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석윤 ()

목차
국악
인물
해방 이후 광주풍류 중 거문고 연주를 담당한 국악인. 거문고명인.
이칭
호석(湖石)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08년
사망 연도
1976년
출생지
전라남도 화순
목차
정의
해방 이후 광주풍류 중 거문고 연주를 담당한 국악인. 거문고명인.
내용

전라남도 화순출신. 호는 호석(湖石). 광주(光州)등지에서 살았다. 김용남과 김연수(金然秀)에게 거문고 풍류와 가곡을 배웠으며, 말년에는 서울에서 살면서 이주환의 가곡 반주을 도맡아 하였다. 한갑득(韓甲得)에게 거문고산조를 배웠는데 그 중에서 우조만 모아 자신만의 독특한 우조산조를 만들기도 했으나, 현재 임석윤의 거문고산조는 전하지 않는다.

임석윤은 거문고 대점을 비껴 타기 때문에 국악학자 장사훈과 가객 이주환은 그의 거문고를 인정하지 않았지만 가사(歌詞)의 명인 이양교, 정경태 등은 비껴 타는 거문고대점은 음량이 작기 때문에 노래반주로 쓰일때는 나쁘지 않다는 견해를 갖고 있다.

임석윤은 광주풍류(光州風流) 중 거문고 연주를 담당하던 명인이다. 풍류는 영산회상의 별칭으로 구례(求禮)와 광주(光州)등지에서 동호인들에 의해 연주되던 음악이다. 광주시립국악원 원장 안치선(安致善)의 구술자료에 의하면 예전에 광주지방에는 율객(律客)들이 모여 소규모 율회(律會)를 갖고 풍류를 연주했는데 그 당시 율객으로 임석윤(任錫潤, 거문고), 오진석(吳晋錫, 대금) 정남옥(鄭南玉) 등이 있었다고 회고한다.

임석윤의 거문고풍류는 김연수(金然秀)에게서 배웠고, 그뒤 원광호(元光湖)에게 전수되었다. 원광호의 거문고 풍류는 상령산-중령산-잔령산-가락더리-상현도드리-밑도드리-하현도드리-염불-타령-군악-계면-양청-우조로 되어있다. 이 거문고풍류는 향제풍류(鄕制風流)이기 때문에 국립국악원의 아악풍류와는 다르다.

참고문헌

『향제풍류』(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85)
『전라남도국악실태조사』(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80)
집필자
현경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