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재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윤인함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4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윤인함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불분권 1책. 석인본. 1974년 11대손 윤익보(尹益普)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윤석훈(尹奭勳)의 서문, 권말에 후손 윤방혁(尹邦赫)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연보, 행장, 치제문(致祭文), 신도비문, 윤죽재공복성비문(尹竹齋公復城碑文), 시 286수, 부록으로 권장시(權葬詩), 경주복성시문상회맹록(慶州復城時汶上會盟錄), 선무원종공신녹권(宣武原從功臣錄券), 경주동경지(慶州東京誌), 만사, 만시, 유묵(遺墨)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무인의 씩씩한 기개를 느낄 수 있는 활달함과 웅장함을 지니고 있으며, 단순한 짜임새와 소박한 진솔성이 잘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 가운데 「축단(築壇)」은 한나라 고조(高祖)와 항우(項羽)의 대결을 풍부한 전례와 고사를 인용해 읊은 칠언고시로, 무인의 기개와 용감성이 생동적으로 묘사된 작품이다.

「제농사사(題農舍辭)」는 나그네의 여정을 읊은 것으로 수식이 없는 담백한 맛과 절제된 정서가 잘 어우러진 뛰어난 작품이다. 「차한운영비파녀(次寒韻詠琵琶女)」는 시각과 청각의 교묘한 활용과 역동적인 흐름 속에서 파격적인 이미지를 창출, 현대시를 연상시킨다.

「야음(夜吟)」과 「우황(憂蝗)」 등은 국난과 천재를 당한 백성들의 고통을 묘사한 시로, 그의 우국 충정이 잘 드러나 있다. 「성천재최진립구묵죽병이시답지(成川宰崔振立求墨竹並以詩答之)」에는 자신의 그림에 대한 강한 자부심을 보이고 있다.

「제단석산효여산지(題端石山效廬山誌)」는 단석산을 유람하며 지은 시로 그 웅장함과 아름다움을 중국의 여산과 비교 묘사한 일종의 장편 기행시다.

「서유산록후(書遊山錄後)」는 호남 증심산(證心山)과 그 산의 대나무 및 돌을 철학적으로 풀이한 글로 저자의 인생관을 엿볼 수 있다. 이 밖에 부록의 「경주복성시문상회맹록」과 「선무원종공신녹권」은 임진왜란 때 의병 활동을 한 의사들의 공적 및 왜적과의 전투 상황 등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