 독립 군단과 이르쿠츠크파 공산당이 시베리아 지역에서의 주도권을 둘러싸고 벌인 싸움. 대한 독립 군단이 이르쿠츠크파 공산당과 러시아 동맹군에게 무장 해제를 당하였으며 많은 한국인 사상자가 생겼다.    우리말샘

집필자
예지숙(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