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공진 ()

목차
관련 정보
하공진 사적비
하공진 사적비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전기 압강도구당사, 중랑장, 상서좌사낭중 등을 역임한 관리.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011년(현종 2)
본관
진주(晉州)
주요 관직
중랑장(中?將)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전기 압강도구당사, 중랑장, 상서좌사낭중 등을 역임한 관리. 무신.
생애 및 활동사항

본관은 진주(晉州). 994년(성종 13)에 압강도구당사(鴨江渡勾當使)가 되었다. 1009년(목종 12) 목종이 궁궐의 화재로 상심하여 병이 들어 정사를 보지 못하자 중랑장(中郞將)으로서 친종장군(親從將軍) 유방(庾方), 중랑장 유종(柳宗)·탁사정(卓思政)과 함께 침전의 문 가까이에서 늘 숙직하였다. 왕이 몰래 후사를 논의하던 중 서경도순검사(西京都巡檢使) 강조(康兆)가 무장한 병력을 거느리고 오자 탁사정과 함께 강조의 편에 섰다. 강조가 정권을 잡은 후 상서좌사낭중(尙書左司郎中)이 되었다.

1010년(현종 1) 5월 상서좌사낭중으로 있으면서 고려에 입조한 여진족 95명을 죽인 죄로 유배당하였다. 예전 동서계(東西界)에 있을 때 임의로 군대를 동원하여 동여진(東女眞)의 촌락을 치다가 패한 일을 두고 한스러워 했기 때문이다. 같은 해 11월 거란의 성종이 목종을 시해한 강조의 죄를 묻는다는 명분으로 고려에 침입하자 관직이 회복되었다.

호부원외랑(戶部員外郎) 고영기(高英起)와 함께 군사 20여 명을 거느리고 남쪽으로 피난중이던 현종을 뒤따라가 양주에서 거란군의 철수교섭을 자청, 국왕의 사절로 거란 성종을 만나 군대를 철수시키는 데 공을 세웠다.

고영기와 함께 거란에 볼모로 잡혀 가 거란왕에게 신임을 받았으나, 탈출을 꾀하다가 실패하여 연경(燕京)으로 옮겨져 양가(良家)의 딸을 아내로 맞아 살면서 철저한 감시를 받게 되었다.

평소 저자에서 준마(駿馬)를 많이 사 고려로 가는 길에 배치하여 두고 귀국을 꾀하다가 탄로가 나 거란왕의 국문(鞠問)을 받게 되었다.

거란왕은 온갖 악형과 회유로 신하가 될 것을 요청하였으나 이를 완강히 거절하였을 뿐만 아니라, 나중에는 심한 모욕적인 말로 응대하여 거란왕을 크게 격분시킴으로써 살해된 뒤 간마저 꺼내져 씹히기까지 하였다. 상서공부시랑(尙書工部侍郎)에 추증되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