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하언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좌부승지, 병조참의, 대사간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미중(美仲)
지당(止堂), 옥호자(玉壺子)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02년(숙종 28)
사망 연도
1769년(영조 45)
본관
영일(迎日)
주요 관직
좌부승지|병조참의|대사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좌부승지, 병조참의, 대사간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영일(迎日). 자는 미중(美仲), 호는 지당(止堂)·옥호자(玉壺子). 정낙(鄭洛)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석기(鄭碩基)이고, 아버지는 목사 정무(鄭堥)이며, 어머니는 윤우태(尹遇泰)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35년(영조 11) 진사로서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1742년 경상도도사 시절 진휼사의 종사관(從事官)으로 선발되어 경상도의 양곡을 중앙으로 운반하는 일에 종사하다가, 감진어사(監賑御史) 홍계희(洪啓禧)와의 의견상충으로 삭직되었다.

이듬해 사관(史官)으로 다시 기용되고, 1744년 조정에서 『속대전』을 찬수할 때 왕의 특명으로 찬집랑(纂輯郎)에 보임되어 이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이 후 정언·장령을 역임하고 1747년 의주부윤으로 나갔으며, 좌부승지에 이어 1763년 병조참의에 오르고 대사간을 지냈다.

독서를 좋아하였고 문예·글씨에도 능하였는데, 조구명(趙龜命)이 그의 글을 읽고 “『소동파집(蘇東坡集)』에 실려도 손색이 없겠다.”라고 찬탄하였고, 경연(經筵)에서도 재량있는 말로 왕의 칭찬을 많이 받았으며, 어제(御製)의 편제(篇題)와 홍화문(弘化門)의 액(額)을 썼다. 저서로는 『지당집』이 있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지당집(止堂集)』
『궁오집(窮悟集)』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